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RM 환경을 고려한 보안 통신 API의 설계 및 구현

        정인성,신용태,Jung, In-Sung,Shin, Yong-Tae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1 No.2

        인터넷 환경에서 통신 개체간에 보안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부가적인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통신 개체들은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암호화/복호화, 보안 채널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한다. 또한, 보안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호 인증이 지원되어야 한다. SSL/TLS는 통신 개체간의 안전한 통신 채널을 생성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TLS를 구현한 OpenSSL이 활발히 사용되고 안정성과 성능이 입증되었지만, 크기가 크며, 기존 암호 모들의 삭제 및 교체, 툴킷 형태의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암호 모둘 삭제 및 교체론 수정된 OpenSSL을 기반으로 개발자들이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안 통신 API를 설계, 구현하였다. 구현된 API를 사용하여 보안 통신을 지원하는 DRM 클라이언트/서버 사례를 통하여 실제 적용 결과를 확인한다. The additional mechanism Is required to set up a secure connection among the communication subjects in the internet environment. Each entity should transfer and receive the encrypted and hashed data to guarantee the data integrity. Also, the mutual authentication procedure should be processed using a secure communication protocol. The SSL/TLS is a protocol which creates the secure communication channel among the communication subjects and sends/receives a data. Although the OpenSSL which implements the TLS is using by many developers and its stability and performance are proved, it has a difficulty in using because of its large size. So, this Paper designs and implements the secure communication which the users can use easily by modification works of OpenSSL library API. We proved the real application results using the DRM client/server case which supports a secure communication using the implemented API.

      • KCI우수등재

        R141b 포접화합물을 이용한 축냉시스템의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정인성,김양규,이준식,노승탁,Jung, I.S.,Kim, Y.G.,Lee, J.S.,Ro, S.T. 대한설비공학회 1994 설비공학 논문집 Vol.6 No.4

        Experiments hav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ameters, such as mass ratio of R141b-to-water, stirrer speed, brine inlet temperature, brine flowrate, and additives, on the performance of the cool storage system using R141b clathrate. The cool storage system in this experiment was composed of storage tank, refrigerator, and heater. The results show that the mass ratio of R141b-to-water, 1 : 3~1 : 3.5 gives the best performance and the stirring speed has optimum point as 600rpm. At this speed impeller Reynolds number is $1.01{\times}10^5$. The lower the inlet brine temperature and the highter the brine flowrate, the better performance. The addition of metal powder turned out to reduce the degree of supercooling. The supercooling reduction wa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the metal power. However when metal powder was added more than 0.1 wt%, there was no additional supercooling reduction. The surfactants shortened the time consumed for cool storage to the half of no surfactant added case.

      • KCI등재

        燕式土器文化의 확산과 後期 古朝鮮의 토기문화

        정인성(Jung In Seung)(鄭仁盛) 백산학회 2014 白山學報 Vol.- No.100

        영남지역에서 회도문화인 와질토기의 발생이 낙랑토기의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라 더욱 소급된다는 주장이 제시되면서 후기고조선 토기문화의 이해가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 글에서는 後期古朝鮮의 토기문화를 단순히 漢文化를 제외한 무문토기 유형에서만 찾으려하는 기존의 이해를 비판하고 在地系 무문토기의 바탕에 戰國時代 燕國土器의 기술적 영향이 더해진 것으로 보았다. 즉 세죽리-연화보 토기도 후기 고조선토기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죽리-연화보 유형의 성격을 보다 분명히 하기 위하여 전형적인 연국 토기와 비교를 통해 형태론적인 측면은 물론 기술론적인 차원에서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세죽리-연화보의 연식토기라는 것이 이미 요동지역에서 특화된 토기라는 것을 밝혔으며 그것이 점토대토기라는 무문토기의 바탕 위에 있음을 분명히 하였다. 뿐만아니라 燕國 釜形土器의 확산이 대릉하나 요하 주변을 넘지 못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나아가 세죽리-연화보 유형에는 한대가 되어 새롭게 반입된 연토기 요소를 변별할 수 있었다. 결국 토기문화의 성격으로 보건데 세죽리-연화보에 포함된 燕土器 요소를 근거로 전국시대 燕國의 영역지배가 요동을 지나 청천강에 이르렀다는 해석은 문제가 있다. 그 영향력이 일시적으로 요동에 이르렀을 가능성을 완전히 부정하지 않으나 세죽리-연화보로 대표되는 이 지역의 토기문화는 燕國의 土器文化가 아니라 後期 古朝鮮의 土器文化인 것이다. 더 이상 미송리형 토기가 고조선 토기를 대표하는 것으로 설명하는 분위기에서 탈피해야 한다. 南越國의 토기문화에서 드러나듯이 고조선 토기에 중원 토기의 영향이 상존하는 것은 오히려 당연한 것이다. 중원 물질문화의 영향이 전혀 인지되지 않는 공간에서 고조선과 그 문화를 찾으려는 접근방법에서 벗어나야만 고조선이 제 모습을 드러낼 것이라 믿는다. As the claim that the occurrences of grey pottery in the Youngnam region was not due to effects of Nakrang pottery but is more retroactive has been suggested, understanding of pottery culture of the late koJoseon(古朝鮮) has emerged as an important subject. In this paper, pottery culture of late kojoseon(古朝鮮) was viewed as not simply a Han-culture(漢文化), but as a culture that added technical impact of Warring states period(戰國時代) Yanguo(燕國)pottery土器 to the culture of Mumun(無紋) pottery culture. In another words, Seijukri-Lianhuabao pottery is one of them. Along with a fact that typical diffusion of Yanguo(燕國) Pot-type(釜 形)pottery does not cross the Liao-ho (Ri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Pot-type(釜形)pottery, which belongs to the Seijukri-Lianhuabao, had became localized on the basis of Pottery with clay stripes(粘土帶土器) in the territory of Yyodong(遼東). In the end, judging by the nature of pottery culture, analysis that the area domination of the Yanguo(燕國) age of civil wars had past the territory of Yyodong to reach the Chongchon River is problematic. Although the possibility that their influence temporary reached the territory of Yyodong can not be completely denied, the pottery culture of this area, represented by Seijukri-Lianhuabao, should be viewed as pottery culture of late kochoseun(古朝鮮), not Yanguo(燕國).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직류전기철도에서의 확률적 부하전력 계산

