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우진 극작술의 맥락에서 본「정오」

        정우숙(Chung Woo-suk) 한국근대문학회 201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2 No.2

        단순한 스케치풍 소품인 「정오」는 김우진 희곡 중 최초의 습작으로 여겨져 왔다. 최근 표기 방법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이 희곡이 그의 첫 번째 작품은 아니라는 추정이 힘을 얻는 동시에, 이 작품 나름의 의의를 재고하는 논의들이 나오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김우진의 전반적인 희곡 세계를 고찰하는 데 있어 「정오」는 가장 중요하지 않은 작품으로 간주된다. 지금까지 「정오」는, 형식적으로 미숙함에도 불구하고 당대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의 단초를 보인다는 점에서는 다른 희곡들과 연관된다고 인정되어 왔다. 본고는 「정오」가 김우진의 다른 네 편의 희곡- 「이영녀」 「두데기 시인의 환멸」 「난파」 「산돼지」-들과 공유하는 극작술상의 특성들에 주목하였다. 현재형 사건 및 결말의 약화, 잠의 모티브 및 노래의 개입, 상징적 비유로서의 표제어 등 「정오」를 형상화하는 데 동원된 극작술이 김우진의 다른 희곡들에도 고르게 나타남을 살펴본 것이다. 전반적인 극작술의 맥락에서 「정오」를 재탐색함으로써, 이 작품이 단지 사회비판적 소재 선택의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잠재적 저항을 지향하는 문제적 청년의 상징성을 제시하는 등 더 심화된 차원에서 김우진 희곡의 특성을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Noon」, a simple sketchy shortpiece, came to think as the first practice piece in Kim woojin's plays. Through the empirical-positive research led recently about Kim's notation method, the presumption that'this play is not his first work' has been encouraged. Simultaneously, the discussions which reconsider the questionable matter of this work in its own way start coming out. But if you ever consider Kim woojin's overall drama world, 「noon」 is regarded as the least important work. Until now 「Noon」, though it's immature on form, is acknowledged as seem to correlate to Kim's other plays from the point that it has the clue of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the 1920's Korean society. This article paid attention to the dramaturgy natures which own jointly with Kim's other four works - 「Lee YoungNeo」 「The Disillusion of Dudegi Poet」 「Wrecked」 「Wild Pig」. We notice the weakening of event and end, intervention of sleep and dream and song, headword as figurative symbol etc, which is the dramaturgy mobilized to give shape 「Noon」 as well as his other works. Researching 「Noon」 in the context of general dramaturgy, we are able to confirm that it shows the deepened nature of Kim's drama which not only select social critical subject matter, but also presents the symbolic characteristic of the problematic youth who aims a latent resistance.

      • KCI등재

        1970년대 한국희곡의 기독교적 상상력에 대한 일고찰 : 최인훈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와 이강백 「개뿔」을 중심으로

        정우숙 ( Chung Woo-su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0 No.31

        이 글에서는, 최인훈 희곡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와 이강백 희곡 「개뿔」을 대상으로, 1970년대 한국희곡이 당대 사회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표현하기 위해 기독교적 상상력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고찰해본다. 두 작품은 예수의 생애를 소재로 끌어오면서도, 그것을 정면에 내세워 강조하지 않는다. 그 소재를 아기장수 설화 속에 용해시키거나, 가면무언극이라는 극 양식 속에 추상화시키고 있다. 공연의 특성에 있어서도 두 작품 모두 감각적 요소를 극대화시켜, 기독교와의 관계가 두드러지지 않는 현대 실험극으로서의 제의극적 양상을 보인다. 두 희곡 모두 결말에서는 부활 모티프를 활용하여, 기독교적 상상력으로 당대 현실의 한계를 초월하려 시도한다. 하지만, 낙관적인 전망을 담은 것처럼 보이는 두 희곡의 결말부에서, 메시아의 부활로도 기약하기 힘든 암울한 미래와 그에 대한 절망을 동시에 읽어낼 수 있다. 이들 희곡은 기독교적 상상력을 통해 직설적인 사회 비판극의 한계를 벗어나고 있지만, 단순한 종교극으로 귀결되지도 않는다. 기독교 연극의 입장에서 보면 이들은 그 종교성을 감춘 사례에 가깝다. 이들 희곡은, 군중과 영웅에 대한 사회적 문제의식이 어떻게 현실성과 초월성의 긴장감 사이에서 창작될 수 있는지에 대한 사례로서 주목된다. In this paper, through Choi In-Hoon's play ‘Once Upon a Time whoay whoy’ and Lee Kang-Baek's play ‘GaePuel’, we see how Korean theaters in the 1970s make full use of Christian imagination in order to express a sense of problem for the contemporary social reality. Though two works based on the life of Jesus, they do not emphasize it on the front. They dissolved it in the baby-general tale or abstracted in mask mime. As for the nature of performances, they show ritual aspect as a modern experimental theater which maximizes the sensory elements and does not stand out Christian relationship. They both attempt to transcend the limits of contemporary reality with the christian imagination by taking advantage of the resurrection motif. But in the ending part that seems containing optimistic view, we are able to see grim future which hard to promise through the resurrection of the Messiah and despair due to it at the same time. These plays get out of the limits of blunt social critical play through the Christian imagination, but also do not result in a simple religious drama. From the standpoint of the Christian drama they are akin to case that hides religious aspect. These plays are noted as examples how social critical mind about crowd and hero can be creative between realistic and transcendental tension.

