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투고논문 : 빠알리 삼장의 스리랑카어 번역에 대한 연구 -붓다자얀띠(Buddha-Jayanti) 역경사업을 중심으로-

        정준영 ( Jun Young Jeong ) 인도철학회 2009 印度哲學 Vol.0 No.27

        본 연구는 부처님 탄생 2500주년 기념으로 1956년에 스리랑카에서 시작된 빠알리 삼장의 싱할리번역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본고는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붓다자얀띠의 번역과 과정에 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출판 이후의 평가에 대한 것이다. 스리랑카는 번역을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당시 가장 저명하고 박식한 24명의 승려들로 구성된 편집위원회를 중심으로 빠알리 삼장의 번역을 진행해 나아갔다. 편집위원들의 개별적인 번역작업은 편집위원회, 편집대표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최고 편집심의회의 결정에 의해 출판되었다. 이와 같은 스리랑카의 번역실태를 통한 번역과정의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활발히 진행되는 빠알리 경전의 역경과정에서 간과된 부분을 보완하고, 특징을 살려 보다 체계적인 번역과정을 마련하는데 바람직한 지평이 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Buddha Jayanti translation project and its problem of administration. Buddha Jayanti, the year 1956 which marked the 250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the Buddha, was the beginning of new direction in the study and research in Buddhism in Sri Lanka. One of the major projects started as a Buddha Jayanti project is to edit and to translate the Pali Tripitaka texts into Sinhala. The translation series was called Buddha Jayanti Tripitaka Granthamala. The Government of Sri Lanka took step to establish special boards for the Buddhist of the island. Venerable Labugama Lankananda Nakaya Thera was chief editor and president of the board from its inception in 1956 to its completion in 1989. And twenty-four renowned Buddhist monks were selected to delegate this project. The first translation was Parajikapali edited and translated by the Venerable Veragada Amaramoli in 1959. In addition to supervising and editing the translations, he translated nine books himself into Sinhala. The text has been collated with several ancient manuscripts and with the edition of Myanmar edition. One of the roles of the translation was to produce a Sinhala edition of the Tripitaka for Sri Lanka Buddhist. However, the style of the translation is archaic Sinhala and the content always represents commentarial interpretation.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translation properly should focus on the understanding of general public.

      • SCOPUSKCI등재

        급성 우하복부 통증으로 내원한 성인 환자에서 Yersinia 감염에 대한 연구

        정준영 ( Jun Young Jung ),박영숙 ( Young Sook Park ),백대현 ( Dae Hyun Baek ),최정호 ( Jeoung Ho Choi ),조윤주 ( Yun Ju Jo ),김성환 ( Seong Hwan Kim ),손병관 ( Byoung Kwan Son ),채정돈 ( Jeong Don Chae ),김동희 ( Dong Hee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1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7 No.1

        Background/Aims: Clinical manifestations of intestinal yersiniosis include enterocolitis, mesenteric adenitis, and terminal ileitis presenting with fever, right lower quadrant pain, and leukocytosis. According to a previous Korean study in 1997, Yersinia was revealed in two among 15 adult patients with mesenteric adenitis (13%). However, recent reports on the prevalence of Yersinia infection in adult patients are few.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Yersinia infection in adult patients with acute right lower quadrant pain. Methods: Adult patients (>18 years) who visited Eulji medical center, due to acute right lower quadrant pain were enrolled prospectively from December 2007 to July 2009. Abdominal CT, stool culture, serologic test for Yersinia, and Widal test were performed. Results: Among 115 patients, 5 patients were excluded due to positive Widal test or salmonella culture. In 110 patients, abdominal CT showed right colitis in 20 (18.2%), terminal ileitis in 16 (14.5%), mesenteric adenitis in 13 (11.8%), acute appendicitis in 10 (9.1%), acute diverticulitis in 7 (6.4%), non specific mucosal edema in 36 (32.7%) and no specific lesion in 8 (7.3%). Two (1.8%) of the 110 patients had antibodies to Yersinia. One patient showed acute enteritis and the other patient was diagnosed with acute appendicitis and underwent appendectomy. No Yersinia species were grown on stool or tissue culture. Conclusions: Nowadays, among adult Korean patients presenting with acute right lower quadrant pain, there have been few incidences of Yersinia infec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11;57:14-18)

      • 공유 메모리 환경에서 시간 데이터의 조인 연산에 관한 연구

        정준영(Jun Young Jeong),윤홍원(Hong Won Yun),김경석(Kyong Sok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1A

        최근에 시간 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많아져 시간 데이터를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시간 지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시간 데이터의 특징 때문에 시간 데이터의 조인 연산은 어려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시간 데이터에 대한 조인 연산에 대한 여러 논문들이 발표되었지만, 최근에 많이 연구되고 있는 다중 처리기 환경에서 조인 문제를 다른 예는 거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유 메모리 구조에서 시간 데이터를 조인하는 것이 단일 처리기에서 조인하는 것 보다 더 효율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보이겠다.

