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정정보시스템 분류 방식을 적용한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의 실제적 실행연구

        김수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2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4

        대한민국 정부가 전자정부 구현을 목표로 한 이래 종이기록물은 빠르게 전자기록물 형태인 데이터세트로 전환되어져 왔다. 이런 시기에 맞추어 2020년 3월 31일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으로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의 의무사항이 법적으로 지정됨에 따라 2000여개 공공기관에서는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중요 쟁점이 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기록원에서는 2019년도부터 현재까지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체계구축 사업을 통하여 각 공공기관에서 실행해야 할 사항들을 컨설팅하며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예산에 따른 지원범위가 한정적이여서 사업에 참여하지 못한 많은 공공기관들은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실행에 대한 많은 어려움으로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런 시점에서 본 연구는 중앙 행정기관, 지자체, 교육청, 정부산하 공공기관, 대학교들의 유형별 기관들이 보유하고 있는 주요 행정정보시스템들을 업무 목적, 자원의 권한 방식, 구조 방식으로 분류하고 그 분류의 결과를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절차인 기록관리 대상선정, 관리기준표 작성 및 보존기간 책정, 데이터세트 처분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에서 접근하기 쉽고 구체적으로 참조할 수 있는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실행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공공데이터 기록관리 활성화와 큐레이션 활용방안 연구 - 공공데이터포털, 혜안시스템을 중심으로-

        이상헌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0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1

        Our society is now fac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vast amount of data, called ‘big data’ in various industrial and research fields, is analyzed and used as a new method of business operation and research. In the field of record management, electronic records of data types, such as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s, began to be managed in earnest. In the field of record management, the government has started to manage records information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data records) such as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 data sets, and in order to capture and manage them as records, it has reorganized the relevant statutes and is carrying out practical projects for data records management at public institutions, which are actually records management sites. However, data logging differs from traditional document types in management and utilization. Data records with the structure of DBMS are managed in a system unit (table unit) unlike the traditional method of record management in the form of iron and building, and Article 34-3 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stipulates that ‘the head of a public institution shall manag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s as a basic unit.’ Due to the nature of the data type, there is also a differentiated feature that can discover the convergence value beyond the valuation value of each data record and utilize it as a record information service. Currently, the management and service of public data are represented by the “Public Data Portal” operated by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Agency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the “Hyean System” operated by the National Intelligence Resource Management Agency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ublic data portal, which currently manages and utilizes public data, and big data, we will analyze the case of the “Hyean System” that discovers and creates the value of new data information through the convergence of data information values, and present ways to promote public data record management and utilize curation of public data records. 우리사회는 지금 4차산업혁명을 맞이하고 있다. 다양한 산업분야와 연구분야에서 ‘빅데이터’라고 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새로운 기업운영방식과 연구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기록관리분야에서도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와 같은 데이터 유형의 전자기록을본격적으로 관리하기 시작하였다. 기록관리분야에서는 특히, 행정정보 데이트세트와 같은 공공데이터 기록을 관리하기 시작하면서이를 기록으로 포착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관련 법령을 정비하고 있다. 그리고 실제 기록관리현장인 공공기관에서는 데이터 기록 관리를 위한 실무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 기록은 기존의문서형태의 전자기록 유형과는 관리와 활용에 있어서 그 패러다임을 달리한다. DBMS의 구조를 갖는 데이터 기록은 기존의 철.건 형태의 기록관리 방식과 달리 시스템 단위(테이블 단위)로 관리되고있으며 데이터 형태의 특성상 그 활용에 있어서도 각각의 데이터기록의 평가 가치를 넘어서는 융합적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기록정보서비스로 활용할 수 있는 차별화된 특징이 있다. 현재 공공데이터의 관리 및 서비스는 행정안전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운영하는 ‘공공데이터포털’과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운영하는 ‘혜안시스템’이 대표적이다. 이에 현재 공공데이터를 관리하고 활용하고 있는 ‘공공데이터포털’과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데이터 정보 가치의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공공데이터 정보의 가치를 발견하고 창출하는 ‘혜안시스템’의 사례를 분석하여, 공공데이터 기록 활용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기록정보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방법론과 실제 -성공회대 민주자료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소망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0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0