      • KCI등재

        종교적 맥락에서의 이강백 희곡 <파수꾼> 재고

        정우숙 ( Woo Suk Chu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1

        이강백의 희곡 <파수꾼>은, 1970년대 한국의 정치 상황과 반공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알레고리 중심으로 이해되어왔다. 최근에는, 그러한 기존의 이해 방식을 인정하면서도 그 외의 다양한 해석을 시도하는 새로운 논의들이 나오고 있다. 본고는, 이 희곡에서 기독교적 상상력을 발견하여 또 다른 입체적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작가와 기독교의 관계, 극의 분위기 등에서 논의의 실마리를 찾은 후, 하늘, 황야, 이리 등 희곡 속의 요소가 성경의 상징과 연관됨을 지적하였다. 등장인물과 제목으로 강조되어 있는 ‘파수꾼’이야말로 기독교적 상상력을 대표하는 요소이다. 특히, 소년 파수꾼이 ‘이리가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새벽의 경험에 주목하였다. 그 사건은 정치적 맥락에서뿐만 아니라 정신적ㆍ종교적 맥락에서 재해석될 수 있는 심층적 의미를 지닌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이 희곡이 1970년대 한국의 정치 상황에 갇혀 있지 않고, 지속적으로 국내외 현실과 인간 조건에 대해 비판과 성찰의 계기를 제공하는 텍스트로 살아 있음을 확인하였다. Leekangbaek`s play <Watchman> has been understood mainly as an allegory to criticize the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and anti-communist ideology in the 1970s. In recent years, while recognizing that existing understanding, new discussions are coming out to try various interpretations outside of that. This paper, by finding Christian imagination from this play,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another multidimensional analysis. After finding clues of the discussio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er and Christianity and the atmosphere of the play,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elements of this play such as sky, wilderness, wolf are associated with symbols in the Bible. The title character ‘watchman’ is an element that represents Christian imagination. Specifical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experience of the dawn. Watchman boy recognizes the fact that wolves do not come. That case has meaning in-depth which can be reinterpreted in the spiritual and religious one as well as the political context. Through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this play is not constrained by the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in the 1970s, and consistently alive as text which provides opportunity for criticism and reflection of domestic and foreign reality and the human condition.

      • KCI등재

        영화적 관습의 약화 양상으로 본 [시]

