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수술 후 국소재발된 직장암의 방사선치료 결과

        정현주,신영주,양광모,서현숙,전하정,이명자,Jeong Hyeon Ju,Shin Young Ju,Mo Yang Kwang,Suh Hyun Suk,Chun Hachung,Lee Myung Za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1

        Purpose : We reviewed the treatment results for the patients with locally recurrent rectal carcinoma. The object was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 and to identify the prognostic factors influencing the survival. Methods and Materials: Twenty-eight patients with locally recurrent rectal carcinoma treated principally with external-beam radiation therapy between 1982 to 1996 in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at Paik and Hanyang Hospit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Of these, 17 patients had initially abdominoperineal resection, 9 had low anterior resection, and 2 had local excision. No patients had received adjuvant radiation therapy for the primary disease. There were 14 men and 14 women whose ages ranged from 31 to 72 years (median age:54.5). Median time from initial surgery to the start of radiation therapy for local recurrence was 11 months (4~47 months). Radiation therapy was given with total doses ranging from 27 to 64.8 Gy (median=51.2 Gy). Results : The median survival was 16.7 months. The 2-year and 5-year survival rates were 20.1%, 4.1% respectively. Upon multivariate analysis, overall surviv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uration of intervals from initial surgery to local recurrence (P=0.039). Relief of pelvic symptoms was achieved in 17 of 28 patients (60.7%). Pain and bleeding responded in 40% and 100% of patients, respectively Conclusions : Patients with locally recurrent rectal carcinoma treated with radiotherapy have benefited symptomatically, and might have increased survivals with a small chance of cure. But, patient were rarely cured (median survival : 10 months, 5-year survival : less than 5%). Overall surviv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ong intervals from initial surgery to local recurrence. Future efforts should be directed to the use of effective therapy for patients with locally recurrent rectal carcinoma and adjuvant therapy for patients with rectal cancer to reduce the incidence of pelvic recurrence. 서론 : 완치 목적의 절제술을 시행 후 국소재발된 직장암환자에 대한 방사선치료 결과 및 생존율에 미치는 예후인자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2년 7월부터 1996년 5월까지 인제대부속 백병원과 한양대부속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국소재발된 직장암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총 2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결과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남녀비는 14:14이었고, 연령분포는 31세에서 72세 사이로 나타났다(평균 연령:54.5세). 일차 수술 후 국소 재발까지의 기간은 4개월에서 46개월로 관찰되었다(중앙값:10개월). 방사선치료는 총 27Gy에서 64.8Gy(median; 51.2Gy)가 조사되었다. 50.OGy 이하로 조사된 환자는 모두 11례로 나타났으며, 17례에서 50.OGy 이상이 조사되었다. 결과 : 증상완화는 전체 환자 중 17례(60.7%)에서 관찰되었고, 출혈 및 통증을 호소한 환자의 경우 각기 100%와 40%%에서 증상완화가 관찰되었다. 증상완화정도의 방사선 조사량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방사선치료 시작 일부터 전체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16.7개월이고, 2년 및 5년 생존율은 20.1%, 4.1%로 나타났다. 생존율에 대한 예후 인자를 분석해 보았을 때, 단일변량분석에서 일차 수술 후 국소재발까지의 기간이 유일한 예후인자로 나타났다. 그 외 연령, 성별, 임상수행능력정도, 재발부위, 초기병기, 초기 수술방법, 원격전이여부, 방사선조사량 등은 유의한 인자로 관찰되지 않았다. 즉 일차 수술 후 국소재발까지의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에서 1년 이하에 비해 의미있게 높은 생존율이 관찰되었다(2년 및 5년 생존율:42.0%, 8.4% vs 0.0%)(P<0.05). 다변량분석에서도 생존율과 연관된 예후 인자로는 일차 수술후 국소재발까지의 기간만이 의미있게 관찰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치료가 국소재발된 직장암환자에서 병변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일부의 환자에서는 장기간의 생존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2년 및 5년 생존율이 저조하게 나타났고, 일차 수술 후 국소재발까지의 기간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어, 향후 국소 재발된 직장암 환자에서 생존율의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고, 더불어 초기 치료 후 국소재발방지를 위해 부가치료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가 우선되어야겠다.