        The present study will be focused on exploring the quality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Sungkonghoe University’s Demos-Archives. Additionally, the study verified how this would affect the user satisfaction and their willingness to use the service again. Also, an integrated study was conducted by supplementing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analyzing the interviews on user satisfaction. Furthermore, few suggestions were offered in ameliorating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that would prompt users to utilize the services again and the future direction it might adopt. Accordingly, a research model was implemented which in turn will enable us to a conduct professional statistical research whereas conducting interviews simultaneously, ergo the major elements of the model based on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are the following four, quality of the archival Information, quality of the access service, quality of the archival Information online system, and quality of the off-line infr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quality of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as well as its offline facilities did significantly affec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users and their willingness in using the service again. Even though the results from the quality element from the access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user satisfaction, the element of returning users showed responsiveness and perceptual openness were quite significant. It might be necessary more systematic research is continued on the diverse types of private archive services, by evaluating and checking the user data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rivate archives and in implementing needed improvement measures respectively. 본 연구는 성공회대 민주자료관의 기록정보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이것이 이용 만족도와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으며, 면담연구를 통해 연구결과를 보완하는 통합연구를 수행하여 이용자들이 만족을 느끼고, 또 기록관에 재방문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기록정보서비스 개선방안과 앞으로 성공회대 민주자료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기록정보서비스를 기록정보 품질, 접근 서비스 품질, 온라인 시스템 품질, 오프라인 시설 품질의 네 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여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한 전문적 통계연구와 면담연구를 동시에 진행·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록정보 품질과 오프라인 시설 품질이 각각 이용자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재이용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접근 서비스 품질 중 응답성은 이용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재이용 의도의 경우 응답성과 공감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다양한 유형의 민간기록관 각자의 현장 수요에 맞는 이용자데이터 중심의 평가·점검 및 개선방안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 또한 계속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만화가 컬렉션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정리․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양월운,김연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2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4

