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념의 타자로서 상상된 김남천 소설 속 여성과 그 너머의 실재로서의 여성

        정수(Jeong-soo Son)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4

        이 논문은 이념의 타자로서 설정된 김남천의 소설 속 여성 인물을 전제로 하여 그 한계를 넘어 실재로서의 여성의 방향으로 더 뻗어 있는 두 가지 사례로 나혜석과 허정숙의 삶과 글을 살펴본 것이다. 그 과정에서 남성 작가에 의해 형상화된 여성 인물의 한계를 드러내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남성적 상상의 범위를 벗어나 존재하는 여성적 삶과 글의 구체적 상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비교를 통해 「바다로 간다」와 「경영」, 「맥」 연작에서 김남천 소설 속 여성 인물(최영자-최무경)이 외적 현실과의 대립을 간접화하면서 내적 윤리를 가다듬는 데 충실한 수동적인 태도를 보였다면, 나혜석과 허정숙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그와 같은 수동성의 한계를 넘어 보다 능동적인 태도로 여성적 삶의 내러티브를 써나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혜석은 현실과 정면으로 부딪치며 자신의 욕망에 충실한 글쓰기를 수행했으며, 허정숙은 남성 파트너를 교대해가며 현실의 법을 벗어나는 이념적 행동을 지속하였다. 두 여성이 그려나간 이와 같은 삶의 상태는 그 서로 다른 방향에도 불구하고 남성 작가의 소설 속에서 상상된 여성의 상태를 초과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하나의 맥락을 공유하고 있다고 하겠다. 한편 이 논문은 시야를 그녀들의 삶 전체로 확장하여 이 문제에 대응하는 방식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나혜석은 이혼 이후 화가와 여성 지도자로서의 명성을 잃고 사회적으로 고립된 상황에서 불우하게 삶을 마감했으나 자신의 욕망에 충실하면서 현실에 맞서는 여성적 내러티브의 넓은 외연을 펼쳐 보였다면, 주도적으로 남성과의 관계와 이념적 방향을 추구했던 허정숙의 경우 해방 이후 북한 정권의 요직을 맡으며 비교적 평탄한 삶을 살았으나 결과적으로는 이전의 이념과는 모순되는 상태에 이르렀다고 보았다. 죽음이라는 목적지가 전제된 삶의 내러티브라는 측면에서 바라보면 나혜석과 허정숙이 도달한 삶의 결말은 그 본질에서 표면의 양상과는 아이러니를 이루고 있다고 판단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lives and writings of Na Hye-seok and Heo Jeong-suk as two cases that go beyond the limitations of female characters in Kim Nam-cheon’s novels who are set up as ideological others and extend further toward women as the Real. In the process, on the one hand, it will reveal the limitations of female characters portrayed by male writers, while on the other hand, it will attempt to examine the specific state of female life and writing that exists outside the scope of male imagination. Through that comparison, the female characters (Choi Young-ja and Choi Moo-kyung) in Kim Nam-cheon’s novels show a passive attitude that is faithful to refining internal ethics while indirecting the conflict with external reality. If so, it could be confirmed that Na Hye-seok and Heo Jeong-suk went beyond the limits of such passivity in different ways and wrote narratives of feminine life with a more active attitude. Na Hye-seok confronted her reality head-on and wrote faithfully to her own desires, while Heo Jeong-sook alternated between her male partners and continued her ideological actions that deviated from the laws of her reality. Despite their different directions, the state of life depicted by the two women shares a common context in that it exceeds the state of women imagined in novels by male authors. Meanwhile, this paper expanded its perspective to their entire lives and looked at trends in how they responded to this problem. After her divorce, Na Hye-seok lost her reputation as a painter and female leader and ended her life in a socially isolated situation but she unfolded the broad outlines of a feminine narrative that confronts reality while remaining faithful to her desires. In the case of Heo Jeong-suk who took the lead in relationships with men and pursued an ideological direction, she lived a relatively smooth life while holding key positions in the North Korean regime after liberation, but ultimately ended up in a state that contradicted her previous ideology.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a life narrative premised on the destination of death, the ending of life reached by Na Hye-seok and Heo Jeong-sook was judged to be ironic in its essence from the surface aspec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만 5세 때의 가정문해환경과 독서경험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읽기동기와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수정(Jeong, Soo-Jeong),최나야(Choi, Na-Y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1 No.2

