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제도권 차문화의 의례적 기능

        정서경 ( Seo Kyung Jung ) 남도민속학회 2012 남도민속연구 Vol.25 No.-

        한국의 차문화가 고대를 거쳐 고려시대에 다층적으로 발달하게 된 배경에는 민중층의 약용과 제도적 차문화의 의례적 기능이 수반(隨伴)되었기 때문이다. 가장 화려했던 차문화의 역사는 다양한 계층이 차를 즐기고 민중 삶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차문화의 주 향유계층은 대체로 권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러한 전승 맥락은 문헌자료로 남아 있는 차시 저자들의 신분 분석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 모임을 빙자한 권력의 세력형성 또는 고려말기에는 소위 왕조체제를 무너뜨리려는 모략모임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심해졌다. 그리하여 차문화의 확산을 금지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차문화의 정치적 기능을 약화시키는 제도적 방해가 있었다는 맥락으로 해석된다. 여러 문헌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면,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가 바뀌면서 차문화에서도 그 주체와 차의 형태, 음차생활 등에서 문화의 형성루트가 달라지는 반전 현상이 나타난다. 소위 고려시대 지배층이었던 은사들이 재야에서 이전 왕조에 대한 우국충정과 자신의 아픔을 달래며 풍류 했던 훈습(薰習)이 차차 귀족문화에서 서민문화로 일반화 되었다. 다례(茶禮)라는 명절의례와 풍류차로 변모하는 양상을 보인다. 다시 말하면 고려의 지배층이었던 권문세족들이 조선시대에는 숨어 사는 권력의 변방인(은사)이 되는 역사적 사회 상황으로 인해 고려의 잔존문화로서 민중들의 차문화로 점차 일반화되어 갔다고 분석된다. 예컨대 차문화를 형성한다는 큰 틀에서 보면 음차(飮茶)라고 하는 것은 하나의 일면일 뿐이다. 음차문화가 형성되기까지 많은 과정의 절차가 있었을 것이고 그러한 절차가 차문화사회의 기본적인 틀을 갖춘 것이라고 보았다. 여러 단계를 거쳐 형성된 편린들이 차를 둘러싼 문화의 큰 틀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차문화의 풍부한 자료들의 분석을 통해 문화적 기능이 시대에 따라 변형 생성되면서 전승되는 전승주체와 맥락에 주목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다. 이 글에서는 고려시대를 중심으로 차의 기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그 기능의 분류와 전승맥락을 밝히고자 한다. 단절된 시대의 재조명을 통해서 한국 차문화 전체 맥락의 흐름을 단편적으로 규정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e institutional tea culture and medicinal utilization of the citizens was accompanied by a background in Korea tea culture``s development through the Goryeo dynasty as a multi-layered. The most impressive tea culture is various classes enjoying the tea and taking a important part of peoples lives. However the main class enjoying the tea culture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ruling classes. This tradition can grasp analyzing the authors identity of tea poem which remains in its literature. Therefore it was worse in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 tendency to regard as the formation of power pretending of meeting for enjoying the tea and the plot meeting to distribute the dynasty. Thus, it is considered to prohibit the spread of tea culture. These are interpreted as a existence of institutional interference to weaken the tea culture. Comprehensively investigating various literatures, change of dynasty from Goryeo dynasty to Chosun dynasty makes differences of subject, form, lifes in the tea culture. So called hierarchy appreciated for the arts perfuming appeasing their pain for the previous dynasty and patriotic sentiment, and these were generalized into the culture of ordinary people gradually. It transform into tea ceremony as tasteful tea and holiday rituals. Because of historical society condition, the hierarchy of Goryeo dynasty should conceal, the tea entered into general use to people. For example, when looking at the big picture forming tea culture, drinking the tea is just one aspect. There are many courses of the procedure, it needed to form the culture drinking the tea made basic framework of society of tea culture. Because of many fragments formed through different stages made a larger framework of the culture surrounding the tea. In this paper, I emphasize to be conducted noting to subject and context of tradition through analyzing materials. Also, I would search the function of tea in priority and that of classification and context of the tradition.

