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성 평가를 위한 감성의 의미 재정립과 어휘 체계에 관한 연구

        정현원,나건,Jung, Hyun-Won,Nah, Ken 대한인간공학회 2007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6 No.3

        'Emotional value' has been a buzz word for design and ergonomics in the era of business innovation. However, the complication of 'emotion' in terms of literal and practical meaning has made it a challenging but confusing task for designers to develop a new product with emotional value. 'Sensibility' and 'emotion' are interchangeable terms to describe human feeling ('gamsung' in Korean). The confusion reached at its peak with Korean terms. Even scholars in Korean language, psychologists, ergonomists, and designers are bewildered at the choice of proper expression for human feeling in both Korean and English. The difficulty could explain the problems in 'sensibility ergonomic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both fundamental and satisfying information with people in the area of 'sensibility ergonomics'. Therefore, in this paper, a number of articles and books on sensibility, psychology, sensibility ergonomics, and design were reviewed to clarify the meaning of sensibility and relationship among similar words that have been used with unintentional misunderstanding. Also many adjectives on human sensibility were collected and complied for the use of sensibility evaluation.

      • KCI등재

        국내 아파트 단지 외부공간의 디자인 특성 분석

        정현원(Jung, Hyun-Won),오정아(Oh, Jung-Ah)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1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outdoor spaces in Good Design awarded apartment complexes in the past deca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outdoor space design theme, one of the conceptual elements, is focused on both ‘nature’ and ‘story of various subject’ that are similar to each other. Second, the case study object with the visual openness, which is secured between apartment blocks, is shown frequently in case box-shaped apartment blocks are arranged in a row. However, in case of Y-shaped block arrangement, the visual openness secured within an apartment complex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irculation/ inner path element,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inner path form is a grid pattern with straight path emphasis. While apartment complexes with the parking lot on the ground are only 3 out of 18 cases, it with circulation path for vehicle on the ground level are over 61%. Fourthly, the design characteristic of social space of physical outdoor design appears to be ‘central link facility type’. In this case, the central community facilities are more likely to be combined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green, water, and social connection. Fifthly, in case of natural space, most of the apartment cases are shown over 45% green area ratio with wide green and water space provision. Especially, the differentiation is to provide the space where can stimulate a resident’s participation.

      • 복합공간으로서의 모바일카페 인테리어 디자인

        정현원(Jung, Hyun-Won),정지희(Jung, Ji-He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5

        It has been changing as customers look, touch, and feel personally on merchandise cognition and purchase activity, known as experiential marketing space. Business started considering about an effective way to present and experience their goods and brands to consumers in variable methods of marketing communication. In this reason, companies plan a complex space where helps the visitors to manage their waiting time in more efficient and comfortable on mobile opening process with coffee services. This combines mobile communication market and cafe into a single design, in which operates bright modern, moderated refinement that can lead to a successful management and variability by utilization with being contrary to each other.

      • KCI등재

        논문 : 복합문화공간의 공공 공간 사인시스템 사례 분석 연구

        정현원 ( Hyun Won Jung ),이종선 ( Jong Sun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1

        현대사회의 복잡하고 다변화 되는 가치 기준과 삶의 질적 향상으로 인해 소비 가치가 변화하고 있고, 소비 자체를 문화의 개념으로 인식하고자 하는 움직임은 새로운 개념의 복합문화 공간의 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쇼핑과 문화, 비즈니스 등 복합적 형태를 포함한 복합문화공간 이용자의 문화적 기대수준과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공간의 이미지 전략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특히 공익의 욕구를 만족시켜야 하는 공공 공간에서의 사인 시스템의 역할은 제한된 공간 안에서 원하는 목적과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해주어, 행동의 능률을 높이기 위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서 기인한 상업공간의 Space Identity의 전략이 공공 공간에서도 적용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본 복합 문화 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공간 아이덴티티 전략으로서 공공 공간 사인시스템이 일관된 시각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의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공공 공간에서의 사인 시스템 디자인 개발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Due to the multi and diversifying standards in value and the qualitative improvement in life, the movement of recognizing consumption itself as a cultural concept is leading to the appearance of a new conceptual space. Thus, as users` cultural expecting level and demand for a multi-cultural space covering shopping, culture, business, etc. are rising, now it is important time to establish an image strategy on space to raise users` satisfaction. Especially, a role of signage systems in the public space that needs to meet public interests is very important in an aspect for raising the efficiency for consumers` actions by delivering desired purpose and information in a limited space. For this reason, it is required that the commercial spatial "Space Identity" attributed to corporate marketing strategies needs to be applied to public spaces. Hence, based on the functional analysis and signage system design analysis items in an aspect of whether the public space signage system of multi-cultural space provides consistent visual information as a "Space Identity," this study made an case analysis on multi - cultural spaces including Acrosqure in Fukuoka, Midtown in Tokyo and Canal City in Fukuoka Japan and aims to suggest a development direction of signage systems in public spaces to deliver efficient information.