        이 연구는 취학 전년도 가정문해환경과 독서경험, 초등학교 1학년 때의 읽기능력과 읽기동기가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와 인과적 구조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S시의 초등학교 3곳의 1학년 10개 학급 아동과 그 어머니 총 267쌍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첫째, 여아가 남아에 비해 취학 전년도의 문해자료, 쓰기도구, 독서경험, 독서량, 어머니와의 책읽기 상호작용, 도서관 이용경험, 1학년 때의 읽기동기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첫째 또는 외동 아동이 둘째 이하의 아동에 비해 취학 전년도의 가정문해환경 총점 및 아동도서, 문해공간, 독서경험 총점과 독서량, 1학년 때 읽기이해와 읽기동기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취업모의 자녀에 비해 비취업모의 자녀가 취학 전년도 문해공간, 독서경험, 독서량, 1학년 때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취학 전년도 가정문해환경, 독서경험과 1학년 때의 읽기능력, 읽기동기 간에 대부분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이 있다. 특히 하위요인 중 취학 전년도 아동도서, 독서량, 도서관 이용경험, 1학년 때의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읽기동기 간에는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취학 전년도 가정문해환경과 독서경험, 1학년 때의 읽기능력과 읽기동기 간의 인과적 연구모형이 적합한 모형으로 평가되었다. 취학 전년도 가정문해환경은 같은 시기 독서경험에 직접적 효과를 미치고, 독서경험은 1학년 때의 읽기동기와 읽기능력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문해환경은 독서경험을 매개로 하여 읽기동기와 읽기능력에 간접 영향을 미치고, 읽기능력에 대한 간접효과가 가장 큰 변수는 취학 전년도의 독서경험이며, 그 다음이 가정문해환경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reading experience before entering school and their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ability in the first grade. Survey data from 267 first graders in 3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mothers were analy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irls showed higher level in home literacy environment, reading experiences and reading motivation than boys. Second, first-born children had richer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reading experiences, and showed higher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as compared to later-born children. Third, children of unemployed mothers indicated better literacy environment and more reading experiences, and showed greater reading fluency and comprehension than the children of employed mothers. Fourth,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eschool home literacy environment, reading experience, and first grade reading motivation and abilities. Fifth, preschool home literacy environment affected preschoolers’ reading experiences which predicted their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abilities after entering school.

      • KCI등재

        한국과 독일 수화언어 비교분석 - 어순과 문장유형을 중심으로

        정수정 ( Jeong¸ Su-jeong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20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47 No.-