        정인성(In-sung Jung),송중호(Joong-Ho Song),최규형(Kyu-Hyoung Choi) 한국철도학회 2013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1

        전기철도의 급전계통은 일반적인 급전계통과는 다른 특성이 있다. 전기철도의 부하는 차량의 특성상 기동, 정지가 빈번하게 반복되고 그 위치가 계속 이동하기 때문에 부하의 크기 변동이 극심하다. 따라서, 한 변전소 구간 내에서 운행되는 각 열차의 소비전력량도 그 열차의 Position과 Performance, 각 열차간의 운행시격 등에 따라 서로 다르다. 본 논문에서는, 직류 전기철도에서의 열차 위치 확률 분포 (Probability Density Function)를 토대로 열차의 위치에 따른 변전소의 공급전력을 확률적으로 분석하였다. Feeding system of electric railway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ther feeding systems. Load values of electric railway train are changed frequently because train operates that it repeated Acceleration and breaking, and the other reason is the train moved on and on. Therefore, Power consumption values of trains operated in one subst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ecause each trains has different position, performance and interval between the train. In this paper, analyzed supply power of subst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rain using PD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 KCI등재

        대방태수 張撫夷墓의 재검토

        정인성(Jung, Inseung) 한국상고사학회 2010 한국상고사학보 Vol.69 No.-

        1911년에 발견된 장무이묘는 대방군의 위치를 한강유역으로 보는 기존설을 황해도로 바꾼 결정적인 고고학적 증거가 되었다. 또한 세키노에 의해서 궁륭상 천장의 전실묘로 복원된 점과 출토된 명문전의 戊申年간지는 이 무덤의 축조시기를 낙랑·대방군의 멸망연대보다 빠른 288년으로 고정시키기에 충분했다. 장무이묘의 연 대결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세키노의 복원안은 지금까지 그 어떤 연구자도 의문을 제기한 적이 없다. 그런데 필자는 장무이묘의 조사 과정과 내용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의미있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 했다. 그 하나는 장무이묘에서 출토된 문자전돌의 종류와 내용이 그간의 집성과 다르다는 것인데, 출토 유물의 현지조사를 통해서 이를 바로 잡았다. 뿐만 아니라 이 고분의 천장이 궁륭상이 아니고 석개천장이라는 사실도 밝혀내었다. 이는 대단히 중요한 고고학적 발견으로 이 무덤의 연대가 궁륭상이기 때문에, 353년으로 알려진 석개천장의 동리묘보다는 최소한 시기가 올라가야 된다는 설명 틀에서 자유로워지는 단서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무이묘를 구성하는 많은 속성에서 고구려적인 요소가 발견되는 것을 근거로 장무이묘가 4세기 중엽 이후의 고구려 무덤임을 분명히 했다. 결국 고고학적으로 보아도 장무이묘의 피장자가 대방태수라는 것은 허구의 자칭인 것이 분명하다. Despite the controversy about location of DaeBang Province(帶方郡) and Provincial office(郡治) caused by JangMui–Tomb and character protrusion that was excavate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rcheology community in Korea have not done any reexamination and verification about the survey and excavated remains, which seems to a problem. JangMui–Tomb, which was found around 1911, became a conclusive evidence for amending existing assumption of location of DaeBang Province(帶方郡) from Han River(漢江) area to Hwanghae–do(黃海道). Also, the fact that SEKINO–Tadashi(關野貞) had restored to Brick chamber tombs of Dome ceiling and MuShin–year(戊申年) character of MyungMoonJeon(銘文塼) has fixed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is tomb to 288 years prior to fall of NakRang(樂걌)·DaeBang(帶方) Province for a long time. It was because of the basic recognition that the Dome typed ceiling precedes before Stone ceiling. I found many significant facts through reexamining the investigation of JangMui–tomb that was taken in 1911. One of them is that type and contents of character protrusion which was excavated in JangMui–tomb and I fixed it through surveying real data. moreover, the type of tomb ceiling is Stone type not Dome type. This is really important archeological discovery that can be work as clue which refutes explanation of the age of this tomb. The explanation was that the age of this tomb precedes DongRi–tomb of stone ceiling which is known as A.D 353 because the age of its ceiling is Dome type. Furthermore, I clarified that many component of JangMui–tomb is the tomb of Goguryo(高句麗) that was built around late 4c.

      • LBS 기반의 노약자 보호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정인성 ( In-sung Jung ),유주현 ( Ju-hyun Yoo ),양수영 ( Su-yeong Yang ),김원중 ( Won-jung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5 No.2

        위치 기반 서비스는 기존의 IT 기술과 통합되는 경우 매우 다양한 형태의 지능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 기반 서비스와 모바일 폰의 휴대성을 결합한 LBS 기반의 노약자 보호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치매 노인, 정신지체 및 발달 장애를 앓고 있는 노약자들에 대한 효과적인 실시간 위치 검색 및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배터리 잔량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노약자들의 실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