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默齋日記>의 서두 형식의 특징과 그 의미

        조수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硏究 Vol.- No.88

        The Mukjaeilgy(1535-1567) of Lee Mun-geon(1494-1567) was used as a Historical data to support or demonstrate various views on society, culture and institutions in the mid-Joseon Dynasty, around the 16th century. Many researchers have been trying to read the ages through the Mukjaeilgy.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read the person who is called Lee Mun-geon. This is because it is a piece of work that reflects the personality of the person who recorded it. There is no meaningful element in the work to the author. Even if it is a simple formal notation or habitual notation. What I notice in this paper is that it shows ‘obsession with place’ in the style of diary. At the start of the diary, the date and the weather immediately followed the word “where I stayed” as if it were official. In addition, before the exile ‘yeomag’, and after the exile ‘Mukjaedang’ was overwhelmingly. In other words, Mukjaeilgy can be summarized in sentences such as ‘I was at yeomag’ and ‘I was at Mukjaedang’. As a result, Lee Mun- geon’s life seems to have been summarized in these two sentences. His diary shows that he has compelled himself in his life. 默齋 李文楗(1494-1567)의 <默齋日記>(1535-1567)는 30여 년의 세월을 담고 있는 방대한 분량의 일기이다. 그래서인지 16세기를 전후로 한 조선중기의 사회, 문화, 제도에 대한 여러 견해들을 고증하는 사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많은 연구자들은 <묵재일기>를 통해 16세기 조선의 풍경을 읽어내려고 노력해왔다. 그러나 <묵재일기>를 통해 조선시대를 읽어내는 것 못지않게 일기의 주인인 ‘이문건’을 읽어내는 것도 필요한 일이다. <묵재일기>도 엄연히 그것을 기록한 사람의 개성이 투영된 한 편의 작품이다. 일기를 구성하는 모든 형식은, 다른 모든 글쓰기 장르가 그렇듯이, 거창하게 표현하자면 저자의 담론이 구체성을 띠고 나타난 결과다. 저자에게 의미 없는 작품의 요소란 없다. 그것이 형식적이고 습관적인 표기일지라도 말이다. 본고가 주목하는 것도 <묵재일기>가 보여주고 있는 형식적이고 습관적으로 여겨지는 기록 가운데 하나이다. 이문건은 매일의 일기를 시작할 때, 날짜와 날씨 정보에 이어 곧바로 ‘어디에 머물렀다.’는 말을 마치 공식인 것처럼 쓰고 있다. 그런데 그 기록이 정보로서의 기능이 거의 없는 불필요한 기록으로 보인다는 것이 문제다. 왜냐하면 이문건은 유배 생활을 하는 동안 거의 대부분 ‘(묵재)당’에서만 지냈기 때문이다. 다른 유배일기에서는 이런 경우 대부분 공간(장소)에 대해서는 기록하지 않고 생략한다. 그런데 이문건은 필요 없어 보이는 이 정보를 매일의 일기 서두에 반드시 기록하였다. 내가 어느 곳에 있는지를 명확히 한다는 것은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명확히 하는 것과 같다. 그는 ‘(묵재)당에 머물렀다’는 말로 늘 일기를 시작함으로써, 스스로는 인식하지 못했을 지도 모르지만, ‘(묵재)당에 머물러야 한다’는 당위를 자신에게 강박한 것인지도 모른다. 실제 일기를 살펴보면 그의 삶은 다채로운 편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매일의 일기가 시작되는 서두 부분의 반복적인 이 표현으로 인해 그가 삶의 대부분을 유배지의 제한된 공간 안에서 가문의 부활을 꿈꾸며 전전긍긍하며 사느라 전력을 다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형식적이고 습관적으로 보이는 서두의 이 반복적인 기록은 이렇듯 저자 이문건의 내면 풍경에 대한 단서를 우리에게 던져주고 있다.

