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용사 직업훈련이 사회취약계층의 취업 직무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환희(Jung, Hwan Hee),연자(Jung, Yeon J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6

        본 연구는 미용사 직업훈련이 사회취약계층의 취업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미용사 직업훈련의 수료집단과 미수료집단의 취업 직무능력을 평균차이검증과 IPA 분석을 활용하여 비교하고, 미용사 직업훈련 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수료집단은 기술향상 및 전문성인식을 성취하여, 미수료집단과 차이를 보였다. 각 인자 간의 관계에서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이 미용사 직업훈련 성과에 취업 직무능력을 매개로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수료집단은 미용사 직업훈련 성과로 도달하는 모든 항목들이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미수료자 방지를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in cosmetology on the job ability of the socially vulnerable. Using data from completed and unfinished groups of cosmetologist vocational training students, it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while obtaining employ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job competency using average difference verification and IPA analysis, and to empirically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vocational training in hairdress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ompleted group achieved technological improvement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showed a difference from the uncompleted grou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it was confirmed that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of hairdressers through job ability. In addition, the incomplete group showed that all the items linked to the results of vocational training in hairdressers were not significant thus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considered necessary to prevent incomplete training.

      • KCI등재

        미용사 직업훈련이 청년 취 · 창업 직무능력에 미치는 중요도 및 성취도

        정환희(Hwan-Hee Jung),연자(Yeon-Ja Jung)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8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9 No.1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directions for job training and improvement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cosmetologist training on youth employment and business startup competency in term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mong a total of 200 young cosmetologists who had just been recently employed or had launched a business after receⅣing job training. In terms of the effects of cosmetologist job training on employment/business startup, importance was greater than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subjects’ term of employment, environment and job title, ‘skiⅡ improvement’ and the ‘subscription of four major public insurance systems’ had an influence on the above results. In other words, they could be improved as job training institute enhances the performance of job competency by upgrading the curriculum for skiⅡ improvement and implementing foⅡow-up for the subscription of the four major public insurance systems. Further, they could have a positⅣe effect on employment and turnover rates. In contrast, employment/business startup satisfaction was high. Therefore, it appears that approaching employment/business startup issues through job training would help the subjects make a decision about their career, build confidence and increase possibility.

      • KCI등재

        보문 : 경력단절여성의 직업능력개발 계좌제 미용교육 및 취업실태에 관한 연구

        정환희 ( Hwan Hee Jung ),장미숙 ( Mee Sook Chang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2015 대한미용학회지 Vol.11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VCDAS-based cosmetology education.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286 career-discontinued women who were employed after completing a VCDAS-based program in a private institute or vocational school in Seoul from September 25 to October 6, 2014. For data analysis, t-test, one-way ANOVA,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Duncan’s test and cross-tabulat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v. 18.0. As the study results found, most respondents were educated about ‘200 to less than 300 hours’ (53.5%) and ‘3 to less than 5 months’ (72.4%) at ‘private institute’ (49.7%) for ‘better chance to get a job’ (41.3%) and took ‘2’ courses (74.8%). Most respondents had ‘lack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institute’ (42.0%) for educational difficulties.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VCDAS-based cosmetology education program mostly (M=3.37), and have seen the positive effects of the VCDAS-based cosmetology education program at work (93.7%). But, some others think that there still is a gap between the skills they learned through the program and the competence they need at work. In fact, these people felt shortage in skills, necessity of new technique, theory & knowledge of business management and customer service. Therefore, there is need of a financial support on cosmetology education to help career-discontinued women get a new job and be more satisfied at work through the VCDAS-based cosmetology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it is needed to suggest a systematic improvement plan for the VCDAS for a win-win growth between national economy and cosmetology industry.

      • KCI등재

        키덜트 소비자의 선호색 및 화장품패키지색에 따른 구매행동효과 연구

        정환희 ( Hwan-hee Jung ),연자 ( Yeon-ja J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4 No.-

