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한국인에서의 최근 5년간 전형적인 위식도 역류 증상의 변화: 표본인구 설문조사

        조승철 ( Seung Chul Cho ),이오영 ( Oh Young Lee ),하나래 ( Na Rae Ha ),심성곤 ( Sung Gon Shim ),이강녕 ( Kang Nyeong Lee ),윤재훈 ( Jai Hoon Yoon ),이항락 ( Hang Lak Lee ),윤병철 ( Byung Chul Yoon ),최호순 ( Ho Soon Choi ),함준수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8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4 No.2

        목적: 지난 수년 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서구와 마찬가지로 소화기적 증상이 있는 환자들과 건강 대조군 모두에서 역류성 식도염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우리나라 일반인에서의 위식도 역류질환과 연관된 증상의 유병률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저자들은 2002년과 2007년 표본인구를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제로 일반인들의 위식도 역류질환과 연관된 증상의 유병률이 증가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한국갤럽에 의뢰하여 15세 이상 60세 이하의 일반인들을 지역별 인구비례에 의해 무작위 추출한 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위식도 역류질환의 전형적 증상의 유무 및 발생빈도에 대해 타당성이 검증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전화 설문조사를 2002년과 2007년 시행하였다. 설문 결과를 통해 최근 5년 사이에 전형적인 위식도 역류 증상의 유병률에 변화가 있었는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증상의 유무와 빈도에 영향을 끼쳤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2002년에는 1044명(남자 516명, 여자 528명), 2007년에는 1009명(남자 501명, 여자 508명)이 설문에 참여하여 반응률은 각각 29%, 20.2%였다. 대상자의 성별, 연령 및 지역 분포와 같은 일반적인 특성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가슴쓰림이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있는 경우가 2002년에는 6.9% (72명/1044명), 2007년에는 6.6% (66명/1009명), 산 역류에 있어서는 2002년 4.5% (47명/1044명), 2007년 5.5% (55명/1009명)로 나타났다. 가슴쓰림이나 산 역류가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있는 사람을 위식도 역류 증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 2002년의 유병률은 7.1%, 2007년의 유병률은 7.9%로 조사되었다. 성별, 연령, 거주지역과 같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이 지난 5년 사이에 위식도 역류 증상의 유병률 및 발생 빈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결론: 최근 5년간 우리나라에서의 위식도 역류 증상의 유병률에는 변화가 있었고 대상자의 특성이 증상의 유병률 및 빈도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Background/Aims: Heartburn and acid regurgitation are considered specific symptoms for the diagnosis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The reported population prevalence of GERD in eastern Asia ranged from 2.5% to 6.7%. The prevalence of GERD is increasing in Koreans probably because of westernized lifestyle. However, there have been few reports about the change in the prevalence of GERD symptoms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GERD symptoms at present and change in the prevalence of GERD during the past 5 years in Korea. Methods: The telephone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by Gallup, Korea using a validated questionnaire in 2002 and 2007. A random sample of gender and age (between 15 and 60 years), based on a per capita ratio was obtained. Typical GERD symptom was defined as heartburn or acid regurgitation having occurred at least once a week. Results: The response rate of the telephone interview survey was 29% (n=1044, 516 males and 528 females) in 2002 and 20.2% (n=1,009, 501 males and 508 females) in 2007. The prevalence of heartburn was 6.9% in 2002 and 6.6% in 2007. The prevalence of acid regurgitation in 2002 and 2007 were 4.5% and 5.5%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GERD symptoms in general population was 7.1% in 2002 and 7.9% in 2007. Conclusions: The change in the prevalence of typical GERD symptoms in general population was seen during the past 5 years in Korea. There were no demographic factors influencing on the prevalence of GERD symptom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8;14:96-102)

      • 한국인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형의 분포

        이승환 ( Soong Hwan Lee ),한성희 ( Sung Hee Han ),조승철 ( Seung Chul Cho ),노병주 ( Byung Joo Roh ),손주현 ( Joo Hyun Sohn ),김덕언 ( Duck An Kim ),이동후 ( Dong Hoo Lee ),기춘석 ( Choon Suhk Kee ) 대한소화기학회 2002 대한소화기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02 No.-

