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에 대한 성별 시간관 차이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분석

        정석(Jung-Suk Hyun),박찬정(Chan-Jung Park),하환호(Hwan-Ho Ha)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6

        최근 정보기술의 발달과 함께 휴대폰 보급이 확대되면서 휴대폰 중독의 역기능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휴대폰 중독은 아직 정신적으로 발달단계에 있는 청소년에게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기 쉽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 예방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성별과 시간관의 차이, 시간관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차로 1,224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성별·학교급별 시간관과 휴대폰 중독의 차이 분석을 실시하고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을 기술하였다. 2차로 269명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시간관과 자기효능감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수 역할을 함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휴대폰 중독 예방을 위한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mobile-phone use, various kinds of malfunctions have occurred recently. Among them, the mobile-phone addiction causes serious social problems. In particular, since teenagers are immature, they are easily addicted to new technology. In order to prevent from the mobile-phone addiction, a lot of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various ways. This paper focuses on the differences in gender and time perspectives of adolescent and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ime perspectives and self-efficacy for preventing mobile-phone addiction. In order to achieve our research goals, we firstly survey on 1,224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analyze the gender differences about time perspectives. And then, we secondly survey on 269 high school students to examine the mediation role of self-efficacy between time perspectives and mobile-phone addiction b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our analyses, we provide an educational guide that can prevent mobile-phone addiction from secondary school students.

      • 원격교육 환경에서 학습자와 교수자의 에듀테크 수용에 관한 연구 분석

        정석(Jung Suk Hyun),박찬정(Chan Jung Park)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5 No.2(A)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코로나19를 예방하는 것이 일상생활이 되어버리는 위드(with) 코로나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 코로나 위급 상황이 언제든지 발생가능해짐에 따라 교육 시스템은 이를 대처하기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많은 변혁이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위한 에듀테크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이러한 변화추이에 발맙춰 교육 시스템은 인터넷뿐만 아니라 VR/AR/AI 기반의 도구를 교육에 활용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에듀테크 자체의 복잡도가 증가하면서 에듀테크 자체에 관한 교육 방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CI에 등록된 등재지와 등재후보지의 연구들 중에서 에듀테크 활용, 에듀테크 교육방법, 에듀테크 기반 온라인 교육을 키워드로 연구들을 검색한 후에 최근 에듀테크 연구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본 연구는 정보 기술수용 모형의 관점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 에듀테크를 배우고 활용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를 파악하였다.

      • KCI등재

        『주역』에 있어서 점서(占筮)의 논리

        정석현(Jung, Suk-Hyun) 새한철학회 2019 哲學論叢 Vol.95 No.1

        이 논문은 앞일에 대한 모종의 정보가 내재될 수 있는 괘를 어떠한 원리에 의해 어떻게 얻어낼 수 있는지, 즉 괘 획득의 원리 및 방법에 관한 논리를 밝히려고 한다. 그리고 이와 관련한 기존의 견해들이 가지는 오류는 괘사(卦辭)와 효사(爻辭)의 의미 및 그 관계적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데에 그 근본원인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본문은 우선 이들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 있다. 그리고 그럼으로써 가지게 되는 사실들을, 앞선 연구에서 알아내었던 설시(揲蓍)를 하는 과정에서는 원하는 일과 관련해 ‘의식적 무작위(意識的無作爲)’를 해야 한다는 사실과 더불어, 기본전제로 하여 괘 획득방법론을 이루기 위한 제반조건을 이끌어내고 있다. 즉 전자의 가정들로부터 그 절차과정은 하나의 체계로 괘와 효를 모두 동시에 얻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한다. 그리고 후자의 가정으로부터 그 절차과정은 ‘의식적 무작위’를 도울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표준적이어야 하고, 너무 번잡하지 않아야 하며, 그것의 각 단계들은 앞일과 관련해 모종의 상징성을 띨 수 있어야한다. 그런 후, 이러한 제반조건에 입각하여 완전한 괘 획득방법론에 접근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logic of the principle and method for obtaining the guà that can be embedded some kind of information about the future. The fallacy of the preceding views on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inability to grasp the meaning of the guàcí(卦辭) and the yáocí(爻辭) and the relative meaning of the two. Therefore, this paper clarifies their meanings first. And this paper makes the facts from them as basic premises, along with fact that I found out in the previous study: that is, the fortuneteller should not intend and concentrate on consciousness in the process doing dié-shī(揲蓍). Then this paper draws from the premises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completing the methodology for obtaining the guà. That is, depending on the former assumptions, the procedural process should be structured so that both the guà and the yáo(爻) can be obtained in one system at the same time. And depending on the latter assumption, the procedural process should be standard, not too repetitive or complicated, and each of its stages should have some symbolism in relation to the future. And then, based on these conditions, this paper approaches the complete methodology for obtaining the guà.