        Content called ‘cartoons’ can be said to be the most effective means of delivering content. As a fictional character draws information as a scene with facial expressions and gestures, the visual effect is very large compared to reading a record consisting of only text. Therefore, in the past, cartoons were merely tools for fun, but today’s cartoons are demonstrating their value as information resources by showing excellence in content delivery, ripple power and professionalism. While research on cartoons is actively conducted, research on cartoonists is rather incomplete. Even a search based on the keyword ‘cartoonist’ in the National Assembly Electronic Library results in less than 1/3 of the search results for ‘cartoon’. In terms of records management, we need to look at ‘cartoonists’ as creators of records. ‘Creator’ refers to a person responsible for producing, preserving, and maintaining ‘records’. In the InterPARES Project, ‘author’ is defined as a person or institution with authority and ability to produce records. Then, wouldn’t it be necessary to study the ‘manga artist’ who produced the record of ‘Catoonist’ and the related ‘publisher’ or ‘editor’? In particular, if ‘Cartoon’ is collected from private record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production context of ‘why’, ‘for what’, and ‘how’ the records were produced, and it is necessary to confirm who the producer is. In this research paper, we will take a look at the archiving arrangement and classification method for cartoonists from the point of view of story communicators who convey information and producers of ‘Cartoon’. ‘만화’라고 하는 콘텐츠는 내용전달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만화는 가상의 캐릭터가 ‘정보’를 표정과 몸짓을 담아 장면과 함께 ‘칸’ 단위로 상황을 전개해 나감으로써 이야기의 흐름을 이끌어 나간다. 때문에 ‘텍스트’로만 구성된 기록을 읽는 것에 비해 높은 시각적인 효율성으로 많은 영역에서 만화, 카툰, 애니메이션, 웹툰 등의 ‘콘텐츠’로써 활용되고 있다. 그래서 과거에는 단순 쾌락을 위한 도구에 지나지 않았다면, 현재의 ‘만화’는 내용 전달력, 전파성 및 파급력 그리고 전문성 등에서 우수성을 드러내며 ‘정보자원’으로써 아카이빙 방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반면, 이러한 만화를 제작한 ‘만화가’에 대한 연구는 ‘만화’ 자체에 관한 연구보다 미비한 편이다. ‘만화가’라는 키워드로 검색에 도출된 결과로는 도서자료 234건, 학위논문 19건, 연속간행물 및 학술기사 243건, 멀티미디어 12건, 국회 자료 6건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만화+가’라는 뜻의 ‘가’라고 하는 접속사가 접미된 키워드일 뿐, 실제 ‘만화가’와 관련된 자료는 에세이, 수필집 등의 도서자료를 포함하여 전체의 1/3에도 미치지 않는 수준이다. (2022.4.30. 기준 국회전자도서관에서 검색한 결과임) 기록관리 측면에서 ‘생산자’는 ‘기록’을 생산․보존․유지하는 책임이 있는 자를 뜻한다. 특히, InterPARES Project에서 ‘author’에 대하여 기록을 생산하는 데 있어 권한과 능력을 가진 사람 또는 기관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만화’라는 기록을 생산한 ‘만화가’와 그와 관련된 ‘출판사’ 또는 ‘담당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지 않을까? 특히, 민간기록에서 ‘만화’를 컬렉션한다면, 해당 기록이 ‘왜’, ‘무엇 때문에’, ‘어떻게’ 생산되었는지 생산맥락에 대해 정리할 필요성이 있으며, 그 생산자가 누구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기록학적 측면에서 ‘만화가’는 ‘만화’라고 하는 ‘기록’의 생산자라는 점이다. 우리는 만화가를 정보를 전달하는 이야기 전달자이자, 공공의 영역과 사적 영역의 양면성을 지닌 ‘만화가’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들의 기록자료에 대한 아카이빙 정리분류 방안에 대해서 본 연구논문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 기억 시대의 기록과 정보서비스

        조민지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0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0

        The journey of mankind to reclaim memory and knowledge, leaving traces and records, has always been in the history of storage media, science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With the great influx of digital information, our memories also have to depend on digital memories. Instead of securing cultural diversity after digital media became possible to record, the ability to produce information has surpassed the ability to store. It is an age of information overproduction, but its storage and management methods are also dependent on the possibility of damage. It is clear that personal memory and shared knowledge have enabled cultural diversity through digital networks, but it is also evident that not only the future of collective memory but also the past must follow the memory system with the digital age. Is a memory stored as data considered as a memory? We can only imagine and predict how much digital memories will be useful and what traces of current information will remain and can be called in the future. So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it was digitally remembered, in the end, memory is not relating to the past, but about the “future.”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ouch on the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on services and users of information in an age of digital memory, and to consider a new recombination discourse. 인류가 기억과 지식을 흔적과 기록으로 남기고 다시 찾기 위한여정은 항상 저장 매개체와 과학, 기술 발전의 역사 안에 있었다. 방대한 디지털 정보가 쏟아지면서 우리의 기억도 디지털 기억에 의존해야 하는 시대이다. 디지털 미디어에 기록화가 가능한 이후 문화적 다양성을 확보한 대신 정보 생산 능력이 저장 능력을 능가하게 되었다. 개인, 사회적 기억과 공유된 지식이 디지털 네트워크로 인해 문화적 다양성을 가능하게 한 것은 분명하지만, 집단 기억의 미래뿐만이 아니라 과거까지도 디지털 시대에 맞게 기억 체계를 맞추어가야 하는 것도 분명하다. 데이터로 저장된 기억은 기억일까? 디지털로 기억된 기억은 미래에 얼마만큼 유용하고, 현재의 정보는 어떤흔적으로 남아 앞으로 호출될 수 있을까? 그런 점에서 디지털로 기억되었든 아니든 상관없이 결국 기억은 과거가 아니라 “미래”에 관련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로 기억하는 시대에 디지털 정보 서비스와 이용자 간의 병렬적 관계를 생각하고, 새로운 재결합담론을 고찰해 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후보