        <목적>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만성 감염은 무증상 감염, 만성 간염, 간경변, 간세포암 등 다양한 임상 경과를 보이며 바이러스 인자와 숙주 인자, 환경적 요인 등이 이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중국과 일본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형에 따른 임상 경과에 차이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유전자형의 분포는 지역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아직까지 한국인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형에

      • SCOPUSKCI등재

        HBV - bDNA 음성 만성 B 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간조직검사 소견과 임상적 특징

        노병주(Byung Joo Roh),이숭환(Soong Hwan Lee),한성희(Sung Hee Han),조승철(Seung Chul Cho),손주현(Joo Hyun Sohn),이동후(Dong Hoo Lee),기춘석(Choon Suhk Kee) 대한소화기학회 200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38 No.6

        Background/Aims: It is common in Korea that young men carry HBV-bDNA (branched chain DNA) negative chronic HBsAg, regardless of abnormal aminotransferases. However, histologic findings of these patients were not well-known. The authors studied histologic characteristics of hepatitis activity in these patients and assessed the correlations of aminotransferases and the histologic characteristices of hepatitis activity/fibrosis. Methods: Routine biochemical liver function tests were performed for the 29 young male HBV-bDNA negative chronic HBsAg carriers. Their histologic hepatitis activity/fibrosis was scored. Results: Ninety percent of the patients showed chronic inflammation at liver biopsy, whereas 80% of the parents who had normal aminotransferase showed chronic inflammatory feature in spite of their HBV-bDNA negativity.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vels of aminotransferases and histologic hepatitis activity (lobular activity and portoperiportal activity). The patients with abnormal aminotransferase revealed the higher grade activity than the patients with normal aminotransferase in lobular activity and portoperiportal activity. Conclusions: Most of young male HBV-bDNA negative chronic HBsAg carriers show the histologic characteristics of chronic hepatitis. Some patients could be recovered, but others may show viral replication during their clinical course. (Korean J Gastroenterol 2001;38:419-426)

      • KCI등재

        말기신질환이 중증의 허혈성 대장염의 위험인자인가?

        안성은 ( Sung Eun Ahn ),이항락 ( Hang Lak Lee ),조승철 ( Seung Chul Cho ),윤재훈 ( Jai Hoon Yoon ),이오영 ( Oh Young Lee ),윤병철 ( Byung Chul Yoon ),최호순 ( Ho Soon Choi ),함준수 ( Joon Soo Hahm ),이민호 ( Min Ho Lee ),이동후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3 No.4

        목적: 허혈성 대장염의 임상 경과는 다양하나 대부분 보존 치료로 2-3일 내에 호전되나 드물게 수술 치료가 필요한 경우,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저자들은 심한 임상경과를 예측할 수 있는 예후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작했다. 대상 및 방법: 2004년부터 2006까지 한양대학교병원에 허혈성 대장염으로 진단받은 환자 41명을 경증과 중증으로 나누어 후향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63.8세였고, 남자 13명, 여자 28명이었다. 음주력이 있는 환자는 10명이고 흡연력은 11명이었다. 환자들의 기저질환은 고혈압 24명, 당뇨병 14명, 혈액 투석 중인 말기 신질환 11명, 심혈관 질환 5명, 악성 종양 5명이었다. 약물 복용력은 항혈소판제 11명, 항고혈압제 21명,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5명이었다. 처음 발현한 증상으로 복통, 혈변, 설사, 복막자극징후, 내원 당시 혈액검사, 대장 내시경 또는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대장 침범 부위로 나누어서 중증의 허혈성 대장염으로의 진행 여부를 살펴보았다. 중증의 임상경과를 보인 경우는 남자(p=0.049), 음주력(p=0.025), 말기 신질환이 있을 때(p=0.013), 검사실 소견에서 LDH (p=0.002), CRP (p=0.014) 수치가 의미가 있었다. 신체검진에서는 복막자극징후(p=0.000)가 유의한 의미가 있었다. 여러 위험인자를 포함한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는 말기 신질환이 중증 허혈성 대장염의 유일한 위험인자였다. 결론: 말기 신질환 환자에서 허혈성 대장염은 중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허혈성 대장염이 발생한 말기 신질환 환자에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In general, ischemic colitis has a very good prognosis. However, there are a lot of controversies in relation to the prognostic fact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isk factors of severe ischemic coliti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undertaken of patients with ischemic colitis hospitalized at the Hanyang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interval 2004-2006.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ith mild course and those with severe course which led to operation,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or death. Results: A total of 41 cases (M/F=13/28, mean age=63.8 years) of biopsy proven ischemic colitis were included, of which 31 (75.6%) had a mild course and 10 (24.4%) a severe course. Coexisting medical diseases of patients were hypertension (n=24), diabetes (n=14), end-stage renal disease (n=11), cardiovascular disease (n=5), and malignancy (n=5). Male (p=0.049), alcoholics (p=0.025), end-stage renal disease (p=0.013), LDH (p=0.002), CRP (p=0.014), and peritoneal irritation sign (p=0.001) were the significant risk factors of severe ischemic colitis in univariate analysis.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nd-stage renal disease (p=0.026) was the only significant risk factor of severe ischemic colitis. Conclusions: Careful attention must be paid to end-stage renal disease patients having ischemic colitis. (Korean J Gastroenterol 2009;53:235-238)