        연구배경 키덜트의 증가로 캐릭터 산업의 매출이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화장품 업계에도 유입되어 포화경쟁 상태로 인해 품질의 차별성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화장품패키지와 캐릭터의 협업을 통해 제품을 출시하며 희소성을 높이고 구매 욕구를 자극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키덜트 소비자의 선호색과 화장품패키지 색을 비교분석하여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 키덜트 산업을 이끌고 있는 20세 이상부터 40세 이하의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키덜트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찾아서 구매하고 가격과 결정에 있어 고민이 없으며 개인의 취향을 존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캐릭터 상품을 선호하며, 선호색은 Red, Yellow, Red Puple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화장품패키지색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키덜트 소비자의 선호색에 따라 구매 연계성 및 구매 실태에 차이는 소장용이며 단기간에 구매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화장품 정보원은 대체적으로 인터넷과 로드샵을 통해 정보를 얻으며, 화장품 구매 시 반응요인은 Red, Yellow, Red Puple 색상을 선호하는 경우 모두 시각적으로 색에 가장 먼저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색에 따라 화장품 구매 중요도에 차이는 색, 일러스트, 패턴, 형태 순으로 나타났으며, 다섯째, 구매 후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키덜트 소비자의 선호색에 따른 화장품패키지색의 만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키덜트 선호색을 통한 화장품패키지의 만족도가 높으면 구매의 만족도가 높고, 화장품패키지의 만족도가 낮으면 구매의 만족도도 낮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With increase in the number of kidults, character sales have recorded high growth rates. In fact, it`s been hard to have quality differentiation in already saturated cosmetics market. Under these circumstances,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and released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characters and cosmetics package, stimulating consumers` design to buy.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in that it appears to be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idults` preferred color and cosmetics package color on consumers` purchase.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women who are leading kidult industry between 20 years and 40 years ol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 21.0. Result First, kidults search for and buy the goods they want. For them, price is not important. What matters is personal preference. Second, they prefer character items. In terms of color, `Red` was most preferred, followed by `Yellow` and `Red Puple` Third, satisfaction with cosmetics package color was high. Fourth, in terms of difference between purchase linkage and actual buying by kidults` preferred color, `collection purpose` was observed. In this case, the products were bought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Regarding the source of the cosmetics information, the respondents mostly obtained it through the Internet and street stores. In terms of response factors when buying cosmetics, `color` was mostly found when `Red` `Yellow` and `Red Puple` were preferred. In terms of importance in buying cosmetics depending on preferred color, `color`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llustration,` `pattern` and `shape.` Fifth, after-sales satisfaction was high,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ackage satisfaction by kidults` preferred color.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found that if satisfaction with cosmetics package by kidults` preferred color is high, buying satisfaction increases. When satisfaction with cosmetics package is low, on the contrary, buying satisfaction declines.

      • KCI등재

        현악기의 진동특성 연구

        정환희(Jung Hwan Hee) 국립국악원 2008 국악원논문집 Vol.18 No.-

        본 연구는 전통 현악기의 소리를 결정짓는 요소 중 하나인 울림통의 진동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정악가야금, 산조가야금, 거문고에 대해 모달 분석 (modal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울림통의 앞판과 뒤판의 고유주파수 및 내부의 공명 주파수를 측정하고 주파수별 진통모드를 분류하였다. 실험결과, 세 악기에 대한 휩 모드, 비틀림 모드 및 공기모드의 고유주파수를 각각 2개씩 찾고 악기별 순서대로 분류히였다 산조가야금과 거닐고의 경우 비틀림 모드가 가정 낮은 고유주파수에서 나타난 반면 정악가야금은 비 틀림 모드가 먼저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 휩 모드가 나타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세 악기 모두 휩 모드에서 좌우 비대칭으로 진동하는 형태를 나타냈다. In this study we conducted modal analysis on jeongak gayageum, sanjo gayageum and geomungo to learn the vibrating characteristics of resonant box -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deterrnine the sound of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s. Through this test we measured the natural frequency of both sides of resonant box and its internal resonant frequency of each instrument and classified vibration modes (bending, torsion and air mod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as for sanjo gayageum and geomungo, twisting mode appeared at the lowest natural frequency. However as for jeongak gayageum, twisting mode first appeared and later appeared bending mode. All three instruments commonly showed non-symmetrical frequency type at bending mode.

      • R을 이용한 황사관련 이슈어 분석

        용한(Yong-Han Jung),환희(Hwan-Hee Yoo) 대한공간정보학회 2016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05

        최근 우리나라는 대기오염을 개선하고자 많은 연구와 노력을 하고 있으나, 매년 발생하는 황사는 그 발생 일수와 지속시간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황사는 시민들의 건강에 많은 위협이 되고 있다. 한편, 최근 시민들이 SNS를 통한 의사소통 및 정보전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황사가 심했던 2015년 2월 23일 전후 11일간의 황사관련 트위터 데이터를 R을 이용하여 이슈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선정된 이슈어를 그룹화 하여 ‘생활관련, 건강관련, 날씨 및 기상, 광고, 뉴스’ 등 11가지로 분류하였고, 그룹화 된 이슈어들을 Visual Studio 2015기반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트위터 데이터를 분류하였다. 그룹 중 건강관련 트위터 데이터에서 질병관련 이슈어인 ‘비염, 천식, 결막염’에 대해 연관규칙 분석을 실시하여 ‘비염’은 ‘마스크, 환자, 콧물, 오늘, 감기’등의 이슈어와 ‘천식’과 ‘결막염’은 ‘기침, 눈, 알레르기’등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

      • KCI등재

        한국인에서의 소아 IgA 신병증과 HLA-G유전자의 promoter haplotype과의 관계

        정환희,한원호,조병수,김성도,Jung, Hwan-Hee,Hahn, Won-Ho,Cho, Byoung-Soo,Kim, Sung-Do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3 No.4

