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크 랑시에르의 문학의 정치의 재맥락화: 진은영의 문제제기를 중심으로

        정의진 ( Eui Jin Ju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2

        Eunyoung Jin`s “The Re-distribution of the Sensible: On Poetry of the 2000s,” which was published in the journal “Creation and Criticism (Winter, 2008)” caused a great stir in Korean literature and triggered various follow-up discussions. In this piece, Eunyoung Jin made references mostly from “Politics of Aesthetics: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by Jacques Ranciere, a French scholar of politics and aesthetics. Her referential focus was to newly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Even afterwards, Eunyoung Jin had drawn from Ranciere new thoughts that could turn a dichotomously contrasting relationship between a poet’s participation in reality and poetry’s artistic value into a (more) productive interactional relationship. In order to plan and practice a reformation of senses and thoughts whose literary and artistic creativity are based on social customs and on a larger scale, a new reformation of the society’s political geography, Eunyong Jin underwent various activities to re-contextualize Ranciere’s argument on constant reformation of “The Aesthetic Regime of Art” for situations in Korea. Writers who actively engaged in situations such as the Yongsan disaster and the Duriban struggle, while choosing to share various poetic tendencies and texts that hover between a so-called dichotomy of art and society are one good example. Ensuring that poetry and literature will maintain a continuous openness toward fluid and complex realities of the society, thereby giving the sensibility of a poet himor herself new artistic and political motives and reset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above a new horizon was the position held by and practiced by Eunyoung Jin. Looking back at Eunyoung Jin’s work from a socio-economic context, her work is interlocked with the need to fundamentally change the way of thinking in respect of Korean society and the current economic system based on capitalism and a series of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such as the 2008 Candlelight Protest (in South Korea), the Financial crisis of 2008 that originated in the U.S. subprime mortgage crisis and the bankruptcy of Lehman Brothers and later spread worldwide and the Yongsan disaster in the beginning of 2009. These situations provided an opportunity to newly refresh in mind the Korean literature’s history of rapid advancement along with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and also of rapid decline in the 1990s, i.e., the memory of literature`s revolutionary tendency. However, this memory is also connected with the evils of thought and practice that treat literature as a tool for revolutionary movement(s). Literary practice to confront the socio-economic contradiction that was structural and fixed from an abstract social-scientific perspective often simplified the reality of society where more diverse, complex and foreign situations coexisted and interpenetrated one another. In this regard, the reason Eunyoung Jin actively accepted Jacques Ranciere’s argument that emphasized the independent and creative confrontation of literary works, at least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issue, rather than obsessing over the socio-economic foundation and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can be understood. In the end, regardless of the different socio-economic contexts between France and Korea, (it is clear that) the main idea for both Jacques Ranciere and Eunyoung Jin is the study and practice of possibilities. Eunyoung Jin is faithful to Ranciere’s fundamental principle that there is no pre-determined truth. Therefore, although the task of critically reviewing Eunyoung Jin`s understanding of Ranciere from a perspective of theoretical accuracy is necessary and has meaning, but is not without limitations as the focus of the problem is the study and practice of possibilities.