      • KCI등재

        암행어사 일기 <서수일기西繡日記>를 통해 살펴본 기생의 지인지감知人之感의 실체와 의미

        조수미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7 민족문화논총 Vol.66 No.-

        The secret royal inspectors’ journals are the records of people and various events they would encounter during their secret inspection. While the formal inspection details of public servants were separately written and reported to a king in the form of official documents, the writings in journals would mostly be the less important stories of common people. The same is true for <Seosuilgi>, Park Rae-kyeom’s secret royal inspector, journal. Conversations among landlords in the lodge, common people meeting on the way, many rumors spread by them and the troubles from identity disguises were interestingly recorded in it. The comments about kisaengs and their Jiinjigam were by far the most intriguing. This research aimed to show about what kisaengs’ Jiinjigam in <Seosuilgi> are telling to us. It was shown that kisaengs had an insight into human nature only by observation and empirical wisdom based on the writings in the journal. This is compared to the aspect that people of different social classes and jobs reasoned with several clues and tried to find out the facts by using the information and grilling a secret royal inspector. Whereas most of kisaengs with Jiinjigam in historical romances (Yadam) and novels were depicted as the characters with a special ability, those in journals were just normal kisaengs like ‘an old kisaeng, a kisaeng and a young kisaeng’. Compared to kisaengs in Yadam or novels who perceived people with Jiinjigam, even developing them, a number of normal kisaengs in journals, who had somewhat outstanding talents, haven’t become special kisaengs in spite of possessing Jiinjigam. In short, Jiinjigam for kisaengs actually meant not a very extraordinary ability but a skill kisaengs created as a survival strategy under the conditions of their lives. If further investigated with more interest, it will be noticed that kisaengs have developed more survival strategies than that. They maybe became a master of life in a current sense. Without considering their Jiinjigam covered with romantic and fantastic colors, it should be followed by more comprehensive studies of their realities of life, an accurate and deeper understanding of inequality in the medieval rank society and ultimately which way human society needs to go to. The records of kisaengs in <Seosuilgi> help us presume their crude life they didn’t tell for themselves by showing the reality of their Jiinjigam presented as literary and mysterious in Yadam, novels and so on. 박래겸의 암행어사 일기 <서수일기>에는 신분을 위장하는 데서 겪는 곤란함이 흥미롭게 기록되어 있다. 그 중 시선을 사로잡는 것은 기생들이 어사들을 알아보는 지인지감에 대한 언급들이다. 본고는 <서수일기>에 기록된 기생들의 지인지감이 우리에게 무엇에 대해 말해주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일기에 기록된 것을 토대로 살펴본 결과 기생들은 오로지 관찰과 경험적 지혜로 어사들의 위장을 꿰뚫어 보고 있었으며, 어사들이 무슨 변명을 하여도 그것에 개의치 않고 자신의 지인지감에 대해 확신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다른 계층이나 직업군의 사람들이 여러 가지 정보를 활용해서 어사의 정체를 추리하거나 자신들의 그러한 의심을 확인하기 위해 어사를 추궁하곤 했던 것과 비교되는 점이다. 그리고 야담 등의 이야기 속에는 지인지감을 발휘하는 기생들이 대부분 특별한 능력의 소유자로 그려졌지만, 실은 지인지감이 보통의 기생들에게도 발견되는 일상적 능력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지인지감이란 기생에게 있어서 매우 특별하고 예외적인 능력이었다기보다는 그녀들이 자신이 처한 삶의 조건 속에서 나름의 생존전략으로 터득한 재주였던 것이다. <서수일기>의 기생 관련 기록은 그녀들의 지인지감의 실체를 보여줌으로써, 그녀들이 스스로 말하지 못한 삶의 생살을 짐작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기록들을 통해 기생들이 가진 지인지감에 낭만적, 환상적 색채를 덧씌워 바라보는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고 그녀들이 처한 삶의 현장, 더 나아가 중세 신분사회의 불평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어린이 학습만화에 나타난 아프리카에 대한 서술의 변화 양상 (2002 ∼ 2013)