      • KCI등재

        간전이를 동반한 미세 원발 십이지장 유암종 1예

        윤재훈 ( Jai Hoon Yoon ),이오영 ( Oh Young Lee ),조승철 ( Seung Chul Cho ),이항락 ( Hang Lak Lee ),윤병철 ( Byung Chul Yoon ),최호순 ( Ho Soon Choi ),송순영 ( Soon Young Song ),백승삼 ( Seung Sam Baeg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3 No.4

        Carcinoid tumors are slow growing submucosal tumors with metastatic potential that arise from enterochromaffin cell. The annual incidence of carcinoid tumor is 2 to 3 per 100,000. Carcinoid tumor of duodenum is very rare with an incidence of about 8% among gastrointestinal carcinid tumor. As a endoscopic examination and immnohistochemical stain are developed, an rate of detection is increasing. Among the possible factor of metastatic prediction, tumor size>10 mm, central depression or ulcer, invasion below submucosa, lymphatic or venous invasion are associated with higher metastatic potential. Specially, in case of tumor size<10 mm, in duodenum, there is no report of metastasis to liver in Korea. But, recently, we experienced a rare care of duodenal carcinoid measured by less than 10 mm with liver metastsis. Thus, we report here this case with a review of literature. (Korean J Gastroenterol 2009;53:246-250)

      • SCOPUSKCI등재

        요근 농양을 동반한 대장의 점액암종

        이강녕 ( Kang Nyeong Lee ),이항락 ( Hang Lak Lee ),윤재훈 ( Jai Hoon Yoon ),조승철 ( Seung Chul Cho ),이오영 ( Oh Young Lee ),윤병철 ( Byung Chul Yoon ),최호순 ( Ho Soon Choi ),함준수 ( Joon Soo Hahm ) 대한소화기학회 200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2 No.2

        A colon cancer presenting as psoas muscle abscess is very rare. A 27-year-old woman was admitted with abdominal pain, fever, and discomfort on left thigh. She had been administered on anti-tuberculosis medication for colonic tuberculosis since 3 months ago. Abdominal CT scan revealed a mass lesion obstructing the descending colon with an abscess formation within left psoas muscle. We undertook segmental resection of obstructing descending colon after the percutaneous drainage of psoas abscess. The pathologic report was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colon. We report the first case of colon cancer manifested with psoas abscess in Korea, with the review of literature associated with the correlation of colon cancer and tuberculosis. (Korean J Gastroenterol 2008;52:120-123)

      • 2000년대 초에 유행한 Orientia tsutsugamushi에 의한 간염

        박재일,한성희,조승철,조용현,홍상모,이학현,윤혜련,양선영,윤재훈,윤영섭,문지용,조경란,백상현,손주현,김태화,이동후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