      • 디자인 평가를 위한 감성어휘 연구

        정현원(Jung, Hyun Won),나건(Nah, Ke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7 디자인지식저널 Vol.4 No.-

        디자인 평가를 위한 방법 중 감성어휘를 사용한 평가 방법은 감성공학 분야 뿐 아니라 디자인, 예술 분야에서 선호도 분석, 이미지 분석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 때, 대상 평가를 위한 감성어휘의 수집과 감성어휘의 선정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평가를 위한 감성어휘를 조사하는 것이다. 우리말 형용사 어휘의 분류체계를 조사하였고, 감성어휘 중 특히 감각형용사의 어휘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말 형용사 체계는 감각형용사, 감정형용사, 평가형용사, 존재형용사로 분류된다. 감성어휘는 독립적으로 분류체계를 가지지 못하고 평가형용사에 가장 많이 분포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감각형용사, 존재형용사, 감정형용사의 순으로 분포되어 나타난다. 둘째, 감각형용사 l,058개가 조사되었고, 이들 가운데 시각어가 38.47%(407개)를 차지하고 있어 가장 많은 빈도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 순위로는 촉각어 18.53%(196개), 미각어10.21%(108)로 나타나고 있다. 감성의 개념정의와 더불어 디자인 평가를 위한 감성어휘의 체계가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sign evaluation method by using the sensibility vocabulary is a common way of analysis on user preferences and conceptual image about the objects in art and design, as well as in the sensibility engineering. In this case, It is very important process to collect and select the appropriate sensibility vocabulary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object.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an extensive research of the sensibility vocabulary. Therefore, in this paper,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adjective and especially sense adjectives among them is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system of Korean adjective consists of the sense adjective, the emotion adjective, the evaluation adjective, and the existence adjective. The sensibility adjectives is distributed most in the category of evaluation adjective, followed by the sense adjective, the existence adjective, and the emotion adjective. Second, among the 1,058 sense adjectives that were studied, visual adjective occupy the most 38.47%(407), followed by tactile adjectives(18.53%, 196), and taste adjectives(10.21%, 108).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literal and practical definition of essential terms related to this study should be clearly defined among scholars and a system for the sensibility vocabulary should be established for advanced studies in this are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온라인에서의 시각 및 촉각 공감각에 관한 실험 연구 : 실내마감재의 시촉각 시각적 촉각 감성 평가를 중심으로

        정현원(Jung Hyunwon),나건(Nah Ke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2

        촉각 감성은 제품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점차 부각되어 가고 있다. 특히 온라인 쇼핑에서 촉각 단서의 부족은 제품 구매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인간의 공감각적 인지 특성을 온라인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면 해결할 수 있다. 공감각은 시각 자극이나 청각 자극으로도 촉각 감성을 야기시킬 수 있는 생리적 인지적 현상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품 개발전문가 그룹과 소비자 그룹 두 그룹의 촉각 감성과'고급스러움'에 관한 감성을 비교 분석하여 유사성과 차이점을 찾아내고 효과적인 해결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내마감재 12종 샘플을 실험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촉각 평가 요인은 거칠기 매끄럽기 경도감 온도감의 4가지 항목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간 촉각 평가 비교는 몇몇 샘플들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유사한 평균값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시촉각에 비해 시각적 촉각 평가가 매끄럽기를 제외한 모든 평가 요소의 항목에서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그룹간 고급스러움에 관한 감성 평 가는 상당한 차이점이 나타났다. 넷째 온도감 평가는 샘플의 색채 요인이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 실험 연구 결과는 향후 촉각 정보와 감성이 온라인에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n-line shopping has been an effective way of shopping. Many products can be purchased through on-line including interior material which heavily depends on tactile sensation. However there exists gap in sensation between developers of the interior material and its customers. The developers fully utilize their visual and tactile sensation while the customers use only visual sens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tactile sensation between the two groups with 12 samples of interior material and to provide design guidelines of interface design for on-line shopping. The factors used for tactile evaluation included roughtness smoothness hardness and warm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 similar pattern in both cases of visual-tactile synesthesia. The thermal sensation was found to be affected by the color of the material.