        기록물 맥락정보 향상 및 통합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RiC-CM 및 RiC-O를 중심으로-

        박선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19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9

        Like all metadata fields, record management metadata is often used only in a single layer structure. Among the uses of metadata, the focus was on managing records, and did not cope with one of its original intentions: "efficiency of search" and "enhanced accessibility." In this study, first, we present the logical basis that it is necessary to add the concept-based dynamic records management metadata to secure interoperability by efficiently using metadata and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document-oriented records management. We propose a semantic model that can effectively combine metadata, the driving force of management, to improve contextual information and integrate with other systems. Therefore, we needed a conceptual model to classify the complex phenomena that seemed complicated by all the records, and to relate the concepts through conceptualization, and then analyzed the RIC ontology elements. This study could be an alternative to the lack of relational information in Korean record metadata,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cord metadata and its use in semantics. 여느 메타데이터 분야와 마찬가지로 기록관리 메타데이터도 단층구조로만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메타데이터의 용도 중, 기록의 관리에만 치우쳐서 그 본래의 취지 중 하나인 ‘검색의 효율성’과 ‘접근성 강화’에는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메타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상호운용성 확보하고 기존의 문서 위주 기록관리에서 탈피하여 개념 위주의 역동적인 기록관리 메타데이터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고, 둘째, 기록관리의 원동력인 메타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결합하여 맥락정보를 향상시키고 타 시스템과 통합시킬 수 있는 시맨틱 모델을 제안한다. 이에 모든 기록을 중심으로 복잡하게 보이는 현상을 덜 복잡하게, 공통점을 중심으로 분류한 다음 개념화를 통해서 그 개념들 사이에 관계를 맺어줄 개념모델이 필요했으며 그 대상으로 RiC메타데이터 요소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기록물 메타데이터에서 관계성 정보가 부족한 것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기록 메타데이터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시맨틱 측면에서의 활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 시대 기록관리 패러다임 전환방안 연구

        우지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0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1

        In line with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riggered by the digital and data,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held a briefing session on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management manuals in September. However, complaints were raised by field offices that the briefing session was rushed to be held a month before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enforcement ordinance was to take effect and that the manual contents were poorly comprised. Problems with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s spread to other various problems such as those related to management departments, the existence of a record repository, and the record management environment of field offices. While demands for the resolution of problems related to matters such as record management awareness and environments had continuously been made by field agencies, improvements were not easily made and record management experts were also aware of such resolution problems. However, various issues have risen to the surface again as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management policy was urgently implemented following the effectuation of enforcement ordinances in place of a show of willingness to improve upon problems. I saw that record management problems of field offices and administration information dataset management problems could be simultaneously solved through changes in record management paradigm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For this, analysis was conducted on data-related legislation and policies along with policies such as the digital continuity and digital curation of the UK and Australia. Through this, proposals were made for the direction that record management must take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디지털, 데이터로 촉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국가기록원도 행정정보데이터세트 관리 매뉴얼에 대한 설명회를 지난 9월에 실시했다. 다만 설명회 시점이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발효 한 달 전에 촉박하게 진행됐다는 점과 매뉴얼 내용의부실한 부분에 대해 일선 기관에선 불만이 제기됐다. 행정정보데이터세트의 문제는 관리 주관부서, 기록관의 실체 유무, 일선 기관의기록관리 환경 등 여러 문제로 번졌다. 사실 일선 기관의 기록관리 인식, 환경 등의 문제 개선 요구는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나 개선이 쉽지 않은 문제였고 기록물 관리 전문 요원들도 개선의 어려움은 알고 있었다. 하지만 이런 문제에 대한 개선 의지보다는 시행령 발효에 따라 급하게 진행되는 행정정보데이터세트 관리 정책 시행으로 여러 가지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 올랐다. 필자는 일선 기관 기록관리 문제점 개선과 행정정보데이터세트 관리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4차 산업혁명 시대 기록관리 패러다임 변화로 보았다. 이를 위해 데이터관련 법령과 정책 분석을 하였고, 영국, 호주의 디지털 연속성, 디지털 큐레이션 등의 정책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기록관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안했다.