      • KCI등재

        한·중·일 차문화 비교연구의 동향과 과제

        정서경(Jung Seo-kyung)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7

        차문화 연구는 전통문화의 지향과 보존이라는 시대흐름과 더불어 1970년대를 전후해 가속화 되면서 활발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기초 조사라 할 수 있는 諸岡 存?家入一雄의 『조선의 茶와 禪』은 日人에 의한 현장조사로 차문화 연구에 기폭제 역할을 하였다. 약차로써 음용되어 온 차문화의 전승과 역사에 대해 서술하고 있으며, 남도 지역의 약차 문화는 서민의 약용차 음용에 그 뿌리를 두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차문화 연구는 특정계층의 향유물로 여겨져 수직사회의 차문화 고찰이 주가 되었다. 유학자와 선승들의 다도사상, 왕실의 다례고찰, 고위관직의 행력에 따른 차문화 인식, 사인의 풍기, 궁중 차예, 지식인의 차문화 공간, 조선개국 사대부의 구현세계 등 차문화 향유계층에 국한된 범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비교연구의 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시대적 공간적 비교우위의 국가적 연구를 비교연구라고 한다면 차문화 연구의 비교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며 그 방법론적 모색 또한 모호하다 하겠다. 차문화 연구가 기존의 정의와 분류가 다양하여 준거할 만한 기본 틀을 찾기가 매우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일제강점기에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그간 원로 학자들에 의해서 다양한 논거와 담론을 가지고 연구되기 시작했지만 기존 연구의 답습과 양적인 팽창만 거듭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차문화는 다양한 계층에 의한 생산과 향유의 전승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전승계보의 형성과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더불어 동아시아의 사인이라고 할 만큼 차문화는 한?중?일 삼국이 각각의 독특한 차문화의 형성 곡선을 그리면서 발전해 왔다. 이제 차문화는 새로운 비교연구 방법론을 모색할 때다. A study of tea culture has been continuing a lively discussion since around 1970s with inclination and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ulture with times. A good example of foundation research, Je-gang Jone?Ga Ip Il Woong’s Choseon’s Tea and Memorial service did a booster role of a study of tea culture with a field investigation by Japanese. This describes the history and transmission of the tea culture as medicine tea, and it also explains that the medicine tea culture of Namdo area is rooted in the common people’s medicine tea drinking. Nevertheless a study of Korean tea culture was seen as special layer’s enjoyment, and the tea culture investigations of a vertical society were the main parts. This has not gotten of the limit of special layer’s tea culture, the tea ceremony of Confucian scholars and Zen priests, the royal tea ceremony reflections, an understanding of tea culture according to the power of high-ranking officers, a tea manner of the royal court, Chos?n high officials’ embodiment of the world, etc. This is the same with the example of a comparative study. If we say that the comparative time and space advantage of national research is a comparative study, then the tea culture study is still inadequate, and the search of the methodology is vague. However, the tea culture shows the transmission of the production and the enjoyment according to the various layers, and it also shows the formation and the flow of the transmission. With this, the tea culture which can be called as the character of East Asia has been developed with unique tea cultures of Korea, China, and Japan respectively. It is time that the tea culture has to search the new methodology of a comparative study.

