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계성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연구

        조민지,이은화,이영남 한국기록학회 2020 기록학연구 Vol.0 No.66

        This treatise focuses on archival service based on social relationship. We hope to seek the possibilities of archival immediate service by this treatise. We cover the 'Youth Archivists Program' of '4.16 memory archives' at this time. This archives has a special meaning in Korea. 'Youth Archivists Program' is an program of archival service in this archives. We suggest archival service based on social relationship by this case study. We have verified that there are some archival services based on social relationship in Korea. We hope that archival service based on social relationship should be an serious issue in Archival community. 이 글은 '관계성 기반 기록정보서비스'를 기조로 삼아, 아카이브의 직접적 서비스의 가능성과 의미를 탐구한 글이다. 주요 사례로 삼은 것은 4.16 기억저장소의 청소년 기록단 활동이다. 4.16기억저장소는 한국 사회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아카이브이다. 청소년 기록단 활동은 4.16기억저장소라는 아카이브에서 제공하는 기록정보서비스의 일환이다. 특히 기억교실 활동, 기억전시관 활동을 다루었는데, 이를 통해 관계성 기반 기록정보서비스의 가능성과 그 함의를 구체적으로 짚을 수 있었다. 한국 사회는 관계성이 취약한 사회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비단 기록정보서비스뿐만 아니라 기록관리 전반에서, 관계성 기반 아카이빙이 공공아카이브와 민간아카이브에서 이미 여러 방식으로 시도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카이브는 취약한 사회에서 사회적 유대감을 복원, 강화하는 사회적 노력에 동참해오고 있었다. 아카이브의 직접적 서비스, 특히 관계성 기반의 기록정보서비스를 논의할 필요를 여기에서 찾아본다.

      • Efficient engineering for tyrosine production from acetate in E. coli

        조민지,노명현,임현규,강채원,임대균,오민규,정규열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0

        Acetate is one of promising feedstocks owing to its cheap price and great abundance. Here, we engineered a previously reported strain, SCK1, for efficient production of tyrosine from acetate. Initially, the acetate uptake and gluconeogenic pathway were amplified to maximize the flux toward tyrosine. As flux distribution between glyoxylate and TCA cycles is critical for efficient precursor supplementation, the activity of the glyoxylate cycle was precisely controlled by expression of isocitrate lyase gene under different-strength promoters. Consequently, the engineered strain with optimal flux distribution produced 0.70 g/L tyrosine with 20% of the theoretical maximum yield which are 1.6-fold and 1.8-fold increased values of the parental strain. This is the first demonstration of tyrosine production from acetate. Our strategies would be widely applicable to the production of various chemicals from acetate in future.

      • KCI등재

        창의적으로 수업하는 교사’의 특징은 무엇인가?: 초등학교 A교사에 대한 생애사적 사례 연구

        조민지,김병찬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敎育問題硏究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the teacher who gives creative lessons’. For this, we conducted an interview with the teacher who gives creative lessons recognized by the teachers of schoo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teacher giving creative lessons uses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such as ‘using authentic materials’, ‘stepwise learning activities’, ‘mathematical play’, ‘finding the answers yourself’ based on ‘a student-led class’. With the strategies, the teacher helps students be interested and absorbed in the lesson. The background context of the teacher in on the basis of the ‘personal disposition’, ‘a mentor teacher’, ‘the reading habits’. Then ‘concerns’, ‘leisurely life’ act as an intermediary causes. We discussed four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who gives creative lessons on the authorit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ose are concerns for the children, steady learning, responsibility and passion, and student-centered perspective. 본 연구는 ‘창의적으로 수업하는 교사’의 특징과 배경을 탐구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학교현장의 교사들이 인정하는 ‘창의적으로 수업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생애사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창의적으로 수업하는 교사’는 초등학교 수학 수업을 하면서, ‘아이가 주인인 수업’을 기초로, ‘구체물로 수업하기’, ‘단계 수업’, ‘놀이 수학’, ‘스스로 찾기’의 수업 전략을 사용하고,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몰입과 재미’를 만들어 내는 교사였다. 그리고 이러한 수업을 하는 교사의 배경 맥락은 ‘개인적 성향’, ‘멘토 교사’, ‘독서 습관’ 등의 기반 요인의 토대 위에서, ‘상심’, ‘삶의 여유’ 등의 매개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창의적으로 수업을 하는 교사의 네 가지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는데, 아이들에 대한 상심, 꾸준한 학습, 책임감과 열정, 아이중심의 관점 등이었다.