      • KCI등재

        『이방인 L'Étranger』의 영화화와 관련된 예술적, 정치적 쟁점들

        정의진(JUNG, Eui-jin) 프랑스학회 2013 프랑스학연구 Vol.63 No.-

        L'adaptation cinématographique de L'Étranger d'Albert Camus par Luchino Visconti en 1967, a provoqué des réactions négatives de la part des critiques. Une des raisons principales de ces réactions négatives est dû non au film, mais au roman même de Camus. La fameuse scène du meurtre d'un arabe par Meursault sur la plage, considéré souvent comme une preuve de l'inconscient politique de l'eurocentrisme de L'Étranger, était toujours un objet du reproche en 1967. C'est une période où la cause du mouvement de l'indépendence du Tiers-Monde a déja largement gagné sa légitimité internationale. C'est aussi une époque où la guerre du Vietenam était un sujet particulièrement virulant. Une autre raison principale des réactions négatives vis-à-vis du film de Visconti, était la fidélité insuffisante de l'adaptation cinématographique de Visconti vis-à-vis du roman. Or la reprojection du même film en 2009 à l'occasion du cinquantenaire du décès d'Albert Camus, malgré certaines réactions aussi négatives qu'en 1967, a trouvé en même temps des nouvelles estimes favorables. Avec le recul du temps, on reconsidère le film de Visconti. En réalité, le film de Visconti a des qualités artistiques assez hautes, et la réinterprétation politico du roman de Visconti contient une étonnante intuition historique très singulière, même si elle est plutôt allusive à cause du principe de la fidélité du film pour le texte original, maintenu par Visconti. Or malgré la fidélité apparente du film pour le roman, l'adaptation cinématographique de Visconti montre sa spécificité. En gardant en général les intrigues et les dialogues du texte original dans son film, Visconti y insinue le conflit entre les blancs et les arabes. D'abord, en modifiant partiellement l'ordre du récit, il met successivement la scène du meurtre et l'emprisonnement de Meursault dans une cellule où il est seul parmis des arabes. À la différence du roman oroginal, Visconti accentue l'ambiance assez tendue entre Meursaule et les arabes. Ce remaniement de l'ordre de l'intrigue du roman a des effets étendus sur le film tout entier. Par exemple, la scène du faux témoignage lâche de Meursault pour Raymond contre Yasmina, une prostituée arabe, ou la scène inventée des prostituées arabes mal traitées pourtant gaies, avec l'effet du remaniement de l'intrigue, obtiennent un message sous-jacent mais assez cohérent. Finalement, le film de Visconti montre les inconvénients des blancs, qui se trouvent mal en Algérie et en Afrique, qui préfigure leur sort historique ultérieure.

      • KCI등재
      • KCI등재

        발터 벤야민의 루이 아라공 비판이 제기하는 문제들

        정의진(Jung, Eui-Ji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논총 Vol.30 No.-

        발터 벤야민은 19세기의 파리를 매개로 서구 근대자본주의의 모더니티 및 20세기와의 변증법적인 역사적 관계를 총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한 그의 미완의 작업노트 ?파사젠베르크? 및 이에 대한 발제문 ?파리, 19세기의 수도?의 준비노트 등에는, 루이 아라공의 ?파리의 농부?에 대한 비판적 언급들이 있다. 아라공이 전면적인 역사적 각성의 단계로 전화하지 못하고 꿈과 신화의 세계에 머물러 있다는 벤야민의 비판적 언급은, ?초현실주의, 유럽 인텔리겐치아의 최근의 스냅사진?의 초현실주의 비판, 즉 초현실주의의 마르크스주의적 정치화로의 전화를 제안한 것과도 맥을 같이 한다. 그러나 동시에 벤야민은 ?파사젠베르크? 기획 초기에 아라공의 ?파리의 농부?가 엄청난 지적 영감을 제공하였음을 아도르노에게 보낸 편지에서 고백하기도 하였다. 사실 벤야민의 아라공에 대한 비판적 거리두기에도 불구하고, 아라공이 ?파리의 농부?를 통해 표방한 현대적 신화론은 근본적으로 사회역사적인 관점에 입각해 있다. 나아가 벤야민의 꿈과 역사적 각성 혹은 육체적 감각과 비판적 이성의 변증법, 그의 몽타주적인 글쓰기 형식 등을 아라공의 신화론 및 콜라주적인 글쓰기와 대조해 보면, 그 차이점보다는 유사성이 두드러진다. 발터벤야민의 변증법적 이미지라는 개념은 아라공의 초현실주의적인 이미지와 그 근본 관점에 잇어서 매우 유사한 사유방식을 드러낸다. 벤야민이 초현실주의자들에게 제안한 세속적 계시 또한, 그 성격상 전적으로 마르크스주의적인 관점이라기보다는 벤야민 고유의 신학적 정치철학이 마르크스주의에 투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벤야민의 아라공 및 초현실주의 비판은, 그 비판의 쟁점들과 더불어 벤야민 자신의 사상적 변화과정 및 1920년대 말 유럽의 정치사회 상황이라는 맥락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20세기 초반 프랑스문학의 현대성과 사회역사성에 대한 발터 벤야민의 문학비평

        정의진(Jung Eui Ji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서강인문논총 Vol.0 No.51