      • KCI등재

        민속사회의 음차양상과 민간기반의 차문화 전승

        정서경(Jung, Seo Kyung) 실천민속학회 2013 실천민속학연구 Vol.21 No.-

        현재까지의 차문화 전승 맥락이나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면, 차문화는 고급문화의 일환으로 상류계급의 신분을 가진 특수계층들이 향유하는 문화라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이는 고려시대의 의례적 차문화가 권위주의를 반영하고, 왕실의 의례적 차문화가 두드러지게 전승되는 양상에서 고착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차문화는 고대에는 생활 속에 약용차문화로, 고려시대에는 격조 있는 의례차문화로, 조선시대에는 선비들의 풍류차문화로, 근대에는 대중적 기호차문화로 발전해 왔다. 이러한 발전 단계의 기저에는 민중이라는 그리고 약용이라는 민속사회의 음차양상과 민간기반의 차문화 전승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향촌사회의 습속이라고 해석되고 있는 세시풍속은 촌락관습의 대종을 이루는 생활 관행이며, 기층문화의 여러 가지 문화요소들이 내재된 민속 문화 체계이다. 차의 음용 역시 이러한 자연의 조건과 지역의 기후, 향유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문화소로 나타나고 있다. 그것은 한마디로 자연에 대한 순응이고 기후에 대한 삶의 조화이다. 그러한 기록을 남긴 고전과 민속자료 속에는 다양한 세시풍속의 차문화 전승을 말해 준다. 차문화는 민간과 왕실, 관료사회에서 전승되고 교류하는 과정에서 상호 영향 하에서 변형?생성되고 있다. 차를 즐긴 우리 민중들은 봄?여름?가을?겨울 그리고 매달 차를 만들거나 마시는 문화적 규범을 멋스럽게 가꾸어 왔다. 뿐만 아니라 차의 양생과 치유의 기능은 몸과 마음이라고 하는 육체적?정신적 치유와 회복까지를 포괄한다. 그러나 다양한 계층의 차문화 향유로 이어지는 민중적 전승 맥락을 이해하지 못하고 차문화는 고급문화라는 잘못된 인식으로 인하여 민중의 차문화가 점차 사라져가는 풍조가 생겨나고 있다. 전통사회의 차문화가 대중화 되지 못하고 과거의 편린으로 잠식되어 가는 것은 이러한 전승 양상을 이해하지 못하는 인식의 오류라고 판단된다. 음차의 향유는 마치 식자층에서만 이루어지는 문화양상인 것처럼 비춰지는 것이 현대 사회의 차문화가 더 이상 대중화 되지 못하고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차문화가 가지고 있는 대중성에 담긴 차문화의 복합문화적 성격을 이해하지 않으면 일반적 차문화의 전승은 결코 이루어질 수 없다. 민중의 차문화, 민간기반의 전승을 드러내고 그 맥락을 이어갈 때 현대 사회에 차문화 대중화라는 큰 과제를 풀 수 있을 것이다. Looking at current research context or cultural traditions of the tea until, that tea culture is a part of the upper class enjoyed by the special class is a common perception. This was in the lock-in from the aspect that Goryeo Dynasty’s ritual tea culture reflected authoritarianism and royal ritual tea culture was passed down prominently. However Korea’s tea culture has developed, medicinal tea culture in everyday life in ancient times, elegant courtesy tea culture in Goryeo dynasty, tasteful tea culture of scholar in Chosun Dynasty, and popular taste tea culture in modern. The basis of these stages of development, you will find a private-based culture traditions of folk and medicinal folk social aspects effect greatly. Seasonal customs typically interpreted as convention of country districts is life style practice forming village customs majority and system of folk culture including a lot culture element of korea basic culture. These natural conditions of climate of the region and the enjoyment of the taste of tea drinking also work to elements of various forms. It is compliance for natural and harmony of life for climate in a word. Such left classical and folk materials tell us tradition of tea culture of seasonal customs. Tea culture is being generated and transshaped in the course of exchange and transmission between private and royal under the mutual influence. Our people enjoyed tea maintained the cultural norma making or drinking the tea in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and monthly. Moreover the function of the curing and healing of the tea include restoration of mind and body, physical and mental. But do not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folk tradition, leading to the various layers of the enjoyment of tea culture, because of the wrong perception of high culture, the trend the people’s tea culture is gradually disappearing is emerging. Because of errors that do not understand the aspects of this traditions, traditional society’s tea culture is eroding to glimpse of the past and not to bo popularized. Enjoyment of the tea is viewed as the cultural aspects of Literati only provides a clue that tea culture of modern society has no longer popularized. If you do not understand the popularity of tea culture including a nature of complex culture, generally tradition of tea culture will never reach. When reaveal people’s tea culture and tradition of civilian-based and continue its context, tea culture can be popularized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설주(雪舟) 송운회(宋運會)의 차시(茶詩)에 나타난 보성의 차풍속(茶風俗) 연구(硏究)

