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老人) 변비(便秘)에 대(對)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정창환,신현철,정지천,Jeong, Chang-Hwan,Shin, Hyeon-Chul,Jeong, Ji-Cheon 대한한방내과학회 1995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16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oncept, systoms, causes of disease, pathogenic mechanisms, therapies and precriptions about senile constipation through the successive medical literature, recent chinese medical literature and chinese medical joumals. Senile constipation seems to be applicable to dryness syndrom and constipation of insufficiency type, have something to do with kidney(the most), lung, spleen and large intestine. The most principal cause of disease is yin-fluid, the rest deficiency of qi, insufficiency of yang, stagnation of qi and retention of fever etc. There are enriching the blood and moistening dryness in principal therapy, the rest are invigorating qi and loosing the bowel, warming and invigorating the spleen and kidney, regulating the flow of qi and promoting the stagnancy of qi and expelling the pathogenic heat etc. In prescriptions there are Yunjangtang, Jengaektang, Hwanggitang, Jechunjeon, Yukmatang and Majainhwan as the causes of disease, meanwhile are Yungjang-tang, Jechunjeon and Majainhwan in the vulgaris prescriptions. And in medical herbs there are nourishing yin medicines as Rhizoma rehmanniac, Radix ophiopogonis and Radix scrophulariae etc., invigorating qi medicines as Radix astragali, Radix codonopsitis and Radix polygoni multiflori etc, invigorating yang medicines as Caulis cistanchis and Semen psoraleae etc., promoting qi circulating medicines as Radix saussurea, Lignum aquilariae and Radix linderae etc., and reducing fever and therapeutic method to keep the adverse qi flowing downward medicines as Semen cannabis, Rhizoma rhei, Fructus immaturus ponciri, and Cortex magnoliae etc.. Meantime Rhizoma rehmanniae, Radix ophiopogonis, Caulis cistanchis, Radix angelicae gigantis, Semen cannabis, Semen biotae, Semen pruni japonicae and Semen persicae in principal herb-medicines. In clinical reports the process of disease was between 10 to 20 years, the evacuation cycle between 4 to 7 days, generally possessed chronic diseases as hypertension, diabetes, arteriosclerosis and cerebro- vascular disorders etc. and the efficiency rate was more than 90%. The senile constipation is occured in succession or promoted by chronic diseases as obesity, hypertension, diabetes, arteriosclerosis. hrperlipemia, cerebro- vascular disorders etc., so diet-regulating, adequate exercise, proper evacuation-habit and psychologic rest etc. are important more than medicine-treatments.

      • KCI등재

        가감청영탕(加減淸營湯)에 효과를 보인 열성 아토피 피부염 환자 6례 증례 보고

        서지혜,정창환,박선정,임소영,한수련,Seo, Ji-Hye,Jung, Chang?Hwan,Park, Seon-Jeong,Lim, So-Young,Han, Su-Ryun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14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27 No.3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gamchengyoung-tang($Ji\bar{a}ji\check{a}nq\bar{i}ngy\acute{i}ng-t\bar{a}ng$) for atopic dermatitis patients diagnosed as the febrile tendency. Method : This case study was done on 6 atopic patients with febrile tendency who have visited Korean Medicine Clinic from 2013.08.01. to 2014.04.30.. Gagamchengyoung-tang($Ji\bar{a}ji\check{a}nq\bar{i}ngy\acute{i}ng-t\bar{a}ng$) was prescribed to all 6 patients and evaluated the symptom change through photographs and questionnaire. Objective SCORAD Index(OSI) was used to evaluate the objective symptom and VAS was used to evaluate the subjective change. Results & Conclusion : The Objective SCORAD index and VAS were decreased in all patients. The average OSI reduction score was 26.3. Most symptoms of 6 patients were improved. Gagamchengyoung-tang ($Ji\bar{a}ji\check{a}nq\bar{i}ngy\acute{i}ng-t\bar{a}ng$) can be effective in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febrile tendency.