        목 적: IgA 신병증은 소아들의 만성 사구체 신염 중에서 가장 흔하게 일어나며, HLA유전자는 다양한 염증성 질환과 자가면역질환과 연관이 있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인에서 건강한 대조군과 IgA 신병증 환자군을 비교하여 IgA 신병증 발생 감수성 및 병리, 임상 양상과 $HLA-G$ 유전자의 SNP와의 연관성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소아 IgA 신병증을 앓고 있는 174명의 환자군과 438명의 정상 대조군에서 $HLA-G$ 유전자의 promoter SNP (rs1736936과 rs2735022)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또한 IgA 신병증 환자들을 단백뇨($4mg/m^2/hour$ 이하군과 이상군)의 유무, 족세포 돌기의 소실 유무, 간질의 섬유화 및 세뇨관 위축이나 미만성 사구체 경화와 같은 병리학적 소견상 진행성 질환의 표지자유무에 따라 하위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 과: IgA 신병증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 간의 HLA-G에서의 SNP (rs1736936과 rs2735022) 빈도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단백뇨의 유무, 족세포 돌기의 소실 유무, 질환의 병리학적 진행 정도을 의미하는 표지자의 유무와 SNP사이에서도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일체 배형으로서 rs1736936과 rs2735022는 소아 IgA 신병증을 일으키는 감수성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내었다(haplotype T/C: dominant model OR 1.71, 95% CI 1.00-2.92, $P$=0.049; haplotype C/T: recessive model OR 0.54, 95% CI 0.31-0.94, $P$=0.030). 결 론: 이번 연구에서 $HLA-G$ 유전자의 SNP 중 rs1736936와 rs2735022로 이루어진 일체배형과 IgA 신병증의 발생간에 유의한 관계를 관찰하였으며, IgA 신병증 환자들의 단백뇨 발생 유무, 족세포 돌기의 소실 유무 및 질병 진행 정도로 구분된 하위그룹과 후보 SNP들간의 유의한 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Purpose : IgA nephropathy (IgAN) is the most commonly occurring form of chronic glomerulonephritis in pediatric cases. Human leukocyte antigen (HLA) genes have been implicated in various inflammatory and autoimmune diseas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2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of the HLA-G gene and childhood IgAN. Methods : The authors analyzed and compared $HLA-G$ gene SNPs (rs1736936 and rs2735022) in 174 patients with childhood IgAN and in 438 healthy controls. In addition, IgAN patients were dichotomized and compared with respect to proteinuria (< and >$4mg/m^2/hour$), the presence or absence of podocyte foot process effacement, and the presence of pathologically early and advanced disease markers such as interstitial fibrosis, tubular atrophy, or global sclerosis. Results : No significant SNP frequency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the $HLA-G$ gene between IgAN patients and the control group. Moreover, no significantly associated SNP was observed with the presence of proteinuria, podocyte foot process effacement, or pathologically advanced markers. However, the haplotype, composed of rs1736936 and rs2735022,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susceptibility to develop childhood IgAN (haplotype T/C: dominant model, $P$=0.049; haplotype C/T: recessive model, $P$=0.030). Conclusion : Our results indicate that rs1736936 and rs2735022 as the $HLA-G$ gene promoter haplotype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susceptibility to develop childhood IgAN in the Korean population.

      • KCI등재

        제 1형 당뇨병 소아환자에서 발생한 당뇨병성 신병증 1례

        정환희,박성신,김성도,조병수,Jung, Hwan-Hee,Park, Sung-Sin,Kim, Sung-Do,Cho, Byoung-Soo 대한소아신장학회 200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2 No.2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또는 인슐린 작용의 장애로 발생하는 대사질환이다. 그 중 제1형 당뇨병은 흔히 혈당 조절이 어려우며 눈과 신장을 침범하는 미세혈관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당뇨병성 신병증은 소아에서 흔하지 않지만 신부전까지 일으킬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그런데, 많은 연구들에서 당뇨병이 사춘기 전에 발생하는 경우보다 사춘기나 그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에 미세혈관 합병증의 발생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사춘기 전에 발생한 소아 당뇨병성 신병증은 국내에서 보고된 예가 거의 없는 상태로, 저자들은 여러 차례의 당뇨병성 케톤산혈증의 과거력이 있으며 혈당 조절이 불량했던 제 1형 당뇨병 소아 환자에서 혈뇨와 단백뇨가 관찰되어 조직 검사를 통해 사춘기 전에 발생한 당뇨병성 신병증을 확진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Diabetes mellitus(DM) is a metabolic syndrome caused by deficiency of insulin secretion and a consequence of insulin resistance. Poor glycemic control is a common finding in children with Type 1 DM(T1DM). Approximately 60% of the young patients with T1DM develop abnormalities in the eyes and 15-20% in the kidney. Diabetic nephropathy (DN) is a serious metabolic complication of T1DM that leads to renal failure. Some clinical studies report that the duration of prepubertal diabetes may contribute less to the development of microvascular complications than pubertal and postpubertal duration. There have been few cases of DN in prepubertal patients with T1DM in Korea. Thus we report a case of a 12-year-old female with T1DM who had poor glycemic control and was diagnosed as DN in a prepubertal period. It was proven by renal biopsy after microscopic hematuria and proteinuria were detected through the mass school urinary screening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