        정우숙 ( Woo Suk Chu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6

        이창동 감독의 영화 [시]는 일반 관객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지는 못했으나, 각종 영화제 수상으로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시나리오의 완성도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은 데서 알 수 있듯이, 이 영화는 고전적인 극작술에 충실한 작품이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일반적인 극영화의 관습으로부터 벗어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에 대해 함께 살펴야만 이 작품의 전모에 대한 이해가 가능해진다. 이는 극본상의 문제인 동시에, 실질적인 영화 표현상의 문제이기도 하다. 우선 허구의 외곽에 직접적으로 개입된 현실성이 주목된다. 시 이론의 전달을 위한 다큐멘터리적 기법 및 설명적인 분산 구조와 아울러, 연기자 캐스팅에 있어서 스타 시스템을 배제하고 극도의 리얼리티를 지향한 점이 그에 해당한다. 다음으로는 허구의 구축 과정에 개입된 경계 해체적 성향이 주목된다. 주인공 이외의 다양한 인물들에 있어서는 선과 악의 경계가 해체된 일상성이 두드러진다. 영화의 중심인 여주인공은 인식과 혼돈의 경계가 해체된 독자성과 모호성이 두드러진다. 이상의 특징들은 대중 관객을 허구에 몰입시키며 감정과 환상의 만족감을 극대화시키는 것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서, 작품의 내용을 사회적 현실과 관련시키며 불편한 진실을 인식하게 만든다. 여주인공 양미자와 희생자 소녀가 연결되는 마지막 시 낭송 시퀀스를 낭만적 정조의 차원 뿐 아니라 윤리적 실천의 차원에서 받아들이게 되는 것은, 영화 전체를 통해 유지되는 반(anti) 극영화적 양상들의 효력 때문인 것이다. The movie of Director Lee Chang-dong, [poetry] did not obtain a big response from the general spectator. But, it was recognized for its cinematic quality with various film festival winning. Especially, as appears by high appraisal about completion degree of scenario, this movie is the work which is faithful to the classical dramaturgy. But, simultaneously, it shows signs which escapes from the general customs of the dramatic fiction film and checking this together, we can understand about the whole aspect of this work. This is not only about the script, but also about the way of expression as a movie. First of all, the reality which directly intervenes to the outer zone of fiction is paid attention. It amounts to the documentary technique and the explicative breakup structure for the delivery of poetry theory. It also corresponds to the casting which excludes star system and aims for the extreme reality. Next, The boundary dissolving propensity which intervenes to the construction process of fiction is noteworthy. There are various people other than the hero who show daily life where the boundary between good and evil is dissolved. The heroine who is a center of this movie shows the individuality and the ambiguity where the boundary between recognition and chaos is dissolved. Features of above connect the contents of the work with a social actuality and come to recognition of the uncomfortable truth. It is entirely different as a method which makes the popular spectator immersed to a fiction and maximizes the sense of satisfaction of sentiment and fantasy. Due to the effect of the anti-dramatic fiction film aspect which is maintained throughout the movie whole, we can accept the last recitation where the heroine ``Yang mija`` and the victim young girl are connected from not only dimension of romantic sentiment but dimension of ethical practice.

      • KCI등재

        최인훈 소설과의 관계를 통해 본 희곡 「한스와 그레텔」

        정우숙(Chung, Woosuk)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3

        본고는 최인훈 희곡 「한스와 그레텔」을 그의 소설과의 관계 중심으로 살핀다. 그의 다른 희곡들과 공유하는 바가 없어 예외적 희곡으로 간주돼온 이 작품은, 오히려 최인훈의 소설들과 공통점을 지니는 부분이 있다. 2장에서는, 『광장』을 비롯한 최인훈 소설의 전반적 특징과 이 희곡이 공유하는 면을 살폈다. 그것은 곤경에 처한 지식인이 사변적 언설을 펼치며 현실과는 다른 차원의 사랑을 추구하는 것이다. 3장에서는 특히 소설 『태풍』을 중심 대상으로 하고 『총독의 소리』를 보조적으로 참고하여, 이 희곡의 제국주의적 균열 양상을 살폈다. 경계에 놓인 제국주의자는 자신의 정치적 과오에 대해 반성하기도 하지만, 개인의 자유와 새로운 출발을 위해 변명의 여지를 남긴다. 본 연구는, 최인훈 희곡 연구에서 가장 빈약한 관심 대상인 「한스와 그레텔」에 대한 논의의 장을 넓히고, 나아가 희곡과 소설을 아우르는 최인훈 문학 전반의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mainly the relationship between Choi Inhoon "s play 「Hans and Gretel」 and his novels. This work which has nothing to be shared by his other plays,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exceptional play. But it has a common part with his novels. In Chapter 2, we look into the common aspect shared by this play and the overall features of Choi"s novels including 「Square」. It is for intellectual, being in trouble, to unfold speculative opinions and search for love which is entirely different from reality. Chapter 3, focusing particularly on novel 「Typhoon」, checks imperialistic cracking aspects of this play. An imperialist, who is on the boundaries, not only reflects on his political mistakes, but also leaves room for excuse for individual freedom and a new start. This study attempts to broaden the place for debate on 「Hans and Gretel」 which has been the object of poorest academic interest among studies on Choi"s plays. And, by extension, this will contribute to the discussions on Choi"s literature in general which embrace his plays and novels.