      • KCI등재후보

        기록관리직 다시 생각하기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록, 기록화 -

        조민지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0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1

        New methods and technologies,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re changing the world. It is hard to predict exactly what convenience and what deprivation the new technology will enable.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new technology is expanding its influence at a steep pace to people and sites related to records management. The records and production context that have not been properly captured in the production process cannot continuously express the original activity results. Therefore, in today’s super-intelligence society resulting from the sudden chang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a need to focus on asking the question of what will be recorded instead of what records is. To focus on the question of what to record, the organizing of related laws and systems must be settled beforehand, and it is crucial to be fully aware of the changes in the records methods. Hence, this research looked into how to manage the records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in order to understand the future and environment of archival information that the super-connected, super-intelligent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mands. In particular, the writer thought on the originality of the archives professionals who are the main agents of records management, and the identity of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in a society centered on digital records and data. Through this, author studied the direction and outlook of the records management education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인공지능을 비롯한 새로운 방법과 기술이 세상을 바꾸고 있다. 새로운 기술은 과연 어떤 편리와 어떤 박탈을 가능하게 할 것인지지금으로서는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다. 다만, 기록관리 관련 현장과 사람들에게 가파른 속도로 그 영향권을 넓히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데이터 기반 기록관리 환경에서는 생산 과정에서 제대로 포착하지 못한 기록과 생산 맥락은 본연의 활동 결과를 특히 지속적으로 표현해 내지 못한다. 따라서 지금과 같은 4차산업혁명의 급박한 변화가 초래하는 초지능 사회에서는 무엇이 기록인가 보다는 무엇을 기록으로 남길 것인가에 더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선결되어야 하며, 기록화 방법의 변화에 속도를 잘 맞추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연결성, 초지능성의 4차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기록정보의 미래와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 시대의 기록관리는 어떠해야 하는지 알아보았다. 특히 데이터 기반 사회에서 기록관리 기관의 정체성, 기록관리 전문직의 고유성을 전문가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디지털 전환 시대의 기록학 교육의 방향과 전망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 시대 데이터 아카이브와 기록관리의 길 - 국가기록원의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실행방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중·장기 차원의 제안 -

        노명환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0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1

        In the short term, we must do our best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record management implementation plan prepared by the National Archives of Records. At the same time, in the medium and long term view, we must consider fiercely the expertis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consider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archival job.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new convergence of data records. It should be possible to understand and carry out records/archives and records/archives management practices in the concept of change and creation. For example, we should become familiar with the concept and practice of Archive Curation instead of the existing concept and practice of records/archives appraisal. Currently, we have to comply with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and focus on the current level of awareness sharing,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data and records. While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e current process as a transition, we must be able to establish a mid- to long-term vision, and prepare for the direction of change. 한국의 기록관리 공동체가 단기적으로는 국가기록원에서 마련한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실행방안에 따라 최선을 다하면서, 중·장기적으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아키비스트의 전문성을 치열하게 사유하며 앞으로의 방향성을 고민해야 한다. 현재는 현행의 법과 규정을 준수하고 점차 데이터를 기록으로 포착하도록 기록관리 실무와 기록학에서 기록의 개념과 기록관리 실무에서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어 가야 한다. 새롭게 데이터 기록의 융합 활용에 주목해야 한다. 변화·생성의 개념 속에서 기록과 기록관리 실무를 이해하고 수행해 갈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기존의 평가 개념과 실제 대신 큐레이션의 개념과 실제에 익숙해 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 관리기준표를 최적으로 작성하는일이 대단히 중요하다. 현재의 과도기에 잘 적응하면서 중·장기적인 비전을 수립하고 실천해 가야 한다.