        정서경 ( Seok Yeong Jung ) 남도민속학회 2010 남도민속연구 Vol.20 No.-

        보성의 민속은 이 지역의 자연적 여건과 역사적 요인, 그리고 사회성에 의해서 지연의 공감대를 가지고 형성되어 변형·발전되어 왔다. 그러므로 전승 되어온 민속에는 보성인의 감정과 정신이 깃들어 있을 뿐 아니라 생활의 소중한 지혜와 삶의 방법과 그 질서가 제시되어 있다. 보성군은 山紫水明하고 기후가 온화하여 명승고적과 유람지가 많다. 예부터 자라고 있는 차나무가 많은 만큼 전남의 선조들은 茶와 더불어 살아왔던 터였음으로 차생활에 얽힌 기록과 그 흔적도 많다. 하지만 1950년대를 중심으로 차나무가 심어져 재배차라는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부터 보성은 고려시대의 대표적 飮茶 지역으로 熊岾茶所(웅치면)와 乫坪茶所(회천면)는 장흥도호부에 속한 때도 차를 貢茶하던 곳으로, 조선왕조실록 지리지의 세종 15년(1433)의 기록에서는 오곡, 봉, 왕골, 표고, 茶, 매화 등등이 난다고 발견할 수 있다. 고려시대 이후 부흥했던 18~19세기의 차문화는 일본의 식민지배 36년 동안 남부지역의 사찰지역으로 공간이 축소되면서 명맥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한국 차의 보고라 할 수 있는 보성 차에 대한 그 역사성과 근원을 뒷받침 할 사료가 부족하여 역사적 고증이 필요한 때, 최근 녹차 수도 보성이라고 타이틀을 내걸은 보성이라는 공간적 배경에서 평생을 글을 쓰면서 차인으로 산 雪舟 宋運會 선생이 남긴 『雪舟遺稿』가 국역으로 발간되었다. 이 글은 한국의 차문화 역사를 체계적인 조사와 자료를 통하여 그 근간을 확립하고자 하는 의지에 의한 것으로, 『雪舟遺稿』에 실린 漢詩 중에서 차를 마시며 남긴 茶詩를 통해 근대 19세기 이후라는 시간적 배경하의 보성의 차문화의 전반적 흐름과 양상, 차풍속의 시기별, 분야별 특징, 그리고 그 안에서 보이는 차정신을 一瞥하고자 한다. 보성 지방을 중심으로 한 차문화와 일상의 차생활을 즐긴 정서가 여과 없이 투영되어 있는 『雪舟遺稿』를 통해 보성 지방을 중심으로 한 남도의 차풍속과 더불어 향유되어 온 차생활의 추이를 이해할 수 있는 연구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The custom of Boseong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with territorial sympathy according to the natural condition, the historical factor, and the sociality of this area. Therefore, in the traditional custom, there are not only the emotion and the mind of the Boseong residents but also there are the valuable life wisdom, life means, and the order. Boseong has scenic beauty and there are a lot of scenic spots and places of history and the sightseeing places because of the mild temperature. There have been lots of tea trees from old times in Jeonnam, so the ancestors of this area have lived with the tea, and there are many stories about tea lives and the traces. However, the most tea trees were planted sometime in 1950s, so they are called the cultivation tea, and they are not free from it. Boseong was the major tea drinking area in the Goryeo Dynasty, and Ungjeomdaso(Unchimyon) and Galpyungdaso(Hoeichonmyon) served the tea even when they were parts of a Jangheung government office. According to the record of Sejong15(1433) in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geography book, it was said that there were the five grains, money, bulrush, mushroom, tea, apricot, etc. After the Goryeo Dynasty, the revived tea culture of the 18~19 century remained in existence while Korea wa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for 36years, and it was downsized to a Buddhist temple area of southern regions. I catch a glimpse of overall flowing and an aspect of Boseong tea culture under the late 19th century, the characteristic of time and field of the tea custom and tea mind which was showed in it through the tea poems in 『Seoljuyugo』 left by Seolju Song, Un-hoe who lived as a tea man and wrote all his life in Boseong where it has lately made the name the capital of Green tea Boseong. Also I hope that this becomes the study which can understand the trend of the tea life enjoyed with tea culture of Namdo with Boseong as the center which works for the brand of Korean green tea production market. It intends to establish the source through the organized research and materials of Korean tea custom history, because there weren’t enough materials to support the historicity and the origin of Boseong tea. It also reflects the emotions enjoyed the tea culture and daily tea life with Boseong as the center.