      •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리세드로네이트의 경피전달

        정석현(Suk Hyun Jung),정상영(Sang Young Jeong),길영식(Young Sig Gil),조선행(Sun Hang Cho),신병철(Byung Cheol Shin) 한국생산제조학회 2011 한국생산제조시스템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1 No.4

        Bisphosphonates are an important group of therapeutic agents for the management of osteoporosis, as they inhibit bone resorption and increase bone density, thereby potentially decreasing fracture risk. In this study, risedronate was transdermally delivered by iontophoresis. Effects of polarity, pH, current density, drug concentration and enhances were studied using a side-by-side diffusion cell including the hairless mice skin. The amount of transported drug under iontophoretic delivery was about 186 fold higher than that under passive delivery. Results indicated that iontophoresis is an effective method for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risedronate sodium.

      • KCI등재

        『주역』에 있어서 점서(占筮)의 논리

        정석현(Jung, Suk-hyun)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1 No.-

        점서(占筮)는 설시(揲蓍)를 하여 괘[64卦]를 얻어내는 과정과 이 괘를 풀이하여 앞일을 예단(豫斷)해 보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점서는 이 두 과정에 앞서 설시를 하여 얻는 괘에 앞일에 대한 모종의 정보가 들어있다는 것을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얻은 괘에 대한 풀이는 원천적으로 무효가 된다. 따라서 이 논문은 점서에서 설시를 하여 얻는 괘에 어떻게 앞일에 대한 모종의 정보가 내재될 수 있는지, 즉 점서의 가능근거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탐구는 관련하여 유일한 단서가 될 수 있는 『주역(周易) 』에서의 ‘천명(天命)’이 의미하는 바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접근한다. 그리하여 ‘천명’은 ‘설시를 하여 얻는 괘’가 되며 이 설시를 하여 얻는 괘는 다시 ‘원하는 앞일과 관련한 조짐이나 암시’가 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천명’을 아는 것[知命]은 원하는 앞일과 관련한 조짐이나 암시를 아는 것이다. 점서에 있어서 이 삼자는 상호 동치관계에 있다. 그리고 ‘천명’을 받기 위해서, 즉 ‘수명(受命)’을 위해서는 설시를 하는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원하는 일과 관련해 의식을 집중하되 작위를 하지 않아야 할 것[意識的 無作爲]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설시를 하여 얻는 괘에 앞일에 대한 모종의 정보가 내재될 수 있음이 해명된다. ‘앞일에 대한 모종의 정보’는 바로 ‘원하는 앞일과 관련한 조짐이나 암시’인 것이다. Zhàn-shì is divided into the process of getting guà(64卦) by doing dié-shī (揲蓍) and the process of predicting the future by interpreting it. And zhàn-shì is implicitly presupposed before these two courses that there issome kind of information about the future in guà which is obtained by doing dié-shī. Otherwise, Interpretation of the guà becomes fundamentally invali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writer tried to clarify how some kind of information about the future can be embedded in guà which is obtained by doing dié-shī in zhàn-shì, that is, the basis on which zhàn-shì can be available. And this study in relation to this subject approaches in a way that it keeps track of what ‘tiānmìng(天命)’ in Zhōuyì means which can be the only clue. So this paper reveals that ‘tiānmìng’ becomes ‘guà which is obtained by doing dié-shī’, and this again becomes ‘a sign or indication related to the future which someone wants to know. ‘To know tiānmìng‘[zhīmìng(知命)] is to know signs or indications related to the future which someone wants to know. These three are in mutual equivalence relation. And this paper basically requires that someone should concentrate his consciousness on the desirous thing but should not intend it in the process of doing dié-shī in order ‘to receive tiānmìng’[shòumìng(受命)]. Therefore, it is clarified that there is some kind of information about the future in guà which is obtained by doing dié-sh. ‘some kind of information about the future’ is ‘signs or indications related to the future which someone wants to know’.