        목적: Orientia tsutsugamushi 감염은 삼림에 서식하는 매개충인 진드기(Leptotrombidium)의 유충이 우연히 사람의 피부를 통하여 전파되어 생기는 급성 발열 질환이다. 저자들은 지난 3년 동안 쯔쯔가무시병으로 진단된 환자들에서 간 기능 이상을 확인하고 가을철 간염환자의 감별진단 특히 non-A, non-B, non-C 간염의 진단에 주의를 환기하고자 관찰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과 방법: 한양대학교 서울병원과 구리병원에 2000년 10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hemagglutinin법으로 쯔쯔가무시병으로 진단된 환자 22명을 조사 대상으로 삼아 그 진료기록을 조사하였다. 결과: 남녀 비는 1:3.4로 여자가 많았다. 연령(범위 31-83세)은 56.4±2.6(평균±표준오차)세였다. 입원시기는 9월 23일부터 11월 15일 사이였고 10월 중순 이후 11월 상순 사이가 제일 많았다. 증상은 발열이 21예로 가장 많았고, 근육통 13예, 관절통 12예, 오한 6예, 피부발진 6예 순이었다. 잠복기는 7-9일이 10예로 가장 많았고 13-15일이 4예, 10-12일 3예, 3일 이내 3예, 4-6일 2예였다. ALT(범위 18-345 IU/L)는 93.2±17.3 IU/L(평균±표준오차)였고, AST(범위 34-255 IU/L)는 92.5±11.7 IU/L, GGTP (범위 19-251 IU/L)는 132.2±14.5 IU/L로 상승하였지만 혈중 총 빌리루빈은 정상이었다. 모든 환자들은 doxycycline 투여로 호전되었다. 결론: Orientia tsutsugamushi 감염은 대부분, 경도의 간 기능 이상을 동반하므로 특히 가을철 간 기능 이상을 보이는 열성 질환 환자들에게서 다른 간 질환과 감별해야 할 질환으로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Background/Aims: Orientia -tsutsugamushi infection is an acute febrile disease due to the accidental transmission through human skin of forest dwelling vector Leptotrombidium larva. The authors observed liver dysfunctions in patients diagnosed with tsutsugamushi disease (Scrub typhus) in the past 3 years and report the data in the hope of bringing attention to this disease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utumn-season hepatitis, especially of non-A, non-B and non-C hepatitis. Methods: Medical records of 22 patients diagnosed with tsutsugamushi disease by the hemagglutinin method between October 2000 and November 2002 were reviewed. Results: Female gender was dominant in the ratio of 3.4:1. Mean age was 56.4±2.6. Admission was between 23rd September and 15th November with the peak between mid October and early November. Fever, being the most common symptom, was observed in 21 cases, myalgia in 13, arthralgia in 12, chills in 6, and skin rash in 6. An incubation period of 7-9 days was most common (10 cases), 13-15 days (4), 10-12 days (3), within 3 days (3), and 4-6 days (2). Average ALT, AST and GGTP were increased to 93.2±17.3 IU/L (18±345 IU/L), 92.5±11.7 IU/L (34-255 IU/L) and 132.2±14.5 IU/L (19-251 IU/L), respectively, but total bilirubin was normal. All the patients improved with doxycycline therapy. Conclusions: since it usually shows liver dysfunction, it is important to take Orientia tsutsugamushi into consideration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autumn-season, febrile hepatic disease.(Korean J Hepatol 2003;9:198-204)