      • SCOPUSKCI등재

        볶은 마늘 분말을 첨가한 가정간편식(HMR)형 돈육 떡갈비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

        정창환(Chang-Hwan Jeong),이솔희(Sol-Hee Lee),김학연(Hack-Youn Kim) 한국식품과학회 202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3 No.5

        본 연구에서는 볶은 마늘의 첨가 수준에 따른 가정간편식 돈육 떡갈비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돈육 떡갈비 제조 시 볶은 마늘 분말의 첨가는 수분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조단백질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가열 전 · 후 명도는 볶은 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pH는 가열 후가 가열 전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볶은 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가열수율은 볶은 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전자혀 측정 결과 볶은 마늘 분말을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짠맛, 신맛 그리고 감칠맛이 강하게 감지되었다. 관능평가 결과 flavor와 overall acceptability 항목에서 볶은 마늘 분말 3% 처리구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볶은 마늘 분말을 3% 첨가하는 것이 품질적인 측면과 관능적으로 우수한 가정간편식 돈육 떡갈비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and sensory properties of Tteokgalbi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roasted garlic powder by measuring the proximate composition, color, pH, cooking yield, electronic tongue, and sensory evaluation. Samples containing 3% and 5% roasted garlic powder had lower moisture content than the control group (p<0.05), however, protein content was higher (p<0.05). The redness of samples containing 3% and 5% roasted garlic powder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pH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mounts of roasted garlic powder (p<0.05). Cooking yield exhibited an upward trend with increasing levels of roasted garlic powder. The intensity scales of saltiness, sourness, and umami of samples containing roasted garlic powder were stronger than those of the control. Samples containing 3% roasted garlic powder scored the highest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ding 3% roasted garlic powder can enhance the quality and sensory properties of pork Tteokgalbi.

      • 식품 고속 분쇄기 입도 분포 제어를 위한 난류 유동해석

        정창환 ( Chang-hwan Jeong ),박건수 ( Gun Soo Park ),이충호 ( Choong Ho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유지분이 있는 식품의 고속 분쇄 프로세스에서는 제품의 입도 분포를 제어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그 거동을 예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조건 변경에 따른 운동, 다양한 외부 요인에 대한 안정성 등의 프로세스의 특성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분쇄기의 특성을 정밀하게 계산하면 제품 입도 분포의 추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Solidworks를 활용하여 분쇄기 유동해석의 결과 수치 및 분쇄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동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회전 영역은 분쇄 방향으로 7200rpm을 설정 후 모듈 설계에 맞춰 작업이 가능하도록 계산 영역을 설정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유체 하위 영역만 분쇄 공간에 설정하여 영향을 중점적으로 미치게 설정하여 해석을 진행하였다. 해석 결과를 통해 도출된 압력, 속도 등으로 베르누이의 법칙에 따른 에너지 등분배 법칙이 성립하는지 확인하였으며, 또한 분쇄 유동 시뮬레이션에서 나타낸 유체 입자들이 어떤 일정한 패턴으로 흩어지는 게 아니라 무작위로 규칙성 없이 움직임을 보이기에 유선이 난류인 것을 확인하였고, 결과를 통해 레이놀즈수를 산출하였다. 공기밀도(1.225kg/㎥=0.816㎥), 유속(10.39m/s), 직경(0.346m)을 통한 R<sub>e</sub> = 5,867 값이 크기 때문에 점성력에 비해 관성력이 지배하여 유체 흐름에 교란이 생겨 분쇄 작업 시 난류가 형성되어 향후 기류 속에서 입자를 제어할 수 있는 분급기와 결합하여 유동해석을 수행할 계획이다.

      • KCI등재

        단호박 분말을 첨가한 돈육 유화형 소시지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정창환(Chang-Hwan Jeong),이솔희(Sol-Hee Lee),김학연(Hack-Yo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3

        본 연구에서는 단호박 분말의 첨가 수준에 따른 돈육 유화형 소시지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과 항산화 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 단호박 분말의 첨가는 수분함량, 가열수율, 보수력을 증가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가열 전후 색도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pH는 단호박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다. 자유라디칼 활성도, 총 페놀 함량은 단호박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기능성 첨가물로서의 단호박의 첨가는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효과를 증진시켰기 때문에 소시지 제조 시 단호박 분말을 5% 정도 첨가하는 것이 품질 측면과 항산화 능력에 있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antioxidant activity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of pork emulsion-type sausage with various levels of kabocha powder (0%, 1%, 3%, and 5%). This study examined the proximate composition, color, pH, cooking yield, water holding capacity (WHC), texture profile analysis (TPA),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TPC). The moisture contents, cooking yield, WHC of the samples containing the kabocha powd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P<0.05). The pH of the samples showed an upward trend with increasing levels of kabocha powder.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samples containing 5% kabocha powd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samples for two and four weeks. The TPC of the samples containing 3% and 5% kabocha powd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regardless of the storage period. Therefore, the addition of kabocha powder as an antioxidant additive partially enhanc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rk emulsion-type sausage.

