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해역 먹이망 생태계에 대한 무기부유입자와 카드뮴의 영향 II. Tigriopus japonicus에 대한 카드뮴의 급성 및 만성독성

        정의영,신윤경,이원호,CHUNG Ee-Yung,SHIN Yun Kyung,YIH Wonho 한국수산과학회 199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9 No.1

        초식성 요각류인 Tigriopus japonicus를 대상으로 사망률과 반수치사농도$(LC_{50})$ 및 호흡대사에 미치는 카드뮴의 급성 및 만성독성영향을 조사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염분 32, 26 및 $18\%_{\circ}$에서 T. japonicus에 대한 카드뮴의 96시간 반수치사농도$(96hr.-LC_{50})$는 $20^{\circ}C$에서 각각 15.1, 13.7 및 9.9 ppm이었고, $10^{\circ}C$에서는 각각 21.6, 15.0 및 11.0ppm으로 나타나 수온의 감소와 염분의 증가에 따라 반수치사농도는 증가되었다. 96시간동안 카드뮴에 노출시킨 후 산소소비율은 $10^{\circ}C$에 비해 $20^{\circ}C$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카드뮴농도의 증가에 따라 보다 크게 감소되었다. 염분 $32\%_{\circ}$ 및 Cd농도 4ppm에서 T. japonicus의 생존률과 25일동안의 반수치수농도$(25days-LC_{50})$는 $10^{\circ}C$의 경우 각각 $5\%$와 0.05ppm이었고, $20^{\circ}C$에서는 $0\%$와 0.28ppm을 나타내었다. A herbivorous copepod, Tigriopus japonicus, was tested to study its acute and chronic responses to Cd tonicity. Under $20^{\circ}C,\;96hr-LC_{50}$ of T. japonicus in medium with $32\%_{\circ},\;26\%_{\circ},\;and\;18\%_{\circ}$ salinity were 11.1 ppm, 13.7 ppm, and 9.7 ppm, respectively. The $96hr-LC_{50}$ in medium with $32\%_{\circ},\;26\%_{\circ},\;and\;18\%_{\circ}$ salinity increased to 21.6 ppm, 15.0 ppm, and 11,0 ppm, respectively under $10^{\circ}C$ condition. Oxygen consumption rates during 96hrs exposure to Cd toxicity decreased more sharply at $20^{\circ}C$ than those at $10^{\circ}C$. Survival rate and $250dys-LC_{50}$ of T. japonicus in medium with $32\%_{\circ}$ salinity, in concentration of Cd 4 ppm were $5\%$ and 0.05 ppm, respectively under $10^{\circ}C$, and $0\%$ and 0.20 ppm under $20^{\circ}C$. It was that the copepod selectively feed on Skeletonema costatum, Nitzschia pungens, N. seriata, and Rhizosolenia hebetata f. semispina.

      • KCI등재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성숙에 따른 간세포 활성과 간 및 근육의 단백질$\cdot$총 RNA 함량변화

        정의영,장영진,이근광,CHUNG Ee-Yung,CHANG Young Jin,LEE Keun-Kwang 한국수산과학회 199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8 No.3

        Studies on activities of hepatocytes and changes of protein and total RNA contents in liver and muscle tissues associated with the gonadal maturation were performed using the adult rockfish, Sebastes schlegeli collected monthly from the adjacent waters at Poryong, Chungnam, Korea. Hepatosomatic index (HSI) of female increased from September and reached the maximum value (2.58) in February (growing stage of ovary). HSI of male began to increase from October (early maturation stage) and revealed the maximum value (3.20) in April (recovery stage). During the period of yolk formation in oocyte, the amount of glycogen particles and lipids in the hepatocytes of female gradually decreased, but total RNA contents increased. In the hepatocytes of male, a number of lipid droplets remained until the mature stage of testis. With the gonadal development of both sexes, granular endoplasmic reticula (Er) became abundant in the hepatocyte. These Ers might be supposed to have the leading role for the syntheses of protein and vitellogenin in the cytoplasm of the hepatocytes. Protein and total RNA contents in the liver and muscle tissues of female began to increase from January (growing stage) and reached the maximum value in early April (maturation stage), and then decreased in late April (gestation stage). In male, their contents began to increase from October (early maturation stage), thereafter reached the maximum value in December (maturation and copulation stage), and decreased in January (degeneration stage). 난태생 어류인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성숙과 안정적인 출산을 위한 기초 정보를 얻고자, 간중량지수의 월별 변화와 간세포의 활성이 생식소의 발달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조사하고, 아울러 생식소 발달에 따른 간 및 근육조직내의 단백질과 총 RNA 함량변화도 조사하였다. 암컷의 HSI는 9월부터 높아지기 시작하여 2월에 최대 값(2.58)에 달한 뒤, 3월(성숙기) 부터 5월(출산기) 사이에는 낮아졌다 수컷에서는 10월(성숙기)부터 높아지기 시작하여 4월(회복기)에 최대 값(3.20)에 달했다. 암컷의 난황형성기에 간세포내 글리코겐과 지방적의 양이 점차 감소되나, 총 RNA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수컷에서는 다량의 지방적들이 소모되지 않고 성숙기에도 세포질내에 잔존하고 있었다. 생식소의 발달과 함께 간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 가 증가하였는데, 이 들은 단백질 합성과 난황 전구물질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암컷의 간과 근육조직의 단백질 및 총 RNA 함량은 1월(성장기)부터 점차 증가되기 시작하여 4월 초순(성숙기)에 최대 값을 나타낸 다음, 4월 하순(임신기)에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수컷에서는 초기 성숙기인 10월부터 점차 증가하여 성숙 및 교미기인 12월에 최대 값을 보인 다음, 퇴화기인 1월에 다시 감소하였다.