      • KCI등재

        하치조신경 손상시 턱끝신경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의 진단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정현주,김명래,Jeong, Hyeon-Ju,Kim, Myung-Rae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1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7 No.3

        Sensory dysfunction following the injury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requires objective examination to get a reproducible data and to provide necessary treat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if the SEP(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of the mental nerve can be used as an objective method for the diagnosis of nerve injury and sensory disturbances. The subjects were nineteen patients ($37.4{\pm}11.3$ years old) who had been suffered from sensory disturbance of the unilateral lower lip and mental region for over 6 months after the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ies confirmed by the microsurgical explorations. The clinical neurosensory tests as SLTD(static light touch discrimination), MDD(moving direction discrimination), 2PD(two point discrimination), PPN(pin prick nociception) and accompanied pain were preceded to electro-physiologic examinations as SEP. The score of sensory dysfunction (sum score of all sensory tests) ranged from 0 to 8 were compared to the latency differences of the mental nerve SEPs. Th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sensory scores and SEPs were tested by Spearman nonparametric rank correlation analysis, the differences in SEP latency by Kruskal-Wallis test and the latency differences according to PPN and accompanied pain by Mann-Whitney U test. This study resulted that the difference of the latencies between normal side and affected side was $2.22{\pm}2.46$ msec and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neurosensory dysfunction scores (p=0.0001). Conclusively, the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of the mental nerve can be a useful diagnostic method to evaluate the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ies and the change of sensory dysfunction to be reproduced as an objective assessment.

      • KCI등재

        초점분절사구체경화증에서 발세포병증과 형태 변화

        정현주,Jeong, Hyeon Joo 대한소아신장학회 2013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7 No.1

        발세포병증은 발세포의 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사구체질환이다. 발세포의 손상은 여러 사구체질환에서 관찰될 수 있으나, 미소변화질환과 FSGS에서 주요 병인으로 작용한다. 이 글에서는 FSGS에서 발세포 손상의 형태 변화와 분절경화의 유형을 설명하고자 한다. 발세포가 손상되면 형태 변화로 발돌기의 소실, 발세포 세포질 내 공포, 발세포하 낭 등이 관찰되며, 심하면 발세포의 탈락 및 자멸사가 관찰된다. 그러나 분절경화가 초래되기까지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발세포의 소실이 있어야 하며, 손상된 발세포는 동일한 사구체 소엽 내 주변 발세포로 손상을 전파하여 병변이 커지게 된다. FSGS는 광학현미경 소견을 기초로 NOS형, perihilar형, cellular형, tip형, collapsing형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각 아형에 따라 임상 경과나 스테로이드 치료에 대한 반응이 다르고 흔히 동반되는 임상 조건들도 다르다고 보고되었으나 이에 대하여는 아직도 논란이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 FSGS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 정보와 혈액 내 투과인자의 성분 등 관련된 인자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면 FSGS에서 관찰되는 조직 변화나 병태생리를 더 잘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Podocytopathy is glomerular lesions characterized by podocyte injury. It is observed in various glomerular diseases, but minimal change disease and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GS) are the prototypes. In this review, morphologic features of podocyte injury and subtypes of FSGS will be reviewed briefly. Effacement of podocyte foot processes is the most common feature of podocyte injury. As podocytic injury progresses, intracytoplasmic vacuoles, subpodocytic cyst, detachment of podocytes from the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and apoptosis develop. Glomerular capillary loops in epithelium-denuded area undergo capillary collapse. Synechia and hyalinosis may accompany this lesion. To manifest segmental sclerosis, podocyte loss above a threshold level may be required. Injured podocytes can injure neighboring intact podocytes, and thereby spread injury within the same lobule. FSGS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subtypes by morphologic characteristics; not otherwise specified (NOS), perihilar, cellular, tip, and collapsing types. Each subtype has been reported to show different clinical courses and associated conditions, but there are controversies on its significance. With recent progress in the discovery of genetic abnormalities causing FSGS and plasma permeability factors, we expect to unravel pathophysiology of FSGS and to understand histological sequences leading to FSGS in near fu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