        발터 벤야민의 마르셀 프루스트와 초현실주의에 대한 비평은, 아우라 개념을 매개로 한 시간과 역사에 대한 이론적 성찰을 통해 20세기 초반 프랑스 문학의 역사적 변화양상을 분석한다. 벤야민은 우선 이들 작품의 사회성을 부각시키면서 궁극적으로 그 최종적인 정치적 함의를 도출해낸다. 그러나 벤야민의 이러한 사회정치적 독해의 저변에서 그의 이론적 방법론을 규정하는 또 다른 고유한 층위가 존재한다. 알레고리, 아우라, 꿈과 깨어남의 변증법 등의 개념을 통해 분석 작가와 작품의 고유한 시간성과 역사성을 포착해내는 방법론이 그것이다. 이러한 벤야민의 사유방법론은 직간접적으로 프루스트와 보들레르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매개로 벤야민은 초현실주의적 이미지에 보편적인 현대적 예술개념의 위상을 부여하였다. 벤야민의 시간관, 역사관 및 정치적 지향성은 마르크스주의로 환원할 수 없는 보다 근본적인 역사적 시간성에 대한 이론화를 통해 형성되었다. 역사적 사건과 주체, 그리고 20세기 문학이 시간을 공동체적으로 재구성하는 특수한 형식과 방식에 대한 이론화를 통해, 그의 사유방법론은 현재에도 문학의 사회역사적 위상을 당대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작업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론적이고 역사적인 맥락에 대한 이해를 통해, 우리는 보들레르, 프루스트, 초현실주의 사이의 역사적인 차이와 연속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보들레르의 미술비평과 시학 -예술의 역사적 모더니티와 형식

        정의진 ( Eui Jin Jung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38 No.-

        이상적인 비평의 성격을 <유쾌하고도 시적인 비평>, <편파적이고, 열정적이고, 정치적>이되 <이 관점이 최대한의 지평을 여는> 비평이라고 규정하면서, 보들레르는 운문시와 비평사이의 담론적 특수성의 거리를 좁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비평은, 회화적 이미지에서 비롯되는 감각적 경험을 언어적으로 재구성하려는 시도, 즉 예술적 상호조응의 문제를 전면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 『1846년 살롱전』에서 보들레르가 표명한 입장이었다. 이러한 보들레르의 입장은 제2제정기 프랑스의 급속한 대도시화와 자본주의화를 경유하면서, 1850년대 말 이후부터는 현대예술과 산문시 및 예술비평 사이에 ``시적 산문``이라는 매개를 설정하는 새로운 입장으로 발전한다. 즉 사회경제적이고 정치적인 변화와 보다 직접적으로 연동된 예술의 역사적 모더니티에 대한 뚜렷한 자각과, 이에 대한 예술적 응전으로서의 새로운 예술형식에 대한 실천이 그의 후반기 텍스트들에서 전면화 된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보들레르는 전통적인 낭만주의적 이상, 순수예술과 예술적 상호조응의 이상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으며, 나아가 이를 ``시적 산문``의 이상으로 대체하고 현대화하였다고 볼 수도 있다. 이는 시와 미술, 언어와 이미지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련된 ``Ut pictura poesis``라는 서구 예술사의 오랜 역사적 화두의 현대적 변용과 계승이기도 하다. Baudelaire, en definissant l`ideal de la critique d`art comme <amusante et poetique>, <partiale, passionnee, politique, c`est-a-dire faire a un point de vue exclusif, mais au point de vue qui ouvre le plus d`horizons>, a tente de rapprocher le poeme en vers et la critique du point de vue de la maniere specifique de la mise en discours. Dane le Salon de 1846, Baudelaire affirme que tel genre de tentative ne sera reussie que quand la critique d`art accepte totalement la problematique de la correspondance artistique, c`est-a-dire la reorganisation poetique et linguistique de l`image picturale. Or apres avoir vecu le developpement spectaculaire de l`urbanisation et l`industrialisation capitaliste a l`epoque du Second Empire, Baudelaire avance la nouvelle position pour l`art moderne, le poeme en prose et la critique d`art par le biais de la conception de la prose poetique. A partir de la fin des annees 1850, on decouvre sa prise de conscience pointue de l`historicite de la modernite artistique liee plus etroitement au changement economico-social et politique, et en meme temps, sa recherche de la nouvelle forme de l`art pour y repondre. Cependant, la nouvelle position de Baudelaire pour la modernite historique de l`art en face du changement tumultueux de la societe moderne, ne renonce pas a l`ideal romantique de la correspondance artistique. Il la modernise a nouveau avec la nouvelle conception de la prose poetique. Dans ce sens, sa conception de la modernite artistique continue la problematique traditionnelle occidentale de l`ut pictura poesis