      • CFD에 의한 식품 고속분쇄기 회전영역설계

        정창환 ( Chang-hwan Jeong ),박대천 ( Dae Cheon Park ),이선영 ( Seon Yeong Lee ),박건수 ( Gun Soo Park ),이충호 ( Chung Ho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초미분 분쇄기술은 원물의 영양을 100%에 가깝게 섭취할 수 있고, 가공시간 단축 및 가공을 위한 소비도 적어 미래의 식품가공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본 기술의 확보를 통해 건강 기능성 소재인 대두 분쇄 작업에서의 유지분, 수분 및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한 식품소재의 미세화 문제점을 최소화하는 분쇄기술을 목표로 삼고 있다. 본 연구에서 Solidworks를 통해 분쇄기 Input에서 회전 영역을 통해 Output으로 나가는 CFD 유동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원활한 해석 수행을 하기 위해 분쇄기 3D 모델링 단순화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유동 전처리 단계에서 프로젝트의 생성을 위한 일반적인 기본 조건 및 구체적인 특이사항을 부여하였다. 해석 유형은 외부 유동으로 설정하였으며, 분쇄부 작업 방향으로 7200rpm의 회전 영역 및 유동 유체를 공기로 설정하여 프로젝트 공간을 생성하였다. 분쇄부 Input 면에 경계조건을 실제 벽(Stator)을 대입하여 유동해석을 수행하였다. CFD 유동 시뮬레이션 결과 유동 궤적이 경계조건 Input에서부터 회전(7200rpm)영역 임펠러 및 회전 날개 1,2를 지나 Output으로 나가는 유동 궤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속도 형상 및 압력 형상 플롯을 도출한 결과 설정한 최대 속도(287.956m/s) 보다 미흡한 속도 (47.993m/s) 이하 입자유동이 도출되어서 속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고, 최대압력 플롯은 78MPa이 도출되었으며 1회전 날 끝부분에 나타나기에 전체적으로 보면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분쇄기 재질인 스테인리스 304의 항복강도(215MPa) 기준 안전계수 2.8를 도출하여 분쇄기 설계변경을 진행할 때 영향을 미친 회전 날 끝부분에 반영을 하면 분쇄 작업을 할 때 안전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시호청간탕가감방(柴胡淸肝湯加減方)과 가감청영탕(加減淸營湯)을 병행하여 치료한 지루성피부염 환자 7례 증례 보고

        김준태,박선정,정창환,한수련,Kim, Jun-Tae,Park, Seon-Jeong,Jeong, Chang-Hwan,Han, Su-Ryun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17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30 No.4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Sihochunggan-tang gagambang and Gagamchengyoung-tang in the seven patients with seborrheic dermatitis. Methods :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seven seborrheic dermatitis patients, who have visited Korean Medicine Clinic from 2013.10.01 to 2017.09.30. All 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Sihochunggan-tang gagambang and Gagamchengyoung-tang and acupucture. During taking medicine, we let them avoid bad food like fatty food and alcohol. We evaluated the symptom change through photographs and used Visual Analogue Scale(VAS) as the assessment method. Results : VAS such as skin severity of symptoms, sleep disorder, pruritus was decreased as a result of Sihochunggan-tang gagambang and Gagamchengyoung-tang and acupucture treatment in seven seborrheic dermatitis patients. Conclusions : After the treatment, the grade of VAS was decreased and most symptoms of seven patients were improved. As a result of examining VAS scores and photographs, Sihochunggan-tang gagambang and Gagamchengyoung-tang can be effective on the seborrheic dermatitis in seven cases in our study.