      • 한국인 간세포암종 환자에서 간동맥화학색전술후 6개월 미만 조기사망군 과 24개월 이상 장기생존군 간의 비교

        강인구,김성우,한성희,조승철,감창우,이동후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2

        목적 : 과거 15년간 간동맥화학색전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간동맥화학색전술 후 6개월 미만 생존의 조기 사망군, 6개월 이상 23개월 생존군, 24개월 이상 장기 생존 군간에 임상적 특징을 비교하여 그 결과로 추출된 임상지표 인자들의 생존 기간에 미치는 상호 상승적 영향력을 추구하였다. 대상과 방법 : 간세포암종으로 진단받고 간동맥화학색전술을 시행받은 뒤 생사 여부가 확인된 24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을 간동맥화학색전술 치료 후 6개월 미만 생존군, 6개월 이상 23개월 이하 생존군, 24개월 이상 생존군으로 분류하였다. 종양의 유형은 복부 초음파,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혈관조영술을 이용하여 결절형(nodular), 괴상형(massive), 미만형(diffuse)으로 나누고, 결절형은 단결절형과 다결절형으로 세분하였다. 간세포암종의 진단 기준은 간 조직검사에서 확진되었거나, 임상 검사에서 전이성 악성간종양을 배제할 수 있고 AFP의 증가 또는 복부 초음파상,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간동맥 조영술에서 전형적인 양상을 보인 경우로 하였다. 간경변증의 진단은 임상소견과 영상진단 소견만으로 진단하였다. 결과 : 간세포암종 자체의 병기, 형태학적유형, 크기 그리고 Child-Pugh 등급 모두 간동맥화학색전술 후 생존 기간과 역상관성을 보였다. 연속 변수들인 간기능 수치 중 알부민 농도만이 장기 생존에 순기능을 보일 뿐 alkaline phosphatase, LDH, GGT, AST/ALT 비, AST와 종양의 크기와 병기진행도와 관련 깊은 AFP 농도 등도 역기능으로 작용하였다. 로짓 회귀분석에서도 남자, 흡연력, 음주벽, 복수 등이 조기 사망에 어느 정도 영향력이 있는 반면에, 다변량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TNM 분류에 따른 종양의 병기는 유의한 의미가 없고 오로지 종양 자체의 유형과 문정맥 혈전의 유무, 그리고 Child-Pugh 등급만이 간세포암종 환자들의 생존에 관한 상대위험도를 제시할 수 있었다. 혈중 알부민 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연령이 높을수록 생존기간이 상승적으로 길어졌다. 하지만 연령이 높더라도 혈중 알부민 농도가 낮으면 생존기간이 짧았다. 한편 알부민 농도는 낮을수록 AFP은 높을수록 생존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혈중 알부민 농도는 높을수록 그리고 alkaline phosphatase가 낮을수록 생존기간이 길어졌다. 그리고 간세포암종의 병기가 초기일수록, 종괴의 크기가 작을수록 혈중 알부민 농도가 높아지면 생존기간이 길었다. 그러나 생존기간은 혈소판수가 높을수록 프로스롬빈 시간이 정상에 가까울수록 혈중 알부민 농도가 높아지면 생존기간이 길어졌다. 그렇지만 혈소판 수가 높거나 프로스롬빈 시간이 정상에 가깝더라도, 혈중 알부민 농도가 낮으면 생존기간이 짧았다. 결론 : 간세포암종 환자들에 대한 간동맥화학색전술 후 조기 사망이냐 장기 생존이냐를 가늠하는 잣대로서 종양 자체의 유형과 문정맥 혈전의 유무, 그리고 환자의 잔여 간기능지표들을 상호 상승적으로 반영하는 Child-Pugh 등급 등이 중요하다. Background/Aim: Although hepatocellular carcinoma(HCC) shows poor prognosis, transcatheter hepatic arterial chemoembolization(TACE) can improve survival rate in some patient group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ynergy effect of the different clinical indices on the survival time in patients with HCC underwent TACE.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241 patients with HCC who underwent TACE with a mixture of lipiodol, mitomycin-C and driamycin, alone or followed by gelfoam was conducted. Three different survival groups (A, less than 6 months; B, between between 6 and 23 months; and C, over 24 months) were compared. Results: Alkaline phosphatase was lowest in group C(p=0.0001). The longer the survival, the lower (p=0.027, p=0.007) the AST and AST/ALT ratio were. Albumin was higher (p=0.032), GGT and LDH were lower (p=0.003, p=0.002) in the long-term survival group. The long-term survival group revealed an absence of both ascites(p<0.002) and portal vein thrombosis(p<0.001), and lower TNM stage (P<0.0001). The single nodular type of HCC was more frequent (P<0.0001) and the size of tumor was smaller in the long-term survival group (P<0.0001). Child-Pugh class was lower in the long-term survival group (p=0.017). The higher serum albumin and elder age, the higher albumin and the lower alkaline phosphatase or alpha-fetoprotein, represented synergic effects on a long term survival. The higher albumin and the smaller size or the lower tumor stage, the higher albumin and platelet revealed similar synergy effects. Although the age or platelet is high, low albumin showed poor prognosis. Conclusion: Patients with small-sized single, nodular HCC in a low Child-Pugh class without evidence of ascites and portal vein thrombosis, and the higher level of serum albumin but lower levels of alpha-fetoprotein, alkaline phosphatase, GGT, and LDH, can expect a long-term survival over 24 months by the treatment of TACE. There are meaningful synergies of the different clinical variables affecting the survival times in the patients with HCC undergoing TACE.(Korean J Hepatol 2002;8:189-200)