      • KCI등재

        『주역』의 기본공리로서 ‘도(道)’의 개념과 태극ㆍ양의ㆍ사상ㆍ팔괘

        정석현(Jung, Suk-Hyun)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6 No.4

        『주역』을 연구하는 근본적인 목적은 그 내용체계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온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일관된 논리체계로 통섭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그 내용체계를 기본공리(axiomxiom)에서부터 연역하여 모순 없는 논리구조로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주역』의 기본공리라 할 수 있는 것은 ‘도(道)’의 개념이다. 왜냐하면 『주역』은 변화를 말하는 저서인데, 이는 “한번 음하고 한번 양한다(一陰一陽).”로 표현되는 것으로 그러한 변화의 이치를 가장 함축성 있게 드러내 주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이러한 연구과정에 있어서의 첫 작업으로, ‘도’의 개념을 구체화시키고, 이로부터 연역하여 태극(太極)·양의(兩義)·사상(四象)·팔괘(八卦)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즉 이 논문에서는 먼저 ‘도’를 ‘도’ 자체와 존재로서의 ‘도’로 구별하여 설명한다. ‘도’ 자체는 ‘음양(陰陽)’이 상호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이며, 존재로서의 ‘도’는 자신과 대대하는 존재인 ‘기(器)’와 더불어 ‘음양’의 두 쌍이 된다. ‘기’는 ‘음양’의 개념에 함축된다. ‘음양’은 대대관계에 있으면서 실재하는 대상들이며, 이 두 쌍의 형태와 이 두 쌍이 상호 변화하는 형태는 각각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는 태극·양의·사상·팔괘의 개념을 ‘도’ 자체와의 관계적으로 풀이하고 있으며, 그 결과 이 개념들이 모두 존재를 말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상호 동치관계로 규정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태극은 ‘음양’의 합이며, 양의는 곧 ‘음양’이며, 사상은 ‘음양’을 네 가지 형상으로 구분한 것이며, 팔괘는 사상을 여덟 가지 괘의 형상으로 구분한 것이다. The fundamental purpose studying Zhōuyì(『周易』) is to fully comprehend the content system. And to fully comprehend it means to make consilience into the consistent logical system. To do so, we should be able to deduce the content system from the basic axioms, and then to reconstruct it as the logical structure without any contradiction. The basic axiom of Zhōuyì can be considered as the concept of Dào(道). Because Zhōuyì is the book which means CHANGE and it reveals most implicatively the principle of the change as one which is represented by “Yīn-Yáng change constantly with each other(一陰一陽).”. Therefore, this paper embodied the concept of Dào as the first task in course of the study, and then clearly defined the concepts of Tàijí(太極), Liǎng-yì(兩義), Sìxiàng(四象) and Bāguà(八卦) by deducing from it. Namely, I, first, described by distinguishing Dào from Dào itself and Dào as existence. Dào itself is to constantly change Yīn-Yáng(陰陽) with each other, and Dào as existence is the two pairs of Yīn-Yáng together with existence of Qǐ(器) which interdepend and conflict with itself. The concept of Qǐ is implied in that of Yīn-Yáng. Yīn-Yáng is the subjects which really exist in interdependent and conflictory relations, and the form of the two pairs and the form of the changing two pairs with each other can be respectively classified into four types. And I interpreted the concepts of Tàijí, Liǎng-yì, Sìxiàng and Bāguà in the relationship with Dào itself, and consequentially revealed that they all can be prescribed by mutual equivalence relation with each other in terms of referring to the existence. Namely, Tàijí is the sum of Yīn-Yáng. Liǎng-yì is just Yīn-Yáng. Sìxiàng is that Yīn-Yáng is divided into four images. Bāguà is that Sìxiàng is divided into eight trigram.