      • KCI등재
      • KCI등재

        프랑스 중세 소극 (笑劇) 과 고전 소희극 (小喜劇)

        정의진(Eui Jin Jung) 한국연극학회 1997 한국연극학 Vol.9 No.1

        Le but de cette e´tude est d`e´lucider l`identite´ et la diffe´rence de deux formes the´a^trales comiques, la farce du moyen a^ge et la petite come´die en un acte du XVIIe sie`cle. La tradition de la farce me´die´vale se refle´te bien dans la petite come´die classique. La petite come´die, ne´e vers le milieu du XVIIe sie`cle, emprunte son intrigue et son the`me primordiaux a` la farce me´die´vale qui eut grand succe`s entre 1450 et 1550. La farce et la petite come´die prece`dent du me^me me´canisme, a` savoir une intrigue fonde´e sur une machination ou une tromperie. Notons aussi d`autres traits identiques de ces deux genres : ne jouant pas seules en fonction de leur dimension toute re´duite ils servent de comple´ment dans un programme dramatique; un bon nombre de petites come´dies sont e´crites en octosyllabes, me`tre de la farce me´die´vale; le the`me traditionnel de la farce, conflit conjugal, est repris dans la petite come´die. La petite come´die, comme la farce, n`atteint pas l`esthe´tique de la grande come´die qui a pour but a` la fois de plaire et d`instruire. Elle ne peut pas traduire le caracte´re et l`e´motion sublime des he´ros. Elle se contente seulement de faire rire souvent au de´triment des normes classiques. E11e ne peut pas traduire le caracte´re et l`e´motion sublime des he´ros. Quoi qu`il en soit, la petite come´die purement farcesque, qui reprend le the`me traditionnel de la farce, sait embrasser elle-me^me, dans son intrigue-tromperie, d`autres the´mes nouveaux, comme celui de l`amour contrarie´ de deux jeunes gens. Ainsi la petite come´die essaie d`e´voluer et cherche son chemin. La nouveaute´ de ce genre est d`apporter d`autres sujets purement classiques et varie´s que la farce me´die´vale n`avait pas re´alise´s: tanto^t la petite come´die met en sce`ne comme son sujet l`intrigue d`amour contrarie´, ou` deux jeunes gens finiront par se marier; tanto^t elle est engage´e non seulement dans la peinture de la vie contemporaine en pre´sentant des sce`nes de moeurs, mais aussi dans la pole´mique litte´rire. Ainsi la petite come´die, he´ritie`re de la farce me´die´vale, ouvre des horizons nouveaux jusqu`a` s`inscrire dans la come´die de moeurs ou la come´die de pole´mique. La petite come´die se caracte´rise par la souplesse et la varie´te´ du ton, de sorte qu`elle ne tient pas a` un type dramatique fixe. Au demeurant, l`ensemble de la petite come´die constitue une synthe`se de la tradition et de l`actualite´.

      • KCI등재

        정보화 사회와 속도―폴 비릴리오의 속도조절정치

        정의진(Jung Eui-Ji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학논총 Vol.25 No.-