      • KCI등재

        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Linnaeus)의 성 성숙

        정의영,안철민,이택열,CHUNG Ee-Yung,AN Cheul-Min,LEE Taek-Yuil 한국수산과학회 199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4 No.3

        1988년 4월부터 10월까지, 1989년 6월부터 8월까지 전북 옥구군 회현면 월연리 앞바다에서 채집된 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를 대상으로 그들의 생식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생식소 외부 형태, 생식소숙도지수(GSI)와 생식소의 조직학적 방법에 의한 생식주기, 산난기 난소내 난경조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소는 경골어류의 전형적인 낭상형이고, 정소는 가느다란 관상형이다. 2. 생식소숙도지수(GSI)는 수컷과 암컷이 각각 6, 7월에 연중 최대값을 나타내며, 수컷이 한달 빨리 최대값에 도달한다. 이들 생식소는 수온상승과 함께 활성화 되어 최고 수온기전에 산난기를 마친다. 3. 산난기를 마친 개체의 난소내에는 잔존하는 난모세포중 여포형성을 하지 못한 초기난모세포들은 퇴화하지 않고 휴지기 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성장에 참여하고 있다. 4. 생식주기는 수온이 상승되는 4월부터 활성화되어 5월 성장기, 6월에서 7월초순 성숙기 그리고 6월말에서 8월초까지 완숙 및 산난기, 9월에서 이듬해 3월까지 퇴화 및 휴지기 상태를 나타낸다. 5. 짱둥어의 산란기동안 난소내 난경조성 및 생식소숙도지수를 조사한 결과 적어도 2회이상 산란하는 종으로 밝혀졌다. Sexual maturation of the bluespotted mud hopper,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Linnaeus) was investigated histologically on the gonadal development, and studied by gonadosomatic index(GSI), egg diameter composition. Samples were collected in the intertidal zone of Wolyon-ri, Hoihyon-myon, Okku-gun, Chollabuk-do, Korea, from April to October in 1988 and from June to August in 1989. The ovary is a pair of sac-shaped organ. The testis is a pair of tubule-shaped organ and it is connected to the seminal vesicle which is located at the posterior end of the testis. In male and female, GSI began to increase from late May when the water temperature began to increase and reached the maximum value in June and July, respectively. It began to decrease from August, the highest water temperature season. Thereafter, maintained relatively low values until October.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sucessive developmental stages: growing stage$(April{\~}May)$, mature stage$(June{\~}early\;July)$, ripe and spent stage(late lune-early August), degenerative and resting stage$(late\;August{\~}March:\;the wintering\;period)$. According to the frequency distributions of egg diameters in the spawning season,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was species to spawn twice or more in the spawning season.

      • KCI등재후보

        김제산 가무락조개 Cyclina sinensis의 난소 성숙과 인공산란 및 산란빈도

        정의영,허영백,곽오열,최기호,Chung, Ee-Yung,Hur, Young-Baek,Kwak, Oh-Yeol,Choi, Ki-Ho 한국패류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19 No.2