      • KCI등재

        국가기록 전시의 의미화에 대한 이용자 수용과 변화에 관한 연구

        조민지,Jo, Min-ji 한국기록학회 2018 기록학연구 Vol.0 No.57

        기록은 그 속성이 주는 견고하고 사실적인 능력으로 인해 시각적 이미지 를 통한 전시 프로그램에 주요 동원 매체가 되었다. 시각적으로 재현된 이 미지는 그 메시지를 소비하는 집단이 개별적으로 수용하여 의미적 이미지 로 발화된다. 본 연구는 기록이 사회적 생명력을 갖고 기록의 전시를 통해 돌아오는 것이며 이미지와의 작용을 통해 과거를, 기억을 ‘재매개’한다는 문 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기록의 활용 중 전시를 이용자 분석의 대상으로 삼 은 이유는 전시가 기록을 선별, 배치하는 과정 속에서 그 기관의 정체성을 가장 분명하게 드러내 보일 수 있는 도구이자 매개체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국가기록 중 특히 기억 갈등의 중심에 있는 “대통령” 기 록 전시를 기억의 문화적 실천 관점에서 분석한 후 이용자들의 실제 전시 관람과 설문을 통해 어떻게 전시 의미를 수용하고 저항하는가에 대한 실 증적 연구와 결과를 밝혔다. Records, especially the authentic records the nation secured, have an ontological feature of proof that is able to persuade the current present of the past present, and inherent in it is faith that originates from fundamental objectivity. Therefore the image of silence that such strictness of records creates realizes the detonation of specific memories through the act of visual exhibition. This research started from the notion that records achieve social vitality and return through its exhibition, as well as the critical awareness that it ‘re-mediate’ the past and memory through interactions with image. The reason for viewing the archival exhibition as the subject of user analyzation is that in the process where exhibition sorts and arranges records, it is the tool and mediation that most distinctly exposes the identity of the archives. Hence, this research first analyzes national archives, particularly the exhibition of “presidential” records, which is in the center of memory conflict, in the viewpoint of the cultural practice of memory. Afterwards, it discusses empirical research and results on how users accept and resist the meaning of the exhibition through actual surveys of users after their viewing of an exhibition.

      • KCI등재후보

        대통령 기록관의 서비스 프로그램 사례 연구

        조민지 한국기록관리학회 2006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6 No.2

        Presidential records which have produced during a presidency as a national center are the evidence of the presidency and main historical records. We have the responsibility to establish fundamental systems to produce such main historical records and to manage such main historical records which could help people and history to judge the presidency based upon the evidence of their activities. The historical appraisal could be achieved not by memory but by evidence. A draft of a proposed law on the management of presidential records which includes the establishment of presidential libraries for the presidential records Mecca is being moored at the National Assembly now. The presidential library is to be considered as a multi-functional national institution which is carrying out the role as an Archives, Museums and Center for the education. In addition, it is imperative for a presidential library to provide user-oriented services to enrich the usability and the value of records, recognizing the change of administration paradigm from a supplier-oriented system to a customer-oriented system. This dissertation, in order to develop presidential library service programs focusing on customers rather than the convenience of administration, reviewed programs of the U.S. presidential libraries as a developed case and proposes guidelines and applicable sampl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presidential library service programs. 한 나라의 중심에 서 있는 대통령과 관련하여 생산해 낸 기록물은 대통령직 수행의 증거이며 역사적 핵심기록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역사가 그들 활동의 증거를 토대로 심판할 수 있도록 이 핵심 기록을 제대로 생산하도록 제도적 기반을 갖추고 잘 관리해야할 책무가 있다. 역사적 평가는 증거 없는 기억만으로 이뤄질 수 없기 때문이다. 2007년 초 현재, 대통령기록물의 메카가 될 대통령 기록관 설립에 관한 의무조항을 포함한 대통령기록물관리법률안이 국회에 계류 중이다. 대통령 기록관은 기록관 기능에 박물관, 교육 센터 역할을 수행하는 다기능적 국가기관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또한, 이용도와 사료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수요자 지향적 행정 패러다임의 변화를 인식하고, 이용자 관점에서 서비스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행정 편의보다는 이용자 위주의 대통령기록관 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미국 대통령 기록 박물관의 프로그램을 선진 사례로 먼저 살펴본 후, 한국 대통령 기록관의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 적용 가능한 예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1960-70년대 서울의 도시공간 변화와 여성 버스안내원의 노동