      • KCI등재

        오태석 희곡 「환절기」와 올비 희곡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의 비교 연구

        정우숙 ( Woo Suk Chung )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4 No.-

        오태석 초기 희곡의 대표작 「환절기」는 서구 부조리극의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특히 에드워드 올비의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를 연상시킨다. 두 작품을 비교하며 함께 고찰함으로써, 「환절기」의 특성을 재확인할 수 있다. 두 작품은 부부 갈등 구도에 내용상의 애매성과 공연상의 제의성을 담아 표현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면서도 강조점의 부분이 달라 차이를 보이는데, 그에 대해 등장인물 중심으로 대비해 살펴볼 수 있다. 주인공 부부의 경우, 사회적 맥락과 공격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누가」의 조지와 마사는 미국 사회의 문제를 환기시키며 공격적인 게임처럼 싸운다면, 「환절기」의 대빈과 나영은 개인적 맥락에서 내면적 상처를 둘러싼 갈등을 보인다. 조연 남녀 손님 커플의 경우, 주인공과의 관계 및 독자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누가」의 닉과 허니는 주인공 부부의 대학 사회에 연결된 인물로, 주인공들의 갈등을 전면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 못지않게 본인들만의 구체적이고 독자적인 상황을 드러낸다. 이에 비해 「환절기」의 정기와 은주는 주인공 부부 갈등의 핵심인 옛 친구 형주·정애 커플의 기억을 불러오는 보조적 역할이 강하다. 결국 「누가」의 결정적 캐릭터는 마사의 망상 속에서만 존재해왔을 뿐 실제로는 부재하는 아들이라면, 「환절기」에서는 과거의 사고 이후 심신을 훼손당한 옛 친구 형주가 그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오랜만에 나타난 형주는 인간이 아닌 사물처럼 무대 위에 자리한다. 두 작품 모두 제의적인 시간을 통과하며 자신들의 심리적 상처를 드러내고 치유하려는 과정을 보여주지만, 「누가」는 현실과 망상 사이에서, 「환절기」는 망각과 기억 사이에서 그 과정이 펼쳐진다.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과거와의 대면이 중요해지는 「환절기」의 문제의식은, 이후 작품 경향이 변화하면서도 오태석의 연극 세계에 일관되게 흐르는 주제이다. A masterpiece of the early plays written by Oh Taesuk, 「The Change of Seasons」, under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theater of the absurd, is especially reminiscent of 「Who`s Afraid of Virginia Woolf?」written by Edward Albee. By comparing and studying the two works, you can double-check the traits of 「The Change of Seasons」. The two works have common grounds that express the ambiguity of content and the ritual of performance on marital conflict structure. Yet a difference is shown on the part of emphasis which can be looked by comparing the characters. As for main couple, George and Martha in 「Who`s…」fight like an aggressive game calling attention to problems of American society. But Daebin and Nayoung in 「The Change…」 show conflicts surrounding the inner injury in the personal context. In the case of supporting couples, Nick and Honey in 「Who`s…」 as a couple connected to the university community affiliated to main couple, reveal their own concrete and unique situation as well as the role making the conflict of main couple full-scale. In contrast, Jungki and Eunju in 「The Change…」have a strong complementary role invoking memories of old friend couple Hyungju and Jungae at the heart of the main couple`s conflict. After all, the decisive character in 「Who`s…」existed only in Martha`s delusions, but is the absence son in reality. An old friend Hyungju in 「The Change…」 is a similar feature who has been damaged both mind and soul since the accident in the past. Hyungju, appeared after a long time, located on stage like a non-human objects. Both works show the process passing ritual time to expose and heal their psychological wounds. But the process unfolds between reality and delusion in 「Who`s…」as well as between forgetting and memory in 「The Change…」. The critical mind in 「The Change…」, the confrontation with the past becomes important to overcome Reality, is the subject flowing consistently in the theater world of Oh Taesuk even if his theatrical trend has been changed since 1970`s.