        본 논문에서는 독일과 한국의 청각장애인들의 주요 의사소통 수단인 수화언어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독일과 한국 수화언어의 다양한 통사적 현상 중에서 어순과 문형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을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수어의 언어로서 위상을 제고하고 수어가 갖는 언어로서 가치를 조명하고자 한다. 독일과 한국의 수화언어에서 개별어휘의 문법기능은 대체로 어순에 의해 표지된다. 즉 양국 수어에서 평서문은 일반적으로 SOV을 기반으로 하며 이 어순은 상당히 고정적이다. 이러한 수어에서의 고정 어순은 독일어나 한국어 음성언어에서 문법기능이 관사나 조사라는 격표지자에 의해 실현되어서 문장에서 어순이 상당히 자유로운 편이라는 사실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의문문의 경우는 의문사의 유무에 따라 구분이 되는데, 우선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은 독일 수어나 한국 수어 모두 평서문 어순에 비수지 표지가 첨가되어서 만들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비수지표지는 두 언어 모두 상체 내밀기, 고개 앞으로 내밀기, 눈 크게 뜨기 등이다.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은 [누구], [무엇], [왜], [언제], [어디] 등의 의문사에 해당되는 수화를 사용한다는 점은 두 수화언어 모두 동일하지만, 의문사 수화의 위치 및 의문사 수화의 문장에서 반복적 사용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In diesem Artikel wird versucht, unter linguistischem Aspekt die deutsche (DGS) und koreanische Gebärdensprache (KSL) zu untersuchen, die Gehörlosen als zentrales Kommunikationsmittel gilt. Dabei liegt der Schwerpunkt der Interesse in ihren Satztypen und Wortstellungen. In deutschen und auch koreanischen gebärdensprachlichen Äußerungen werden u.a. grammatische Informationen über Wortstellung sowie nichtmanuelle Komponente übermittelt. Ein einfacher Deklarativsatz wird in DGS sowie KSL allgemein mit einer SOV-Folge charakterisiert. Dies trifft jedoch nicht auf die deutsche Lautsprache zu. Was die Interrogativsätze angeht, so geht es vor allem darum, ob ein W-Ausdruck im Satz vorliegt. In der deutschen und auch koreanischen Gebärdensprache haben Interrogativsätze ohne W-Wort eine gleiche Satzstruktur wie Deklarativsätze, wobei doch bestimmte nichtmanuelle Signale zur Signalisierung dieser Sätze als Frage begleitet weden müssen. In den W-Interrogativsätzen ist festzuhalten, dass der W-Ausdruck in verschiedenen Positionen vorkommen kann: z. B. in situ, satzinitial, satzfinal, und als Dopplung satzinitial und satzfinal. Auffällig ist für die KSL, dass hierbei W-Ausdruck im Satz nicht nur verdoppelt, sondern auch mehrfach wiederholt werden kann.

      • 나노 기둥 압축 시험을 이용한 UV-경화 폴리머의 기계적 물성 측정

        정수정(Su-Jeong Jeong),김재현(Jae-Hyun Kim),이학주(Hak-Joo Lee),박상후(Sang Hu Park),양동열(Dong-Yol Yang) 대한기계학회 2005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5 No.5

        In this study, we adopt an advanced nanoindentation test, Nano Pillar Compression Test (NPCT), to measure compression properties of polymeric micro/nano structures. Nano Stereo Lithography (NSL) and Focused Ion Beam (FIB) milling are utilized to fabricate UV-curable polymeric pillars with different diameters between 10㎛ and 500㎚ on Si substrate. The uniaxial compression test is performed on each polymeric pillar using a nanoindentation apparatus with a flat-ended diamond punch tip, and the compression properties of UV-curable polymer are extracted from measured load-displacement data. The dependency of compression properties on loading condition and specimen size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방과후 아동 돌봄교실 미디어 예술교육 콘텐츠 구성 평가척도 개발

        정수정(Su-Jeong Jeong),이강훈(Kang-Hoon Lee) 동명대학교 창의인성연구소 2022 교육과 문화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텔파이 조사에 기반하여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방과후 아동 돌봄교실 미디어 예술교육 콘텐츠 개발에 대한 전문가 패널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방과후 아동 돌봄교실 미디어 예술교육 콘텐츠 구성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복지 및 방과후 돌봄교육 전문가를 패널로 선정한 후 3차례에 걸친 텔파이 조사를 통해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방과후 아동 돌봄교실 미디어 예술교육 콘텐츠 구성의 적절성 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텔파이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왜도, 사분위수)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최종 평가준거의 평가범주는 창의성, 인성, 교육성, 정서성, 예술성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텔파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개발된 창의·인성 증진을 위한 방과후 아동 돌봄교실 미디어 예술교육 콘텐츠 구성 평가척도의 최종시안은 5개 평가범주, 16개 평가준거, 32개 평가요소로 확정하였다. For this study, opinions of expert panels were collected on the development of media arts education contents for after-school child care classes to promote creativity and character based on the Delphi survey. Based on these results, an attempt was made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mposition of media arts education contents for after-school child care classes to promote creativity and character. To this end, after selecting a panel of experts on child welfare and after-school care education,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to develop an evaluation scale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mposition of media art education contents of after-school child care classes to promote creativity and character.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Delphi survey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quartile) analysis, and the evaluation categories of the final evaluation criteria were creativity, personality, education, emotionality, and artistry. The final draft of the evaluation scale of the composition of media art education contents of the after-school child care classroom for the promoti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developed based on the Delphi survey results was confirmed with 5 evaluation categories, 16 evaluation criteria, and 32 evaluation factors.