        조민지 한국여성사학회 2022 여성과 역사 Vol.- No.37

        1960-70년대 박정희 정부 시기 정부가 추진하던 근대화 프로젝트는 균질한 공간이 아니라 자본과 인구가 이동하며 끊임없는 불균형을 만들어내는실제 도시공간에서 일어났다. 이 과도기는 구성원들이 공간에 대해 가지는 감각을 재편하는 과정이기도 했는데, 그 핵심에 이동수단의 변화가 있었다. 새로운 교통수단이 등장할 때마다 도시공간의 구성과 구성원들의 일상이 달라지고, 그에 따라 현장에 배치된 서비스 노동자에게 요구되는 노동의 종류도 달라졌다. 정부가 도시의 교통체계를 재편하고 업자들이 그 속에서 수익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형태의 이동에 따르는 위험은 물론 이동수단의 변화에서 소외된 구성원들의 불만을 관리할 필요가 있었다. 이 과정을 가능하게 했던 것은 현장에서 취약한 지위의 여성 서비스 노동자들이 수행한 구체적인 노동이었다. 교통정책의 구체적인 모습을 현장에서 직접 구현하는 버스안내원들은 승객들이 인간의 형태로 가장 먼저 대면하는 시각화된 대중교통 “정책”이고 “서비스” 자체였기 때문이다. 이들은 자신들이 생산해 낸 이동 서비스에서 소외되었을 뿐 아니라, 그 생산물에 부수하는 위험과 차별에 대한 사회적 비용까지 감당해야 했던 것이다.

      • KCI등재

        이미지의 시대 기록전시와 사진기록

        조민지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39

        For a society to be constantly sustained, it needs its past memories to be made present into cultural memories. The state of oblivion resulted from the time difference of the past and the present is commonly made present into commemoration days or memorial spaces. Each has its own form of representation it reflects, but all are related to how past is remembered and how it will be formed. Records, especially the authentic records the nation secured, have an ontological feature of proof that is able to persuade the current present of the past present, and inherent in it is faith that originates from fundamental objectivity. Therefore the image of silence that such strictness of records creates realizes the detonation of specific memories through the act of visual exhibition. Hence, this paper endeavors to examine how the national records, particularly the photographical records, was utilized and how it influenced the people and the society after its organization, through analysing examples of memorial spaces. 한 사회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지난 과거의 기억을현재화하여 문화적 기억으로 생산해내는 것을 필요로 한다. 과거와 현재가 갖는 시간적 격차에 의한 망각의 상황은 흔히 기념일이나 기념 공간 등으로 현재화되고 있다. 각기 반영하는 재현 형식은 다르지만 지나간 과거가 어떻게 기억되고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와 관련되어 있다. 기록, 특히 국가가 확보한 진본 기록은 지나간 현재에 대하여 지금의 현재에 설득이 가능한 증거라는 존재론적 특징을 가지며 근원적 객관성에서 연원한 신뢰감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이 가진 이러한 엄정함이 만들어내는 이미지는 시각적 전시 행위를 통해 구체적 기억의 촉발성을 구현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재현 공간에서 과거를 이해하는데 국가기록, 특히 사진기록의 의미와 전시 활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기억의 재현과 기록 기술(archival description) 담론의 새로운 방향

        조민지 한국기록학회 2011 기록학연구 Vol.0 No.27

        기록관은 과거의 기록들을 보존하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과거가 구성되고 만들어지는 장소이기도 한다. 이런 구조는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관심에 종속되어 있을 뿐 아니라 본질적으로 현재의 지배적인 의사소통매체와도 연관을 맺는다. 우리에게 주어진 기록의 맥락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미래에 전달하려는 노력으로 원질서 원칙과 출처 존중의 원칙에 따라 기록을 정리하고 기술한다. 이 기록 기술(archival description)이란 무엇보다도 기록의 진본성을 재현하는 방법으로, 기록물의 설명을 통해 전체 맥락 안에 위치시키고 내용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리와 기술이 아키비스트의 가장 고유한 역할이지만, 그리고 정리와 기술을 통한 아키비스트의 기록 원형에 대한 중재가 아무리 원질서 존중의 원칙과 출처의 원칙이 엄격히 지켜지고 고수된다 하더라도, 기록 전반의 단계를 통해 미치는 아키비스트의 영향을 막을 수는 없다.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보관자로 정의된 아키비스트들이 평가 선별하는 기록물에 대해, 생산하는 검색도구에 대해, 그리고 기록의 공정하고 정확한 재현으로서 기록 기술(archival description)을 보는 여전히 변치 않는 관점에 대하여 되짚어 보고, 고도의 기술 환경 속에서 아키비스트의 일방적인 정보 전달, 그리고 아카이브즈의 국가 중심적이고 단정적인 구조에 대한 재고와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에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 This paper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y and archives by exploring the concepts and meaning of archivist and archival description. The author considers the metaphor of archives as memory and relates our understanding of creation, arrangement, preservation, description, and use of records and archives. The author argues that archivists demonstrate their knowledge and background when they organizing and preserving records and archives.