      • KCI등재

        돈피 젤라틴을 이용한 생분해성 용기의 물성과 미생물학적 안정성 및 생분해능 분석

        이솔희 ( Sol-hee Lee ),정창환 ( Chang-hwan Jeong ),오유미 ( Yu-mi Oh ),김학연 ( Hack-youn Kim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21 산업 식품공학 Vol.25 No.4

        본 연구는 생분해성 용기 개발의 연구성이 대두됨에 따라서 동물성 재료로 제조한 생분해성 용기의 개발의 목적에 있다. 연구 결과 돈피, 우피, 닭피에 있어서 돈피가 우수한 수율과 단백질 분자량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돈피를 이용하여 생분해 용기를 개발하였으며, 단면적 확인 결과 호두 껍질 분말 10%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적은 공극을 보였으며, 호두 껍질 분말 20%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공극의 크기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성 연구 결과 호두 껍질 분말 10% 처리구가 더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으며, 호두 껍질 분말 20% 처리구가 더 높은 탄력성을 나타내었다. 압축강도는 호두 껍질 분말 20% 처리구가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General bacteria, E. coli 연구 결과 모든 일자에서 불검출되어 미생물로부터의 안정성은 더 장기간으로 실험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높은 항균 능력과 생분해능의 결과를 보여 저장 기간의 안정성이 높은 용기의 개발과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돈피 젤라틴에 난각과 호두껍질 분말을 넣어 제조한 생분해성 용기의 개발의 기초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quality, microbial stability, and biodegradability of biodegradable containers manufactured using gelatin. Gelatin was extracted from beef, pork, and chicken skin. As a result of the gelatin experiment, the dried yield of pork gelat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It had the highest molecular weight in the SDS-PAGE, so it was selected as the primary material for this study. After mixing pork gelatin powder with water 1:3 (Pork Gelatin, PG), 20% eggshell, 10% walnut powder (Pork gelatin and Walnut 10%; PG-W1), and 20% (Pork gelatin and Walnut 20%; PG-W2) were mixed to prepare two treatments. As a result of the cross-sectional area, PGW1 showed fewer pores than PG-W2. PG-W1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ardness than PG-W2. 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PG-W2 was significantly higher. There is no expression in bacteria and E. coli during this period. PG-W1 showed high antibacterial ability compared to PG-W2. In addition, biodegradability also showed excellent results, based on this data. It is judged that more stable biodegradable containers can be developed.

      • SCOPUSKCI등재

        건식 우육 크러스트를 첨가한 돈육 프레스 햄의 품질 특성

        김선겸(Sun-Gyeom Kim),강규민(Kyu-Min Kang),정창환(Chang-Hwan Jeong),김학연(Hack-Youn Kim) 한국식품과학회 202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4 No.5

        본 연구에서는 건식 우육 크러스트의 첨가량에 따른 프레스 햄의 품질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육 크러스트를 프레스 햄에 첨가하였을 때 조단백질, 보수력, 적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열 전 pH는 대조구보다 우육 크러스트 첨가 처리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우육 크러스트 첨가 처리구들의 pH는 가열 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물성에서 hardness와 cohesiveness는 우육 크러스트 5% 첨가 처리구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p<0.05), 관능평가에서 건식 우육 크러스트을 첨가한 처리구의 appearance, tenderness, off-flavor, flavor, overall acceptability는 우육 크러스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의 결과로 보아 우육 크러스트의 첨가는 품질과 풍미가 향상된 프레스 햄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overall acceptability에서 건식 우육 크러스트 3%를 첨가한 처리구는 5%를 첨가한 처리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상업적으로 건식 우육 크러스트 3%의 첨가가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ry-aged beef crus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ed ham. Pork pressed hams were manufactured using various levels of dry-aged beef crust (0, 1, 3, and 5%).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ed ham were examined by proximate composition, color, pH, water holding capacity,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5% dry-aged beef crust samp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sample (p<0.05). The water-holding capacity of the samples with 3 and 5% dry-aged beef crus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1% and control samples.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sensory evaluation of the samples with 3 and 5% dry-aged beef crus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in the control (p<0.05). Therefore, adding 3% dry-aged beef crust to pressed ham can improv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is economically appropriate for manufactu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