        조수미,손정훈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7

        Africa have changed in children’s educational comics, with Africa as the central theme, published from 2002 to 2013. In previous studies, four main categories depicting Africa were identified: The natural environment, cultures and history, economy and aid, and the image of African people. Commonly occurring images in educational comics were then analyzed and examined. The ways in which descriptions of Africa differed before and after 2010 were also identified. The way in which educational comics depicted images of Africa prior to 2010 tended to be fragmented and dominated by Western perspectives. Before 2010, Africa was typically illustrated as a paradise of animals. Comics routinely overstated European colonization and Egyptian civilization. In addition, it was always represented as undeveloped, giving no background facts, and in a way that depicted only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African people. However, after 2010, these portrayals changed, signaling an era of more objective and constructive descriptions. This research shows how educational comics depicting Africa have changed since 2010. The prejudiced perspectives of Africa may affect children’s cognitive formation, implant distorted images, and lead to social stereotyping. Therefore, to ensure future generations are afforded an objective perspective, educational comics should show a balanced view of African cultures. For this reason, the variations in descriptions of Africa in educational comics can be interpreted as positive. 본 연구는 아동학습만화에서 아프리카에 대한 서술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는 아프리카를 중심 주제로 다룬 아동학습만화 중에서 2002년 이후 출간되어 2013년 현재도 시판되고 있는 8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 우리 사회가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반복적으로 재생산하고 있는 아프리카에 대한 편견은 자연환경, 문화ㆍ역사, 경제ㆍ구호, 아프리카인이라는 4개 영역으로 구분지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영역에 따라 서술내용을 1차 분석한 결과, 모든 학습만화에 공통적으로 비중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내용으로 야생 동물의 천국, 식민지 역사, 이집트 문명, 가난과 풍부한 자원, 인종과 피부색이라는 주제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서술하는 관점은 2010년을 기점으로 하여 달라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는 2010년을 전후하여 이 공통 주제에 대한 서술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기 학습만화에서는 제국주의 시대에 서구에 의해 만들어진 아프리카에 대한 이미지가 여과없이 그대로 소개되는 데 반해, 2010년 이후의 학습만화는 아프리카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근거하여 오늘날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무기력한 모습이 아니라 오랜 역사와 독자적 문명을 가진 주체로서 아프리카인을 보여주는 방향으로 서술이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한ㆍ아프리카 관계의 미래 지향적 발전을 위해서는 문화적 상호 이해가 가장 중요한 기반을 이룬다는 점에서, 어린이들의 인지 형성에 큰 영향을 주는 학습만화의 이러한 변화는 긍정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박우현의 유배일기 <玆山錄>의 서술상 특징 연구

        조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한국고전연구 Vol.- No.57

        〈자산록(玆山錄)〉은 조선 말기 문신인 박우현(朴遇賢, 1829〜1907)이 12년간 흑산도에 유배되었던 일을 기록한 유배일기이다. 유고문집인 『금파유집(錦坡遺集)』에 실려 전한다. 〈자산록〉은 다양한 가치를 지닌 흥미로운 자료인데, 본고는 특히 〈자산록〉의 서술상 특징을 탐색한 것이다. 〈자산록〉의 서술상 특징으로는 우선 기록의 빈도와 분량이 유배의 정황과 긴밀히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서두와 결미 부분이 기능적으로 적절한 역할을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감 있는 텍스트의 모양새를 갖추었고, 마지막으로는 적절한 묘사를 통해 정서를 극적으로 표현했으며, 인용을 통해 정보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자산록〉의 이와 같은 서술상 특징은 유배일기의 보편성과 개별성의 측면으로 다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유배일기로서의 보편성이란 ‘유배’라는 한편으로는 독특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전형성을 띤다고 할 수 있는 경험을 기록한 것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갖게 된 특성이라 할 수 있고, 개별성이란 일기가 그것을 기록한 저자의 개성이 드러나는 엄연한 문학적 기록물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성이라 할 수 있다. ‘기록의 빈도 및 분량과 유배 정황의 상관성’이 전자인 보편성에 해당하고, ‘서두와 결미’, ‘묘사와 인용의 활용’이 후자인 개별성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북관노정록의 유배 예조몽(流配 豫兆夢) 연구