      • KCI등재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책 읽어주기 활동의 실태와 인식

        정서경(Seokyung Jung),김승희(Seunghe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5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책 읽어주기 활동의 실태와 인식을 부모 변인과 자녀 변인에 따라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의 M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유아의 부모 1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시행한 후,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 48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지는 두 차례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은 후 사용되었으며, 자료는 빈도분석과 카이제곱 검증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4년제 대학을 졸업한 30대 어머니의 책 읽어주기 활동이 가장 활발하며, 맞벌이 여부가 대부분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만 1세 미만에 책을 읽어주기 시작하고, 만 2세 미만 자녀에게 1주일 5회 이상 5~10분 미만 읽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책 읽어주기 활동 시작 시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으며 주로 영아기 자녀를 대상으로 책 읽어주기 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책 읽어주기 활동 실태와 다르게 책 읽어주기 활동 인식에서는 자녀 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거의 없었다. 결론 본 연구는 맞벌이 여부보다 부모나 자녀의 나이에 따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임신 초기부터 시행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이처럼 부모 변인과 자녀 변인에 따른 책 읽어주기 활동에 관한 구체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lity and perception of reading books activity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ccording to parents’ parameters and their children’s parameters. Methods This study carried out preliminary survey for 10 parents with young children of M pre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then conducted survey resear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5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ing preschools and kindergarten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Questionnaire was used after being inspecting its content validity twice,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thers in their thirties who graduated a four-year university most actively participated in reading books activity, and dual-income status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s in most questions. The parents started reading book activity under one year of their children’s age, and read books for their children under two year of age for 5~10 minutes over five times per week. That is to say, a beginning time of reading books activity was faster and faster, and reading books activity was operated targeting children in infancy. However, the perception of reading books activity was different from the reality of reading books activity because it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s nearly according to child variance. Conclusions This study emphasized that a parent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age of parents or children rather than dual income status should be conducted from the beginning of pregnancy. It wa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uggested basic data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by providing specific information about reading book activity according to parent variance and child variance.

      • Residual Multi-dilated convolution U-Net을 이용한 다중 심장 영역 분할 알고리즘 연구

        임상헌 ( Sang-heon Lim ),최한승 ( H. S. Choi ),배희진 ( S. K. Jung ),정서경 ( J. K. Jung ),정진교 ( Myung-suk Lee ),이명숙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딥 러닝을 이용하여 완전 자동화된 다중 클래스 전체 심장 분할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recurrent convolutional block과 residual multi-dilated block을 삽입하여 기존 U-Net을 개선한 인공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였다. 평가는 자동화 분석 결과와 수동 평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96.88%의 평균 DSC, 95.60%의 정확도, 97.00%의 recall을 얻었다. 이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다양한 심장 구조에서 효과적으로 구분되어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이 의사와 방사선 의사가 영상을 판독하거나 임상 결정을 내리는데 보조적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