        2001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전라북도 김제시 심포 앞바다에서 각장 18.6-52.7 mm 의 가무락조개 (Cyclina sinensis) 를 대상으로 자원증식 및 적정 관리를 위해 조직학적 방법에 의해 생식소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와 군성숙도를 조사하였고 인공산란 유도에 의해 산란량과 산란빈도를 조사하였다. 생식소 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를 조직학적으로 조사한 결과 가무락조개의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2-4월), 후기활성기 (3-6월), 완숙기 (5-8월), 부분산란기 (7-9월), 퇴화 및 비활성기 (9-2월) 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7월부터 산란하기 시작하여 9월 중순까지 일어났고 산란성기는 7-8월이었다. 각장 25.1-30.0 mm인 암컷 개체들의 군성숙도는 64.3%이었고, 각장 40.1 mm이상인 개체들의 군성숙도는 100%이었다. 인공산란 유도에 의해 각 개체들로부터 방란된 난수는 개체들의 각장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되었다. 2차 산란유도에 의해 방란된 평균 난수는 1차 산란수의 평균 76.87%이었다. 가무락조개의 각 산란 간격은 대략 15-17일 (평균 16.5) 이었고, 한 산란기 중 2회 이상의 산란이 일어날 것으로 추정되었다. Reproductive cycle with the ovarian developmental phases, first sexual maturity of the female venus clam, Cyclina sinensis, was investigated by a histological study, and the number of spawned eggs and spawning frequency by artificial spawning induction of the clams were estimate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tidal zone of Simpo, Gimje city, Korea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01. The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February to April), late active (March to June), ripe (May to August), spent (July to September), and spent and inactive (September to February). The spawning period was once a year between July and August, a spawning peak was seen in July and August. Percentages of first sexual maturity of female clams of 25.1-30.0 mm in shell length were 64.3%, and 100% for the clams > 40.1 mm. The number of the eggs released from each clam by spawning induction increased as the size of clam in terms of shell length increased. The mean number of the eggs released from the second induction of spawning was 76.87% of the number of the eggs released in the first spawning. Our data indicated that the interval of each spawning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5-17 (average 16.5) days.

      • KCI등재

        한국 서해산 백합, Meretrix lusoria의 연령과 성장

        류동기,정의영,김용민,Ryu, Dong-Ki,Chung, Ee-Yung,Kim, Yong-Min 한국해양학회 2006 바다 Vol.11 No.4

        2004년 4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전라북도 김제시 심포면 갯벌에 서식하는 백합의 연령과 성장을 조사하였다. 백합의 패각에 나타나는 윤문은 년 1회 형성되며, 주된 윤문 형성시기는 2월$\sim$4월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륜의 형성기간은 약 6개월(0.5년)로 나타났으며, 각장(SL)과 각고(SH)간의 관계는 SH=0.8103 SL + 0.5145$(R^2=0.991)$이고, 각장과 각폭(SW)간의 관계는 SW=0.4897 SL + 0.0315 $(R^2=0.976)$이며, 각장과 전중량(TW)간의 관계는 $TW=2.9195\times10^{-4}\;SL^{2.9547}\;(R^2=0.991)$로 나타났다. 연령 (t)에 대한 각장(SL)의 Bertalanffy 성장식은 $SL_t=104.9(l-e^{-0.2235(t+0.7677)})$였으며, 전중량(TW)의 Bertalanffy 성장식은 $TW_t=280.8(l-e^{-0.2235(t+0.7677)})^{2.9547}$로 추정되었다. Samples of Meretrix lusoria were collected monthly from the tidal flat of Simpo, Puan-gun, Chollabuk-do, west coast of Korea from April 2004 to March 2005. Age of M. lusoria was determined from the rings on the shell.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and ring radius in each ring group was expressed as a regression line. Therefore, there is a correspondence in each ring formation. Based on the monthly variations in the marginal index (MI') of the shell, it is assumed that the ring of this species was formed once a year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to April.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SL) and shell height (SH; mm) was highly correlated with shell height as the following equation: SH = 0.8103 SL + 0.5145 $(r^2=0.991)$. The shell length (SL) - shell width (SW) relation was also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SW = 0.4897 SL + 0.0315 $(r^2=0.976)$. Shell length (SL; mm) and total weight (TW; g) wa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TW=2.9195\times10^{-4}\;SL^{2.9547}\;(R^2=0.991)$. Shell length (SL) and shell height (SH; mm) was highly correlated with shell height as the following equation: $SH=0.8103\;SL+0.5145\;(R^2=0.991)$ The shell length (SL) - shell width (SW) relation was also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SW=0.4897\;SL+0.0315\;(R^2=0.976)$. Growth curves for shell length and total weight fitted to the von Bertalanffy's growth curve were expressed respectively as: $SL_t=104.9[l-e^{-0.2235(t+0.7677)}],\;TW_t=280.8[l-e^{-0.2235(t+0.7677)}]^{2.9547}$.