      • KCI등재

        초기경전에 나타나는 인간유형 연구

        정준영(Jun Young Jeo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1

        본고는 초기경전에서 설명하는 인간의 유형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이들은 두가지로 하나는 ``빠알리-니까야``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다양한 인간의 유형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인간은 부모의 결합, 적절한 시기, 그리고 결생식의 삼사(三事)가 조화를 이루어 입태해야 태어날수 있다. 그리고 다른 생물체와 입태와 출생에 있어 구별되며 같은 인간 사이에서의 차별성은 찾아볼 수 없다. 또한 인간은 개인이 지닌 성향에 따라 수행의 진행과정과 방법들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은 육체적인 면에서는 그 구성에 차이를 지니지 않으나 정신적인 면에서는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된다. 특히 이러한 부분은 수행자가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나고자 수행을 진행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초기경전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다양한 유형은 열 가지로 타인과의 관계, 성격, 언행, 윤리성, 계율의 소지, 지혜의 정도, 수행의 방법, 욕망의 다스림, 삶의 형태, 족쇄의 유무, 성인의 종류 등에 있어 매우 다양한 시각에서 구분하고 있다. 특히, 두 가지에서 다섯 가지까지의 유형 대부분은 범부들의 유형 그리고 욕망, 윤리, 올바른 수행자로 가기위한 태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곱 가지에서 열 가지 유형은 범부와 성인의 구분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러한 분류는 인간을 특정유형의 고정된 실체로 인정하기 위함이 아니라, 자신의 유형을 파악하고 보다 나은 유형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초기경전을 통해 파악된 인간의 유형은 작게 세 부류에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범부, 유학, 그리고 무학이다. 이들 중에 범부는 경전에 따라 세 가지에서 네 가지로 구분되고, 유학은 일곱 가지 성인 그리고 무학은 한 가지 아라한으로 구분되었다. 좀 더 세분화하면 유학과 무학은 일곱 가지 수행자로 구분된다. 이러한 유형의 구분은 단순히 범부에서 성인의 성취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성인 역시 궁극적인목표를 향해 계발하고 정진해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붓다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그들의 특성에 맞춰 구도의 길을 제시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types of human and their special features as found in Pali Nikaya. According to the canon, Buddha distinguished human from other living creatures. And he treated people without discrimination even though they have different caste. All humans are same physically, but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s psycholog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types of human described in the Pali-Nikaya. All humans were grouped into 10 categories. These groups are basis on the ``spiritual achievement``, ``moral attitude``, ``levels of wisdom``, ``ways of practice``, ``breaking fetters`` and ``types of Noble Ones``, etc. And also, Buddha classified human in three levels. The first level of human is ``Worldling(puthujjana).`` He is not yet able to reach one of the four stages of Noble Ones(ariya). The second level of human is ``Noble Learner(sekha)`` who is on the path to realization. There are 7 stratifications for Noble Learners. And the last level of human is ``Perfected in Training(asekha).`` He has another name as an araha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re is an attempt to find what is the suitable types of human beings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 of Buddhist practices. The question was occurred whether the classification of human by temperament is useful or not. In other words, the question is whether the grouping method for human- type is appropriate or not.