      • KCI등재

        민주주의 관점으로 본 국가기록관리체계 평가와 전망

        조민지,이영남 한국기록학회 2017 기록학연구 Vol.0 No.53

        This article adapts the democratic approach to the National Archives System. We must now search for a new archival landscape. Authors are agreeing that democracy is a basic principle for the new national archives model.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direction of reform of the national record organizations in terms of individuality, integrity, and professionalism. It is, the fact that there are discussions rising on the need to reform the national records organization in the recent perspective of democracy. Democracy is a system that takes responsibility of even the results. This article describes all the discussions on what the best model for national archives system could be. In this social regulation, the archives carry out a noble mission of accountability. The discussion that suggests a clear perspective of democracy must be taken in to notice. Authors try to represent the voices of records managers. They also argue that records managers are the common wealth for our society. The national archives system is now the signature for the moral identity of national ruling powers. We argue that the new archives model should be derived from the point of the Candle Revolution. 본 논문은 국가기록관리체계를 민주주의 관점에서 보았다. 지난 10년의 국가기록관리체계를 평가하고 새로운 국가기록관리체계를 전망하기위해서는 민주주의가 우선이 되어야 할 것 같다. 지난 10년의 아카이브가쭈그러진 아카이브였다면, 새로운 아카이브는 어떤 아카이브이어야 할까? 쭈그러진 깡통을 펴듯이 망가지기 전의 상태로 복구하는 게 필요한 일인줄 알면서도 새로운 기록풍경을 그리는 것도 그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보았다.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민주주의의 가치를 제도화하는 아카이브 전망에대한 것이다. 나아가 일상적 민주주의에서 아카이브는 무엇을 할 수 있을지도 짚어보았다. 이를 위해 그간의 국가기록관리기구 개편 제안을 체계적으로 검토했다. 그 다음에는 공공기록관 기록관리직의 목소리를 재현해보았다. 기록관리직은 지난 10년 동안 기록공동체와 우리 사회가 일군 사회적자산이기 때문에 그 목소리가 무엇을 원하는지 들어야 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기록은 이제 단순히 통치의 수단이 아니라 그 통치의 정통성을 규정하는 통치의 기반이 되었다. 이처럼 기록의 사회적 역할과 의미가 달라졌다. 1999년 시점이 아닌 2017년 시점에서, 국가아카이브의 기록풍경을 다시 그려야 할 것이다. 이런 과제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민주주의 관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 기억 시대의 기록과 정보서비스

        조민지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0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0

        The journey of mankind to reclaim memory and knowledge, leaving traces and records, has always been in the history of storage media, science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With the great influx of digital information, our memories also have to depend on digital memories. Instead of securing cultural diversity after digital media became possible to record, the ability to produce information has surpassed the ability to store. It is an age of information overproduction, but its storage and management methods are also dependent on the possibility of damage. It is clear that personal memory and shared knowledge have enabled cultural diversity through digital networks, but it is also evident that not only the future of collective memory but also the past must follow the memory system with the digital age. Is a memory stored as data considered as a memory? We can only imagine and predict how much digital memories will be useful and what traces of current information will remain and can be called in the future. So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it was digitally remembered, in the end, memory is not relating to the past, but about the “future.”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ouch on the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on services and users of information in an age of digital memory, and to consider a new recombination discourse. 인류가 기억과 지식을 흔적과 기록으로 남기고 다시 찾기 위한여정은 항상 저장 매개체와 과학, 기술 발전의 역사 안에 있었다. 방대한 디지털 정보가 쏟아지면서 우리의 기억도 디지털 기억에 의존해야 하는 시대이다. 디지털 미디어에 기록화가 가능한 이후 문화적 다양성을 확보한 대신 정보 생산 능력이 저장 능력을 능가하게 되었다. 개인, 사회적 기억과 공유된 지식이 디지털 네트워크로 인해 문화적 다양성을 가능하게 한 것은 분명하지만, 집단 기억의 미래뿐만이 아니라 과거까지도 디지털 시대에 맞게 기억 체계를 맞추어가야 하는 것도 분명하다. 데이터로 저장된 기억은 기억일까? 디지털로 기억된 기억은 미래에 얼마만큼 유용하고, 현재의 정보는 어떤흔적으로 남아 앞으로 호출될 수 있을까? 그런 점에서 디지털로 기억되었든 아니든 상관없이 결국 기억은 과거가 아니라 “미래”에 관련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로 기억하는 시대에 디지털 정보 서비스와 이용자 간의 병렬적 관계를 생각하고, 새로운 재결합담론을 고찰해 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