      • KCI등재

        용존산소의 변화에 따른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생리적 반응

        신윤경,김윤,정의영,허성범,Shin Yun-Kyung,KIM Yoon,CHUNG Ee-Yung,HUR Sung-Bum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3

        바지락의 용존산소 농도에 따른 SFG (Scope for growth)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온 $23\pm0.5^{\circ}C$와 일반해수에서 반수치사농도, 여수율, 호흡률, 암모니아 질소배설률 및 동화효율 등을 측정하였다. 바지락의 용존산소 농도의 감소에 따른 $LC_{50}$은 2.4mgDO$L^{-1}$였다. 여수율과 호흡률은 실험용액의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암모니아 질소 배설률은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증가하였다. 동화효율은 6.5mgDO $L^{-1}$에서는 $68.2\%$였으며, 3.5 mgDO $L^{-1}$ 이하의 농도에서는$29.8\~39.3\%$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용존산소의 농도에 따른 SFG는 2.5mgDO $L^{-1}$ 이상에서는 양의 값을 나타내어 생존 및 성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DO) on Scope for growth (SFG)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we measured $LC_{50}$, filtration, respiration, ammonia excretion, and assimilation rates under $23\pm0.5^{\circ}C$ as a function of DO. The $LC_{50}$ of DO for R. philippinarum, was 2.4 mgDO $L^{-1}$. With decreasing DO, filtration and respiration rates of R. philippinarum decreased, while ammonia excretion rate increased, The assimilation rate was $68.2\%$ at 6.5 mgDO $L^{-1}$, decreased to $29.8\~39.3\%$ at 3.5 mgDO $L^{-1}$. R. philippinarum had positive SFG's at the $DO{\geq}2.5mgDO\;L^{-1}$.

      • KCI등재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온도 및 염분 내성

        신윤경,김윤,정의영,허성범,SHIN Yun-Kyong,KIM Yoon,CHUNG Ee-Yung,HUR Sung-Bum 한국수산과학회 200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3 No.3

        Tolerance on temperature and salinity of Ruditapes philippinarum was investigated in five different salinity, $32.0,\;25.6,\;19.20,\;12.80,\;6.40,\;3.20{\%_{\circ}}$ with increasing continuously $1^{\circ}C/day 2^{\circ}C/day\;and\;3^{\circ}C/day$ water temperature. R. philippinarum was acclimated to $18^{\circ}C\;and 25^{\circ}C$ before the experiment. Oxygen consumption rates and filtration rates of R. philippinarum were estimated during the experiment. $LT_{50}$ of two stocks acclimated to $18^{\circ}C\;and\;25^{\circ}C$ were similar. However, the maximum tolerance temperature of a stock acclimated $18^{\circ}C\;was\;36^{\circ}C$ while a stock acclimated $25^{\circ}C\;was\;37^{\circ}C$. This suggested that the higher water temperature a stock acclimated, the higher tolerance a stock showed, The surival rates of R. philippina겨m with the changes in salinities decreased below $19,2\;{\%_{\circ}}\;at\;18^{\circ}C\;and\;25^{\circ}C$. Oxygen consumption rat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cclimated at $18^{\circ}C$ reduced with decreasing of salinity concentrations, while those of the experimental group acclimated at $25^{\circ}C$ showed irregular trend. Filtration rates revealed the maximum at 24{\~}28^{\circ}C$ in the experimental group acclimated ai $18^{\circ}C\;and\;31{\~}33^{\circ}C\;in\;those\;at\;25{\circ}C$. Filtraton rates shanty decreased at the lower salinity concentrations. 전북 곰소만에 서식하는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을 대상으로 $18{\circ}C$와 $25{\circ}C$에 순응시킨 후 수온상승 ($1{\circ}C/day, 2{\circ}C/day$ 및 $3{\circ}C/day$) 및 염분 ($32.0, 25.6, 19.2, 12.8, 6.40$ 및 $3.20{\%_{\circ}}$) 변화에 따른 생존율, 여수율 및 산소소비율 둥을 조사하였다. $18{\circ}C$와 $25^{\circ}C$에 순응시킨 바지락의 반수치사온도 (LT-(50))는 두 순응온도구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최대 임계온도는 $18^{\circ}C$에 순응시킨 실험구는 $36^{\circ}C$, 그리고 $25^{\circ}C$에 순응시킨 실험구는 $37^{\circ}C$로 고수온에 순응시킨 실험구에서 높았다. 염분변화에 따른 바지락의 생존율은 $19.2{\%_{\circ}}$이하에서 감소하였다. 산소소비율은 $18^{\circ}C$에 순응시킨 바지락의 경우, 염분감소에 따라 감소한 반면 $25^{\circ}C$에 순응시킨 실험구에서는 산소소비율이 불규칙하였다. 한편, 수온증가에 따른 여수율은 $18{\circ}C$에 순응시킨 실험구의 경우 $24^{\circ}C{\~}28^{\circ}C에서$, $25{\circ}C$에 순응시킨 실험구의 경우는 $31{\~}33^{\circ}C$에서 최대를 보인 후 감소하였으며, 염분변화에 따른 여수율은 염분감소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