      • KCI등재

        박태원의 내면에 담긴 주체성

        정준영(Jeong, Jun Young) 구보학회 2008 구보학보 Vol.3 No.-

        1930년 한국 근대문학기의 소설가 박태원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 계속되어져 왔다. 왜냐하면 그는 한국전쟁이 발발되기 전에는 남한에서 획기적인 모더니즘의 소설을 발표하여 주목받았고, 한국전쟁 당시 월북하여 북한에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소설들을 써서 그곳에서도 큰 주목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의 정체성에 관한 문제는 여전히 논의할 가치가 있다. 그의 소설을 시대적 혼란상에 휩쓸린 비주체적인 것인가 혹은 시대의 혼란상을 직시하고 탄력적으로 살아남아 자신의 작품을 계속적으로 이어나간 것인가는 그와 그의 작품을 해석하는 시각의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의 급변하는 시대에 우리나라는 사회 전반적으로 자체의 발전원리를 가질 수 없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그가 외부로부터 수용한 것이 문제해결로서의 모색과 실천이었고 작품의 경향이 바뀌더라도 개인의 내면에 지닌 고유한 성품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해보는 것은 중요하다. 즉, 본고는 지금껏 다소 간과되었던 박태원 고유의 주체적 내면성은 무엇이었는지를 이해하는 입장의 글이다. 작가의 고유한 내면성은 외부의 세력에 완전히 침범당하지 못한 주체성의 핵심이다. 그의 소설에 나타난 모더니즘의 수용적 측면은 단순 적용이나 변용이 아닌 작가의 고심으로 생산된 것이다. 예를 들어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컴마문장이나 방란장 주인의 한문장 소설은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시도이다. 중요한 것은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난 ‘불안’의 성격적 규명에 있다. 일반적으로 구보는 무능력하고 무기력한 존재로 부유하는 모습으로 읽혀질 수 있지만 구보가 느끼는 불안은 물론 병증은 아니고 피동형 인간이 느끼는 불안도 아니다. 그것은 주체를 가진 인텔리의 ‘자기 소외적 불안’이라는 것이다. 또한 그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소설 조국의 깃발은 이념의 문제가 핵심이 아니라 그 근본은 어디까지나 인간에 대한 연민의 정에 있다. 수필은 그의 감성이 매우 섬세하고 여린 것을 보여준다. 인간에 대한 연민과 동정의 시선이 그의 작품 전반에 내재되어 작가의 동일한 내면을 비추고 있다는 점을 기억하는 일은 중요하다. 연민의 정이란 사랑보다 좀 더 복합적인 정한인데 힘겨운 생을 살아가는 인간들에 대한 애처로운 마음이 연민의 정이라고 할 때, 이것은 측은지심과 통한다. 박태원의 작품에서 동일하게 보여지는 작가의 내면적 성품을 이해하는 것이 그의 작품의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하나의 해석적 틀이 될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Period of 1930 korea literature a short story writer and novelist, park- tae weoun has been the subject to controversy and has been discussed about his identity. Because he was published under South Korea novel of modernism, 「One day, novelist gubo’s 」etc. and he received attention. Also he crossing over into North Korea, he received attention novel of socialism. Identity of him a short stories and novels is still a matter of debate. It is A or B; He is nothing but an opportunist or He was established his subjecthood is according to the critic’s point of view. But that wa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Korean War, that was a chaotic age in the history of Korea. Give your careful consideration for Korean society was not independence. And Park-tae weoun make a constant effort. It is important that internality is not change.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his characteristic internality and identity that has been passed over. Because a internality is core of identity that is not violated the outside world in the end. The modernistic method of His short stories and novels are producted by writer’s pains, not simply trying imitation others. In example, sentence of comma 「One day, novelist gubo’s」, only one sentence end 「The honor of Bangnangang」are the first trying. Point is that lighting on the meaning of ‘anxiety’ in 「One day, novelist gubo’s. Generally, Gubo is the person, he is an incompetence and a person of inertia. But he is an intellectual that experience self-alienation. Also 「A flag of mother country」that classified short story of socialism is based on charity forward human not an idea. Essay he write, we feel his emotion is very delicate and soft. It is important that the think of charity for human generalize his every works and have common think. Charity for human is emotion of pathetic for people of poverty same the word compassion. This study presentation that taking his works one frame by the same emotion in his internality.