      • 혁신적 신상품 개발을 위한 체계적 모순해결

        정석(Jung Suk Hyun) 한국경영학회 2015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08

        신상품 개발에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례들은 ‘모순’을 해결하였다는 공통점을 갖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가 James Watt의 증기기관과 Simens社의 연속탱크가마이다. Watt는 Newcomen 엔진에서 실린더가 뜨거우면서 동시에 차가운 것은 모순을 해결하였다. Siemens社는 도가니를 두 개의 방으로 분리함으로써 유리 용액의 온도를 높이고 낮춰야 하는 모순관계를 해결하였다. 논리적 사고가 강한 서양의 학자들은 모순을 틀린 것, 가능성이 전혀 없는 공집합으로 여겨 왔다. 이러한 전통 때문에 창의성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모순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았다. 신상품 아이디어 창출을 위한 브레인스토밍 등의 기존 방법은 문제해결의 방향을 정하지 않기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모순을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제조원가의 70~80%가 제품개발과정에서 결정되지만 대부분 기업들의 원가절감 노력은 생산과 구매단계에 집중되어 있다. 신상품 개념설계의 초기단계일수록 혁신적인 아이디어 기회가 많고 생산성과 품질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절대적임에도 불구하고 초기단계에 활용할 수 있는 문제해결방법론이 덜 개발되어 왔다. 본 연구는 혁신적 신상품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모순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I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many creative and innovative cases have in common that they solved contradictions. The typical example can be found in James Watt’s Steam Engine and Simens’ continuous tank furnace. Watt solved the contradiction such that the cylinder of the Newcomen engine should be hot and cold at the same time. Siemens solve the contradiction by separating the chamber of a furnace in order to turn up the heat of glass liquid and to turn down the heat of it at the same time. Most western scholars, who have strong logical thinking ability, regarded contradictions as wrong things and an empty set having no possibility. Due to this tradition, most research works had paid no attention to contradiction solving. The existing methods such as brainstorming for inventing new product ideas had limitations to solve contradictions and to take a long time to solve them because they did not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problem solving. The 70 ~ 80% of production cost are determined during the process of the product development. However, the effort for cost reduction in most companies focused on manufacturing and sales. Even though in the earlier state of the concept design of a new product, more innovative ideas can be generated and the ripple effect on the productivity and the quality can be bigger, the methodologies for problem solving that can be applied in the early state have rarely been proposed. This research proposed a new systematic contradiction resolution method for developing innovative new products.

      • KCI등재

        분할-결합 원리와 상태모형에 대한 학습이 모순문제 해결과 성장 마인드세트에 미치는 영향

        정석 ( Jung Suk Hyun ),박찬정 ( Chan Jung Park ) 한국지식경영학회 2013 지식경영연구 Vol.14 No.5

        This paper aims to show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educational effects of Divide-and-Combine principles and State Models, which are included in the Butterfly Model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In our State Models, there are Time State Model, Space State Model, and Whole-Parts State Model. We have taught middle school students (for 18 hours), high school students (for 24 hours), and undergraduate students (for 1 semester) about our proposed Models when they solved contradiction problems. Also, we have made the students learn our contradiction resolution algorithms by themselves based on team-based discussion. By learning and by using our Models, the students had the higher level of expertise in contradiction problems and had the growth mindset that made them have confidence in themselves and kept them challenging themselves about problems. Also, learning and solving with our Models improved the students` growth mindset as well as theirproblem-solv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