      • KCI등재후보

        퍼블릭 히스토리의 공론 주체에 관한 연구 -연구자, 당사자, 시민-대중을 중심으로-

        김태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19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9

        The increase of interest and demand toward records and archives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in our society. This phenomenon started to emerge as democracy developed in our society. Producing, archiving and preserving records are the work of the social subject-power. Therefore, the records and archives these days should be understood as historical symbols and contents which indicate us who the social subject is.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the archivist should find and submit to the public sphere of memory and history which alternatives the archives should be reconstructed by which civic and public cultural institutions demand. People began to be the subject of historical descriptions in the public arena as postmodern discourse emerged and the concept of public history emerged. The public history emphasizes 'history of memory' rather than 'history of recording', where the former represents the history of power that was able to produce records, the latter reproduces the history of people who were excluded from power and could not leave records. This is why we need to look into the performance of public history when we study the history of public records. The history, memories, and records to remain in our day are determined by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people in the public sphere to discuss and agree. In this article, the public subjects who participate in the public sphere of memory and history are divided into researchers, parties, and people. The position, perspective and practice of each subject formed around historical events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ogy of observers, witnesses, and spectators. While the researchers collect the records in the manner of the observer and approaches them through the historical reality, the parties engrave the records in order to preserve the memory of experience gained from the historical events and to resist oblivion. Here, the people decide the meaning of the history, memory, and records in the final level, while observing the publicizing process led by the group of researchers and first parties. 기록을 생산하고 아카이브로 정리해 보존하는 것은 사회적 주체-권력이 작동하는 일이다. 그래서 한 시대의 기록과 아카이브는 사회적 주체가 누구인지 알려주는 상징이자 콘텐츠로 파악해야 한다. 최근 높아지고 있는 기록과 아카이브에 대한 시민-대중의 관심과 요구는 우리사회의 민주화가 높은 수준으로 발전해 가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이렇게 변화된 상황에 맞춰 기록학 연구자는 시민-대중이 요구하는 문화적 기억기관으로서 아카이브가 어떤 원칙과 과정을 통해 (재)구축되어야 하는지 대안을 찾아 기억과 역사의 공론장에 제출해야 한다. 시민-대중이 공론장에서 역사 서술의 대상으로 중요하게 거론되기 시작한 것은 탈근대 담론이 등장하고 퍼블릭 히스토리 개념이 생겨나면서부터이다. 퍼블릭 히스토리는 ‘기록의 역사’ 보다는 ‘기억의 역사’를 강조하는데, 이는 전자가 기록을 생산할 수 있었던 권력의 역사를 표상하고 있다면, 후자는 권력으로부터 배제돼 기록을 남길 수 없었던 사람들의 역사를 재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민-대중을 중심으로 기록학을 연구할 때 퍼블릭 히스토리의 성과를 살펴봐야 하는 이유이다. 우리 시대에 남겨야 할 역사와 기억, 기록은 다양한 사람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한 공론장에서 결정된다. 이 글에서는 기억과 역사의 공론장에 참여하는 퍼블릭 히스토리의 공론 주체를 연구자와 당사자, 시민-대중으로 구분하고, 역사적 사건을 둘러싸고 형성된 각 주체의 입장과 관점, 그리고 실천의 모습을 관찰자와 목격자, 구경꾼-산보객의 비유를 통해 살펴보았다. 당사자가 역사적 사건에서 얻은 경험 기억을 유지하고 망각에 저항하기 위해 세상에 기록을 새기는 동안, 연구자는 관찰자의 태도로 기록을 모으고 이를 통해 역사적 실체에 다가선다. 여기에서 시민-대중은 연구자와 당사자들이 이끌어 가는 공론화 과정을 지켜보면서 우리 시대의 역사와 기억, 기록의 의미를 최종심급에서 결정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