      • KCI등재

        미강 첨가량에 따른 단기숙성 간장의 제조 및 특성 분석

        정수지(Su-Ji Jeong),신미진(Mee-Jin Shin),정성엽(Seong-Yeop Jeong),양희종(Hee-Jong Yang),정도연(Do-Youn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4

        미강은 우수한 영양과 기능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지만 식미를 떨어뜨리고 저장성이 매우 낮아 효과적인 활용에 어려움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간장의 원재료인 대두와의 혼합을 통한 다양한 맛 추구와 전분 및 단백 분해력이 높은 균주를 활용해 낱알형태의 콩알메주를 제조해 총 질소 함량의 증가를 통하여 약 12개월의 간장 제조 기간을 약 1개월로 단축하고자 콩알메주와 미강을 5:5, 7:3, 9:1, 10:0의 비율로 25%의 염수에 담구고 발효하면서 특성을 비교하였다. pH의 변화는 발효 0일 평균 pH 5.82에서 2주간 발효 후 pH는 평균 6.01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당도는 초기 21~22˚Brix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제조한 간장 모두 30~32˚Brix로 높아졌고, 염도 또한 발효기간 중 모든 실험구에서 20%이하로 일정 수준을 유지하며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총 질소의 경우 발효 2주차에 1.62%로 9:1과 10:0 비율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고,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비율별실험구에서 48.02~62.95 mg%으로 발효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발효 2주 후에는 448.84~625.52 mg%를 나타냈다. 바이오제닉 아민 중 히스타민과 티라민 함량은 앞서 보고된 일반 전통간장(히스타민; 225.9 mg/kg, 티라민; 241.6mg/kg) 및 양조간장(히스타민; 129.8 mg/kg, 티라민; 594.5 mg/kg)에 비해 본 연구에서 제조한 간장이 히스타민 35.85~72.81 mg/kg, 티라민 41.04~75.31 mg/kg으로 적게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9:1의 비율의 처리구가 8,804.03 mg/kg으로 가장 높았으며, 구수한 맛을 내는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의 함량 역시 각각 504.25 mg/kg과 1,262.25 mg/kg으로 높았고, 단맛을 내는 serine과 alanine의 경우에도 각각 49.50mg/kg과 518.75 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관능평가 결과 총 질소, 아미노태 질소, 바이오제닉 아민,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에서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던 9:1의 비율로 제조한 간장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Rice bran contains both excellent nutritional value and functional advantages. Its utilization is limited due to reducing texture and low storage. To satisfy various tastes, Bacillus spp. having high amylase and protease activities were selected. Using the strains, we made whole grain soybean Meju with a reduced manufacturing period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otal nitrogen. We made soy sauces with mashing ratios of soy bean and rice bran at 10:0, 9:1, 7:3, and 5:5, and then compared their physiochemical properties. After 2 weeks of fermentation, the sugar content increased from 21~22% to 30~32%. However, pH and salinity showed no differences. At a ratio of 9:1, total nitrogen, amino nitrogen content, and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were the highest at 1.62%, 652.52 mg%, and 8,804.03 mg/kg, respectively, compared to other mashing ratios of soy bean and rice bran. Especially, the contents of aspartic and glutamic acid, which increase delicate flavoring, were higher in our soy sauce compared to those of general traditional soy sauce and brewed soy sauce, which were 504.25 and 1,262.25 mg/kg, respectively. Serine and alanine, which are related to sweet taste, were present at 49.50 and 518.75 mg/kg, respectively, which were the highest among all mixing ratios, at a ratio of 9:1. Compared to general traditional soy sauce and brewed soy sauce, the contents of histamine and tyramine among biogenic amines decreased to 35.85 and 41.04 mg/kg, respectively. Finally, a soy bean and rice bran mixing ratio of 9:1 was determined to be the optimal mixing ratio in the sensory evaluation.