      • KCI등재

        이강백 희곡 <들판에서>재고 -<파수꾼> 및 <호모 세파라투스>와의 비교를 통해-

        정우숙 ( Woo Suk Chu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4

        이강백의 희곡 <들판에서>는 작가의 작품 가운데 가장 주목을 덜 받았던 편이다. 그것은 아마도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기 위해 의뢰받아 집필되었다는 작품의 특수성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이 희곡에 대해서도 작가론적 맥락에서 그 위상을 재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그 작업을 위해, 이강백의 다른 희곡들 중 <들판에서>와 가장 눈에 띄는 공통점을 지닌 두 희곡을 선택하여 그 특성들을 비교해보았다. 그 두 작품은, <들판에서>의 무대 설정과 유사한 텅 빈 들판에 정치 현실의 알레고리를 담아낸 <파수꾼>, 그리고 <들판에서>의 인물 갈등과 유사한 구도 안에 역시 남북 분단 문제를 비유적으로 담아낸 <호모 세파라투스>이다. 그러나 <파수꾼>의 알레고리가 한국의 1970년대 정치 현실에 대한 문제에서부터 보편적 차원에서의 통제 담론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층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데 비해, <들판에서>의 정치적 알레고리는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호모 세파라투스>가 관념적 전개 방식 안에서도 가족 및 주변인물과의 갈등에 있어 세부적 구체성을 살린 데 비해, <들판에서>의 갈등은 형제와 외부인 중심의 뼈대를 세우는 데 치중하고 있다. 이는 <들판에서>가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한 교육연극으로서의 목표를 살리기 위해 갖게 된 특징으로, 특히 앞의 두 작품에 담긴 암울하고 비관적인 결말에 비해 낙관적 전망을 보이는 점도 눈길을 끈다. 결국 <들판에서>는 이강백 개인의 고유한 극작 스타일과, 교육연극적 목표에 부합하는 이 작품만의 개별성이 중첩되는 작품이다. 그렇기에 지금까지 국어교육 방면의 연구에서만 주로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던 것과는 달리, 이강백 희곡론 안에서도 이 작품의 의의를 일정 부분 인정할 필요가 있다. Lee Kang Baek`s Play <In the field> is, when discussing his works` world, taken less importantly. Because it was written particularly in order to be published in the national textbook for junior high school. But there is a necessity which even about this play tries to reappraise the phase from the authoristic point of view. For this work, after selecting two plays which keep the most prominent point of sameness among Lee`s different plays, comparison tried. The two works are <Watchman> and <Homo Separatus>. <Watchman> puts in the allegory of political actuality in the empty field with stage set being similar as <In the Field>. <Homo Separatus> also puts in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figuratively with similar structure as character discord in <In the Field>. But the allegory of <Watchman> is analysed multilayerly from problems about 1970`s political actuality of Korea to problems about discourse of control on universal dimension. However, the political allegory of <In the field> is simply set. Also <Homo Separatus> saves a detailed concreteness in conflicts of the family and the circumferential person with conceptional development method. But the discord of <In the Field> is attaching importance in building the bone structure of the sibling and the outsider. This feature is to save the aim from one educational theater for the younger generation. Especially, while two plays have the pessimistic ends, <In the Field> has put out an optimistic prospect. Finally <In the Field> is a work where the author`s playwriting style and the characteristic individuality for educational theatre are piled on another. Only researches of educational direction have been carried out until now. However, there is a necessity inside drama`s theory about Lee kang baek which will recognize the questionable matter of this play.

      • KCI등재

        『돐날』, 『반성』을 통해 본 일상극의 제의성

        정우숙 ( Woo Suk Chu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9

        최근 한국연극계에서 주요 작품 경향으로 주목받는 일상극은, 사실주의 극이나 서사극과 같은 기존 연극 양식의 특징들을 부분적으로 공유한다. 그러면서도 정치·역사·사회적 주제를 거대담론 차원에서 다루지 않고, 평범하고 사소한 생활의 모습들을 미시적으로 무대에 직접 끌어온다는 점에서 차이를 지닌다. 이러한 일상극이 의외로 제의성을 발휘하는 경우가 있다. 흔히 제의극은 신화·설화적 소재를 변용하고 전통연희 방식을 계승하는 등, 비일 상성을 극대화시키는 방식으로 만들어져 왔다. 하지만 일상극이 사실주의 극보다도 더 극대화한 현실감 위에서 동시대 관객의 문제의식을 감각적으로 자극할 때, 비일상적 제의 극과는 다른 차원의 원초적 잔혹성을 드러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사례로 김명화의 『돐날』과 김태웅의 『반성』, 두 편의 희곡을 살핀다. 두 작품은 인물 설정에 있어서 ``이질적 개인들의 동질적 집단``, 전개와 구성에 있어서 ``기념일의 비극적 사건``, 공연과 연출에 있어서 ``감각적 요소의 스밈과 폭발`` 등의 특징을 보인다. 이런 특징들을 통해, 두 희곡은 일상극의 범주에 속하면서도 무대와 객석을 제의의 차원으로 고양시키는 힘을 발휘한다. In recent korean theatrical world, ``everyday drama`` is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important trends, Everyday drama shares part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theater forms such as the realism drama or epic drama, Yet it is different in that it does not address politics, history, and social topics in terms of grand narrative, and drags an ordinary and trivial way of life directly to the stage microscopically. This everyday drama sometimes exerted ritualization surprisingly. Commonly ritual drama is made in a way that maximizes non-ordinary. It transforms a myth, fable material and takes over traditional performance. But everyday drama can reveal a basic cruelty of the different dimension from non-ordinary ritual drama when it stimulates a critical mind of contemporary audience sensibly with the sense of reality which maximized more than realism drama. In this paper, we examine Kim Myung-hwa`s 『First Birthday』 and Kim Tae-woong`s 『Reflection』 as corresponding case. Two works show features such as ``the homogeneous group of heterogeneous individuals`` in the character set and `the tragic events of the anniversary`` in the plot and `the infiltration and explosion of sensory element`` in performing and directing. Through these features, the two plays can enhance stage and audience to the dimensions of the ritual while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the everyday drama.