        본 연구는 오늘날 현대사회를 규정짓는 지배적인 현상가운데 하나인 인터넷 정보전달 시스템의 속도 및 전 지구적인 시스템화를, 프랑스의 사상가 폴 비릴리오의 논의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있다. 오늘날 인터넷 시스템의 정보전달 속도는 인간의 감각으로 체감할 수 없는 광속에 기초한다. 이러한 속도는 지리적인 거리를 무화시키면서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인터넷 정보전달시스템을 일종의 공간적 환경으로 구축하였다. 체감되지 않을 정도로 빠른 속도 때문에 시간적 차원이 아니라 공간적 차원으로 전화한 디지털 정보환경의 편리함과 효율성이, 현대사회를 더욱 더 광범위하고 촘촘하게 속도가 구조적으로 지배하는 사회로 변형시켜 나가고 있다. 비릴리오는 현재의 이러한 디지털 속도 시스템의 특징을 순간성, 즉각성, 편재성이라는 용어로 포착한다. 인터넷 시스템의 광범위한 정보공유 가능성과 시민들의 다양한 요구와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사이트들을 통해 인터넷을 새로운 민주주의의 장으로 전용하고자하는 시도들은 오늘날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비릴리오는 현재의 상황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판단하는 듯하다. 비릴리오는 1991년 CNN의 이라크 전쟁실시간 위성중계를 계기로 제기된 전쟁 뉴스의 스펙터클화, 2001년의 월드트레이드센터 비행기 테러 및 전 세계 실시간 영상전파, 2008년의 전 세계적 금융위기 및 2010년 5월 6일 뉴욕 증시 전산시스템 사고, 핵전쟁의 기계적 시스템화, 유전자 복제 연구가 새로운 인종주의로 변질될 가능성 등 지구 전체를 위협하는 잠재적이고 현실적인 사건과 상황들의 근저에 디지털 속도 시스템이 있다는 사실에 강력하게 주의를 환기시킨다. 아직 그 실체가 모호하기는 하지만, 이에 대한 비판적 대안으로 비릴리오는 새로운 속도조절정치와 속도의 정치경제학을 주창한다. 동시에 이를 위해서 비릴리오는 기술과학의 속도가 인간적 한계와 통제가능성을 벗어나는 것을 제어하는 속도의 윤리학이 시급하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비릴리오의 주장에 대해, 새로운 디지털 정보환경이 제공하는 다양한 가능성을 지나치게 비관적으로만 해석한다거나, 모든 복합적인 상황을 속도라는 단일요소로 환원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들은 비릴리오의 분석에 대한 전면적 비판이라기보다는 상보적인 비판이라고 판단된다. 그가 주장하는 오프라인의 녹색 환경론에 조응하는 온라인의 회색 환경론의 필요성 자체에는 비판자들도 공감한다.

      • KCI등재

        초현실주의 문학과 초현실주의 미술의 상호작용

        정의진(JUNG Eui-Jin) 프랑스학회 2013 프랑스학연구 Vol.65 No.-

        Les divers problèmes qui se posent dans l'interaction entre la littérature surréaliste et la peinture surréaliste évoluent avec le temps. Max Morise et Pierre Navile dans leurs articles publiés à la revue La Révolution surréaliste en 1925, soulève le problème de la possibilité de la peinture surréaliste. L'essentiel de leur raisonnement sur cette question est ce que la spécificité materielle et technique de la peinture est l'obstacle fondamental pour l'automatisme que la littérature surréaliste poursuit et pratique. Au sein de la disscussion et polémique concernant la possibilité de la peinture surréaliste, André Breton est obligé d'y répondre. En établissant le critère du modèle intérieur et modèle extérieur sur la distinction de l'art moderne et l'art académique conventionel, il détourne le problème de l'automatisme pictural. Il choisit plutôt de laisser développer les aspects multiples de la peinture surréaliste. Pour le faire, il soutient la représentation picturale du rêve et de la fantaisie même si elle se fait à la manière traditionnelle de peindre. Chirico, René Magueritte ou Salvador Dali représente ce courant. Or le choix de Breton ne provient pas seulement de la considération de l'évolution à long terme de la peinture surréaliste, mais aussi de la pensée de l'image surréaliste poétique. Les surréalistes littéraires qui voulaient obtenir l'image surréelle net, clair et forte, ne peuvent que s'intéresser aux œuvres de ceux-là. Pourtant Breton dans la Genèse et perspective artistiques du surréalisme en 1941, soutient que l'automatisme est aussi essentiel à la peinture surréaliste qu'à la littérature surréaliste, et il rend hommage à André Masson. Mais le principe de l'automatisme pictural que Breton a tardivement avancé, en réalité, n'était qu'une ligne de conduite vague et souffle. En reconnaissant la valeur des œuvres de René Magueritte par exemple, trés intellectuellement inventés, Breton et la peinture surréaliste ont continué à garder leurs facettes multi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