      • KCI등재

        관용구에 나타나는 오스트리아독어 변이형에 대한 고찰

        정수정 ( Su Jeong Jeong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5 독일어문학 Vol.69 No.-

        In diesem Beitrag wird versucht, zu untersuchen, was fur Varianten es zwischen der osterreichischen und der binnendeutschen Varietat auf der Ebene der Phraseologismen gibt. Dabei liegt das Hauptaugenmerk darauf, herauszufinden, wie sich die Besonderheiten des osterreichischen Deutsch auf die Phraseologismen ubertragen. Es stellt sich heraus, dass osterreichisches Deutsch und Binnendeutsch Unterschiede auf Ebene der Phonetik, Phonologie, Wortbildung, Morphosyntax und Lexikologie sowie Pragmatik aufweisen und daruberhinaus auch die Differenzen in der Rechtschreibung und der Bedeutung bestehen. Die Phraseologie weist, gleich wie andere Disziplinen, auch Abweichungen auf. Osterreichspezifische Phraseologismen mit binnendeutscher Aquivalenz werden gemaß den sprachwissenschaftlichen Teildisziplinen klassifiziert. So treten Differenzen zwischen der binnendeutschen und osterreichischen Variante auf allen sprachlichen Ebenen auf. Z. B. liegt ein Unterschied zwischen der binnendeutschen und osterreichischen Variante im Genus vor: Wahrend im Binnendeutschen Butter ein Femininum ist, benutzt man Butter in osterreichischen phraseologischen Wortverbindungen als Maskulinum - in den Butter gehen. Einen weiteren Unterschied gibt es vor allem in der Valenz der verbalen Phraseologismen. In Osterreich konnen Prapositionen anders verwendet werden als in Deutschland, oder es werden andere Prapositionen an ein Verb oder Substantiv angeschlossen. Beispielsweise wird die Praposition an oft anstatt des binnendeutschen auf verwendet. In dieser Arbeit wurde nur eine sehr begrenzte Menge an Phraseologismen aus den Worterbuchern zusammengestellt. Die Ergebnisse der Analyse sind aus diesem Grund eher tendenzweisend. Es ware interessant, anhand eines Korpus Vernwendungsweisen, Vorkommenshaufigkeiten und Kookkurenzpartner der ostereichischen und der deutschen Varietat zu vergleichen.

      • KCI등재

        독일어, 영어, 한국어 특허문서에 나타나는 표현틀에 관하여

        정수정 ( Jeong Su-jeong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6 독일어문학 Vol.74 No.-

        본고에서는 특허문서에 주로 쓰이는 고정된 표현틀에 대하여 독일어, 한국어, 영어 특허문서를 기반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이러한 표현틀이 특허문서에서 수행하는 궁극적인 텍스트 구성적 기능과 역할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허문서는 법률언어와 기술언어가 융합된 특수한 텍스트 유형이다. 이 텍스트 유형은 기술적 내용을 법률적 요건에 접합시킨 전문적 문서이다. 따라서 특허문서는 기술 발전 및 발명을 설명하는 내용에 있어서는 과학기술 영역의 언어 특징을 반영하고 있고, 이러한 발명의 법적 보호를 위한 청구항의 내용 영역은 철저히 법률언어의 특성을 담고 있다. 특허문서의 언어는 규범적이고 관습적이며 표준화되어 있다. 이러한 표준화와 규범화는 독일어, 영어, 한국어 특허문서의 거시구조 뿐만 아니라 미시구조에도 반영되어 있다. 특허문서의 거시구조는 특허문서를 이루는 총체적 구조로서 크게는 발명품에 대한 기술 영역과 그 발명품에 대한 법적인 보호 청구항으로 구성된다. 미시구조는 세부 텍스트 단락의 구성 및 그 세부 구조 도입을 알리는 언어적 실현 양상을 의미한다. 미시구조적 차원에서 텍스트 내적 구조화에 기여하는 언어 실현체로서 표현틀은 독일어, 영어, 한국어 특허문서에서 텍스트 언어학적으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텍스트 단락의 도입이나 텍스트 단락을 알리거나 텍스트의 특정 구성요소를 통합하는 등과 같은 의사소통적 혹은 메타언어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