      • KCI등재후보

        실내 마감재의 촉각, 시촉각 평가 연구

        정현원 ( Hyun Won Jung ),오정아 ( Jung Ah Oh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4 No.-

        주거공간을 자신만의 개성 있는 공간으로 표현하고 감성적 경험을 느끼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가 강해지면서 실내마감재의 디자인은 더욱 다양화, 고급화되어가고 있다. 감성은 외부자극을 인지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으며, 실내마감재의 촉각적ㆍ시각적 질감은 거주자들에게 다양한 감성경험을 제공한다. 이에, 실내마감재 촉각 연구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내마감재 개발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촉감에 대한 인식과 평가방법을 조사하였으며, 12종의 실내마감재 샘플을 가지고 촉각 및 시촉각 평가실험을 하였다. 연구결과, 실내마감재의 촉감을 평가 하는 방법은 촉각 감각 뿐 아니라 청각, 시각 감각을 동원하여 판단하는 통합적 공감각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거칠기’, ‘매끄럽기’, ‘경도감’, ‘온도감’이 촉감평가어휘로 도출되었으며, 촉각(A) 평가와 시촉각(B) 평가값을 비교한 결과, ‘온도감’, ‘경도감’, ‘거칠기’ 항목에서 시촉각(B) 평가가 촉각(A) 평가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촉감요소간 상관관계 분석은 ‘거칠기와 매끄럽기’, ‘매끄럽기와 경도감’, ‘경도감과 온도감’ 3가지 항목에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Design of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has become more diverse and gentrified than before as the residents` needs to express their own personality in the residential space and experience emotional sense has also been increased. Emotion could be aroused in the process of outer stimulus awareness and evaluation, and the tactile and visual texture of interior finishing material provides emotional experience to resident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atabase of tactile sensitivity about interior materials. The experimental study targeting interior material development experts has been executed to gain the data of emotional feeling for tactile and visual texture of interior material samp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evaluating the emotional sense of tactile texture of interior materials, experiment participants use the overall sense of touch, as well as sense of hearing and sight. Second, vocabularies of ``roughness``, ``smoothness``, ``hardness``, and ``warmth`` is extracted for tactile texture assessment. Besides, when comparing the emotional feeling of texture by using the sense of touch individually(A) and touch and sight together(B), B shows higher value than A in the vocabularies of ``warmth``, ``hardness`` and ``roughness``. Third, when evalu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actile elements, the data value shows negative correlation in the three vocabulary categories of ``roughness and smoothness``, ``smoothness and hardness``, and ``hardness and warmth``.

      • 공감각을 활용한 디자인 적용 가능성 연구

        정현원 ( Hyun Won Jung ),나건 ( Ken Nah ) 한국감성과학회 2004 추계학술대회 Vol.2004 No.-

        사물에 대한 인지는 하나의 감각이 아닌 오감을 통하여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감각 수용계에 자극이 주어졌을 때 직접 그 감각계통에 따르는 반응 외에 다른 감각 기관에 관계된 감성 반응을 함께 불러일으키는 공감각 특성을 가진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기술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인간의 감성에 대한 연구가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감성디자인, 감성제품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감성시대에 공감각은 디자인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감각 연구에 관한 국내외 연구 현황과 특성을 조사하고, 창의력개발 측면, 제품 응용 측면, 디자인 모형개발 측면에서의 공감각 활용을 예시함으로써 감성연구의한 분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