      • SCOPUSKCI등재

        한국인 만성 B 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에서 B 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형의 분포

        한성희,이동후,이숭환,손주현,기춘석,김덕언,노병주,조승철 대한간학회 2001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7 No.4

        Background / Aims : Choronic HBV infection is associated with a wide spectrum of clinical manifestations, including asymptomatic carrier state, choronic hepatitis, liver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Genotypically, HBV genomes have been calssified into seven groups, designated A to G.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recently that HBV genotypic difference influence the severity of liver disease and clinical outcomes. The distribution of HBV genotypes in Korea and its clinical relevance are poorly understood.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HBV genotypes in Korea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istinct genotypes and the severity of liver disease. Methods : A total of 214 HBV-DNA positive serum samples, were used for the genotyping. All patients were HBV-bDNA positive chronic HBsAg carries. 199 patients were histologically verified with liver cirrhosis(6), chronic hepatitis(192) and fatty liver(1). The other patients were clinically diagnosed with liver cirrhosis(13) or hepatocelluar carcinoma(2). HBV genotype was determined by PCR using type-specific primers. Results : Genotyping was possible in all patients. Out of 214 patients, 213(99.5%) were HBV genotype C. Only one(0.5%) was genotype A, The patient with genotype A had minimal hepatitis as diagnosed by liver biopsy.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most all chronic HBV infections are genotype C in Korea. HBV grnoytpic difference therefore dose not influence the clinical outcome of HBV infection in Korea. Because genotype C may be associated with more severe liver disease, the predominance of genotype C in Korea may result in more severe outcomes than in other countries where other genotypes are predominant

      • HBeAg 양성인 만성 B 형 간염을 가진 젊은 남자 환자에서 조직학적 간염 활성도와 HBV DNA 의 관계

        한성희,이동후,이숭환,손주현,기춘석,노병주,신준재,조승철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1

        Background/Aim: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BV DNA and liver damage was found in precore mutant strain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viral replication and liver damage in HBeAg positive patients. Laboratory tests are often requested to predict hepatitis activity (grade) and fibrosis (stage) in HBeAg positive chronic hepatitis B. We assessed ALT, AST, and HBV-branched DNA to find which is the best for predicting hepatitis activity and fibrosis. Methods: Routine biochemical liver function tests and HBV DNA in sera were assessed in 119 young patients positive with HBsAg and HBeAg.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21±2 years. All patients were male.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lationships between laboratory data, hepatitis activity, fibrosis, or risk of chronic active hepatitis were analyzed.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minotransferase (AST, ALT) and hepatitis activity/ fibrosis. A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HBV bDNA and hepatitis activty was demonstrat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lobular activity,-0.305; porto-periportal activity, -0.410). But HBV bDNA was not correlated with severity of fibrosis. AST and HBV bDNA was the important test for predicting the more severe hepatitis activity (lobular activity and porto-periportal activity: score≥3, respectively) Conclusion: The higher AST, but the lower HBV bDNA, in sera shows the more severe hepatitis activity. AST and HBV bDNA could be helpful for assessing the hepatitis activity in young male patients with HBeAg positive chronic hepatitis B if proper reference values are used.(Korean J Hepatol 2002;8:44-5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