        조수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3 石堂論叢 Vol.0 No.57

        On the Exile diary, Exiled predictive dream often.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a lot of hard to believe. If the fictitious novel and it was the same as the things, the possibility of this story of a dream to make pixel organized will be perceiving it would. However, it is a factual documentary of the first-person diary. Therefore, we cannot deny the historicity of the record. As a result, Exile putting a comment meaning fate and his innocence seems to want to. By doing so, they could endure the reality. 유배 일기에 등장하는 유배를 예조(豫兆)하는 꿈 모티프는 허구적인 서사물에서 꿈이 담당하는 복선의 기능과는 다르게 이해해야 한다. 본고는 유의양의 유배일기인 『북관노정록』을 중심으로 유배 예조몽이 어떤 맥락에서 쓰여진 것인지 탐색하였다. 그 결과 유배 예조몽은 유배에 운명적 의미를 덧씌움으로써 유배의 형벌적 의미를 희미하게 만들고 있다고 보았다. 이는 『북관노정록』 뿐만 아니라 확인할 수 있는 다른 유배관련 기록에서도 종종 발견되는 모습이기도 하였다. 유배일기의 서술자들은 유배가 죄의 유무와는 별개로 이미 운명적으로 예정되어 있었다고 말함으로써, 자기표백의 수단을 얻게 됨과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유배라는 예기지 못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정신적 근거를 확보하고자 한 것이다.

      • KCI등재

        호환 가능한 임플랜트 보철용 유지 나사들의 형태 비교와 풀림 회전력의 측정에 관한 연구

        조수미,임주환,조인호,Cho, Su-Mi,Lim, Ju-Hwan,Cho, In-Ho 대한치과보철학회 199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36 No.3

        Since the concept of osseointegration was introduced by Branemark of Sweden, dental implants have been used for various dental prosthetic treatments. The survival rate of dental implant is likely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total biomechanical role of each component of implant system. The use of interchangeable component is very attractive for dental practitioners because such an approach would save treatment cost, flexibility of prosthetic treatment options as well as conveniences. Therefore, the use of interchangeable implant system has been increasing without scientific assessment of safety and efficacy of various interchangeable implant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were to compare the geometric characteristic of four interchangeable dental implant screws and the loosening torque of these screws. Four types of dental implant screws tested in this study were Nobelpharma, 3i, Impla-med, Restore. Four screws each of the test specimens were subjected for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s under the same condition and a 35x magnified standard SEM picture was objected from each test specimen using JSM-5200 scanning microscope. From each of the SEM pictures, eight parameters. i.e., diameter of screw head. screw length, thread pitch, major diameter. neck diameter, neck length, crest width and root width were determined using a caliper. The measurement for each parameters were then corrected for their magnification factor. The loosening torque were also determined by using a torque gauge. All of the measuremen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ANOVA test and multiple range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in advance at the probability level of less than 0.05. All analyses were done with SPSS software for the personal computer. The conclusion obtained from this studies we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s were noted in the thread pitch. and crest width in the four screws, and in the case of major diameter, the Impla-med screw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other three screws (p<0.05). Therefore, four implant bolts could be physically inserted in a abutment nuts. 2. The diameter of screw head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Restore, 3i, Nobelpharma, Impla-med screws and the length of screws were decreased in the order of 3i, Restore, Nobelpharma and Impla-med. The diameter of neck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Impla-med, Restore. Nobelpharma, 3i screws. The differences of each of these paramet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width of root of screws were decreased in the order of Nobelpharma, Impla-med, Restore and 3i. The differences among Nobelpharma and Impla-med. Restore and 3i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3. When the screws were loosening 1, 3, 4 and 5 times, the loosening torque for Impla-med and 3i screw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belpharma or Restore screws (p<0.05). However, when statistically smaller than that of 3i, Restore or Nobelpharma screws(p<0.05).

      • 일본의 SIM 잠금해제 정책추진 동향

        조수미,김성철,Cho, S.M.,Kim, S.C.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0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5 No.5

        일본 총무성은 2010년 6월 30일 SIM 잠금해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여, SIM 잠금 정책을 구제화 하였다. 이를 통해 2011년 4월 이후 출시되는 단말부터 이동전화사업자는 이용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 SIM 잠금을 해제해야 한다. 이것은 지금까지의 갈라파고스 신드롬으로 불리는 기술 국수주의를 극복하고, 이동통신소비자들의 선택권을 확대하는 동시에 통신사업자들의 시장경쟁을 활성화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NIT 도코모와 KDDI는 총무성의 SIM 잠금해제 정책에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반면, 소프트뱅크 모바일은 자사의 아이폰 가입자를 도코모로 유인하려는 의도로 생각하여 반대의 입장을 표명하고 있어 총무성의 SIM 잠금 해제 정책이 일본의 이동통신시장에 미치는 효과가 어느 정도일지는 지속적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