      • KCI등재

        순수위빠사나의 정학실천 비교연구

        정준영(Jeong, Jun-You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3

        오늘날 진행하는 대부분의 위빠사나는 순수위빠사나 수행이다. 본고는 최근 국내에서 가장 많이 진행하고 있는 마하시와 쉐우민의 순수위빠사나 수행법을 정학(定學)의 범주로 구분하여 비교한다. 이들은 194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사이 미얀마에서 만들어진 위빠사나 수행법이다. 초기경전을 기준으로 정학을 실천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수행법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마하시 위빠사나의 노력은 열심히 인내하고 정진하는 것이다. 하지만 쉐우민 위빠사나의 노력은 긴장 없는 편안한 마음을 강조한다. 이들은 힘을 주는 노력과 힘을 빼는 노력으로 구분된다. 둘째, 마하시의 사띠는 신수관과 수수관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수행자는 사띠를 감각이라는 대상에 밀착하고자 노력했다. 쉐우민의 사띠는 심수관과 법수관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수행자는 마음이라는 다양한 대상에 거리를 두어 알아차리는 방법을 사용한다. 사띠는 밀착과 거리두기를 통해 감각과 마음이라는 서로 다른 대상에 적용된다. 셋째, 마하시는 찰나집중을 활용하여 오장애를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위빠사나 선정도 발전시킬 수 있다. 하지만 쉐우민의 집중은 본래의 의미를 벗어나 이완이나 안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그밖에도 수행의 발전과정이나 목표에 있어서도 이들의 차이점은 분명하다. 순수위빠사나라는 동일한 이름이 수행의 방법까지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 마하시는 『위숫디막가』를 기준으로 상좌부불교의 수행전통을 고수하고자 노력한다. 분리와 분석이라는 전통적 사고를 활용하여 몸과 마음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상대적으로 후대에 개발된 쉐우민은 마하시의 어려움을 보완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위빠사나를 다루는 수행전통의 흐름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해석과 실천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수행법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가능해지길 기대한다. 동시에 오랜 경험으로 축적된 전통적 수행법이 새로운 해석에 희석될까 염려된다. Contemporary Vipassanā meditation is mostly performed in the style labeled ‘dry-visioned’ or ‘suddha-vipassanā’. This study compares the two different suddha-vipassanā techniques of Mahasi and Shweoomin in terms of concentration training. Both of these vipassanā meditations were developed in Myanmar in the late 1950s and are commonly taught to cultivate concentration training using the scriptures of Early Buddhism (Pāli-Nikāya). However, they diverged in practice methods. First, Mahasi vipassanā urged practitioners to be patient in the face of difficulty and to practice diligently, while proponents of Shweoomin vipassanā place importance on calming the mind to eliminate tension. Thus, the difference is “effort with strain vs. effort without strain.” Second, in Mahasi vipassanā, sati was practiced through the contemplation of body and contemplation of feeling. Practitioners try to remain aware of their senses, that is, the objects of meditation. In Shweoomin vipassanā, sati is practiced through the contemplation of mind and contemplation of Dhamma. Practitioners keep various perceptions at a distance in their minds to sustain clear awareness. Thus, the techniques differed in that, in the first, sati was applied to senses or objects of the mind by focusing on them, and in the second, they were kept at a distance. Third, Mahasi vipassanā seeks to eradicate the five hindrances by using momentary concentration and developing vipassanā absorption (when needed). Conversely, concentration in Shweoomin vipassanā strays from the original meaning of concentration and, rather, seeks to attain relaxation or a stable state.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methods are clear in term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ractice and goals of meditation. Although both of them share a common name, suddha-vipassanā, they differ in terms of method of practice. Mahasi attempts to retain the Theravāda Buddhist tradition by following the standard of The Path of Purification (Visuddhimagga). By making the most of the traditional processes of division and analysis, Mahasi vipassanā attempts to understand the human body and mind. Shweoomin vipassanā, which developed later than the Mahasi vipassanā, appears to attempt to overcome or eliminate this complexity of Mahasi. However, Shweoomin strays from mainstream traditional vipassanā practice and attempts a renewed interpretation and practice. By comparing these difference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objective assessment of various meditation techniques. However, some concerns remain about the possible dilution of traditional practice methods that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centuries of practical experiences.

      • KCI우수등재

        두 가지 해탈(解脫)의 의미에 대한 고찰― 니까야(Nikāya)를 중심으로 ―

        정준영(Jeong Jun Young) 불교학연구회 2006 불교학연구 Vol.14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Vimokkha and Vimutti as found in P?li-Nik?yas. Cetovimutti, Pa???vimutti and Ubhatobh?gavimutti are three terms used in the canonical texts in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emancipation. Of these three terms, while Pa???vimutti and Ubhatobh?gavimutti by themselves are used to denote the final emancipation, the term cetovimutti by itself is not used in this sense. It is when cetovimutti is used along with pa???vimutti that it denotes final emancipation. Therefore, cetovimutti by itself is not sufficient to lead one to the attainment of final emancipation. This brings up the question whether attainment of pa???vimutti is possible without cetovimutti. In other words, the question is whether there can be a pa???vimutta who has not attained cetovimutti. Such a question arises because the texts refers to a category of finally emancipated persons who are called ubhatobh?gavimutta, and these persons are taken as those who have realized both cetovimutti and pa???vimutti. And this study clearly shows whether one is a cetovimutti attainer or a pa???vimutti attainer, jh?nic attainments are necessary for both. Therefore, when we say S?riputta is a pa???vimutta, and Moggall?na is a cetovimutti attainer, it does not mean that S?riputta has not practised jh?na, or that Moggall?na has not practised vipassan?. The reason of different abilities are due to the difference in faculties (indriyavemattat?) of the respective attai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