      • KCI등재
      • KCI등재

        미술관 소재 작품을 통해 본 인지와 성찰의 극작술 - 연극 도쿄 노트와 영화 뮤지엄 아워스를 중심으로

        정우숙 ( Woo Suk Ch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9 No.3

        본고에서는 히라타 오리자의 연극 <도쿄 노트>(1994)와 젬 코헨의 영화 <뮤지엄 아워스>(2012)를 대상으로, 미술관을 주요 공간으로 선택한 이 두 작품의 극작술이 어떻게 ‘본다’는 행위의 의미를 관객과 함께 인식하는 데까지 나아가는지 고찰하였다. 우선, 미술관 내부의 감춤과 드러냄 및 극 공간의 응축과 확산을 통한 장면 활용의 측면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쿄 노트>는 미술관 로비에 공간을 한정시키고, 다양한 인물들의 중첩된 대화를 조용한 구어체로 살려낸다. <뮤지엄 아워스>는 전시실 내부에서부터 도시 빈의 풍경, 여주인공의 사촌이 입원중인 병실까지 공간을 수시로 이동하며, 에세이 필름으로서의 특징을 보인다. 그 위에서 베르메르와 브뤼겔 등 화가의 그림들이 직설적· 비유적으로 인용되는데, 이는 두 작품 자체의 특성 및 양식미에 대해 언급하는 자기반영적 수단이기도 하다. 미술관의 관람객을 통해 ‘보는’ 행위의 의미를 담아내는 이들 작품은, 연극이나 영화에 대한 관극 행위의 의미도 함께 질문한다. 그것은 일상과 비일상의 접점에 관한 인식의 기회에 직면하는 일로서, 그 점을 환기하는 두 작품은 결국 메타극적 차원으로 나아간다. 두 작품의 관객들은, 작품 속 미술관에 순응하는 관람객들을 바라보며 극장 안에 조용히 앉아 있을지라도, 단순히 미술관이나 극장이라는 제도 안에 흡수된 피동적 존재들로만 머물지 않고 성찰의 주체들이 된다. This paper is a study of Hirata Oriza`s theater <Tokyo Note>(1994) and Jem Cohen`s movie <Museum Hours>(2012), which selected museum as the main material. Especially, it studied how non-customary dramaturgy of these two works comes to recognize the meaning of the act of ‘seeing’ with the audience. First, looked at in terms of utilizing scenes through hiding and revealing inside the museum and the condensation and diffusion of dramatic space. <Tokyo Note> limits space to the Museum lobby and presents overlapped conversations of various characters’ groups by quiet colloquial style. <Museum Hours> shows the features as an essay film moving spaces frequently from inside museum via every inch of Vienna to the hospital room of the heroine`s cousin.Based on these spatial characteristics, pictures of painters such as Vermeer and Bruegel are cited flatly and metaphorically. It is also the means of self-reflective commenting on the nature of both works themselves. In other words, Vermeer`s painting world not only overlaps situation of figures in <Tokyo note> but also responds the mode of this play which paints state of waiting and lingering. In <Museum Hours>, paintings of museum go beyond being connected to the life and death of its characters. This film itself which handles unfortunate event unnoticeable and emphasizes the ordinary moments, becomes another form of expression like Bruegel painting.These works capture the meaning of the act of ‘seeing’ through the museum visitors and also ask a question about the meaning of ``watching`` the theater or movie. It relates to face the opportunity of awareness about daily and non-daily contacts. Evoking that point, both works will eventually proceed to the meta-dramatic dimension. Thus, the audience of the two works, even if they gaze at the spectators in compliance with the museum in works and sit quietly in the theater, won`t stay as passive presence absorbed in the system, known as galleries or theaters, but becomes the subject of the refl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