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리체강 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시 발생한 전방 내 트리암시놀론의 역류

        정병진,서형덕,김기홍,박영정,이규원 대한안과학회 2005 대한안과학회지 Vol.46 No.9

        Purpose: To report triamcinolone regurgitation into the anterior chamber after intravitreal triamcinolone injection for macular edema. Methods: A total of 402 eyes (432 cases) received intravitreal injection of triamcinolone acetonide for macular edema from November 2002 to December 2004. A retrospective review includ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patients who showed regurgitation into the anterior chamber after intravitreal triamcinolone injection. The clinical outcome and any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Regurgitation was observed in 9 of 402 eyes (11 of 432 cases, 2.55%) after intravitreal triamcinolone acetonide injection. All were phakic eyes. Pseudohypopyon was observ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but resolved gradually without any significant complications. Intravitreal injection of triamcinolone acetonide results in increased visual acuity (p<0.01) and decreased macular thickness (p<0.01) after 2 weeks of injection. Conclusions: Triamcinolone particles that regurgitated into the anterior chamber gradually resolved without any significant complications. These can, however, mask symptoms of endophthalmitis and delay accurate diagnosis, so careful follow-up examination is imperaive.

      • KCI등재

        계층화된 매크로/펨토 셀 네트워크에서의 불필요한 핸드오버 절감을 위한 향상된 핸드오버 결정 알고리즘

        정병진,신승재,윤현수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9 No.5

        매크로셀과 펨토셀로 구성된 계층적 셀룰라 네트워크에서 펨토셀의 활용률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이동 단말이 펨토셀에 우선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매크로셀 내부에 많은 수의 펨토셀을 포함시키는 경우 단말의 이동성과 펨토셀의 작은 통신 반경으로 인해 매크로셀↔ 펨토셀 간 핸드오버의 횟수는 상당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것은 셀 영역 내부에 있는 모든 펨토셀 기지국과의 핸드오버를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매크로셀 기지국에게는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향상된 핸드오버 결정 알고리즘을 통해 매크로셀과 펨토셀 간의 불필요한 핸드오버들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계층화된 매크로/펨토 셀 네트워크에서는 펨토셀에 짧은 시간 (예: 수초 이내)동안 머무르는 일시적 방문자들이 펨토셀로 핸드오버 되는 것을 막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단말의 미래 위치 예측 기법을 이용하여 이러한 일시적 펨토셀 방문자들을 선별함으로써 불필요한 매크로셀→펨토셀 핸드오버를 억제할 수 있는 핸드오버 결정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실험 결과,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의 관용 핸드오버 결정 기법과 비교했을 때 불필요한 핸드오버를 최고 40%까지 절감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hierarchical macro/femto-cell networks, it is desirable to have every mobile terminal prefer to exploit low cost femtocell connectivity rather than using macro cell. Under this policy, when a macrocell includes a large number of femtocells, the number of handover is largely increased due to frequent macro ↔ femto cell handovers. Such situation gives a huge amount of signaling overheads to macrocell base station because each handover process requires complicated message exchange and negotiation procedure. Hence, it is important to avoid unnecessary macro → femto cell handovers of temporary femtocell visitors who stay in the femtocell for a relatively short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mart handover decision algorithm exploiting future mobility pattern prediction scheme to prevent macro → femto cell handovers of such temporary femtocell visitors. In extensive computer simulations, our proposed handover decision algorithm reduces up to 40% of unnecessary handovers from conventional handover decision algorithm.

      • KCI등재

        변형된 단순절제를 이용한 눈구석주름의 치료

        정병진,신동수,이규원.Byung Jin Jeong. M.D.. Dong Su Shin. M.D.. Kyoo Won Lee. M.D. 대한안과학회 2007 대한안과학회지 Vol.48 No.5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modified simple excision for epicanthal folds. Methods: Eight patients with the epicanthal folds were treated using a modified simple excision method from June to December 2005. After medial traction of the epicanthal fold to expose the medial canthus, parabola-shaped marking was done near mucocutaneous junction. Under local anesthesia, incision of skin, dissection of subcutaneous tissue and excision of subcutaneous fibrous tissue and orbicularis oculi muscle were done. After marking the medial canthus on the skin, a wedge-shaped excision of the extra skin was done. Fixation sutures to the medial canthal tendon and skin sutures were then performed. Results: Eight participants were evaluated (four males and four females) with a mean age of 16.71±8.34 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42.86±5.80 days. After the operation, the skin scar was not visible due to its deep position, and no complication, such as damage to the lacrimal canaliculus or sac, was observed. Conclusions: Modified simple excision for epicanthal folds is an effective method that does not leave a visible scar.

      • KCI등재

        天聰年間 홍타이지의 漢人 官員에 대한 회유와 통제

        정병진 만주학회 2020 만주연구 Vol.- No.30

        This study examined Hongtaiji’s ambivalence towards Han officials who had surrendered to the Later Jin. Having succeeded Khan to the throne, Hongtaiji actively appointed Han Chinese, recruited public officers based on these men’s Ming Dynasty statuses, and considering the sum of reparations they paid. He also tried to unify the Manchu-Han, orchestrating marriages between Han officials and the Later Jin ruling classes. He would later manage the increasing number of Han officials systemically and based on the Eight Banners, reforming the government while strengthening his authority. However, he disregarded Han officials’ pleas to engage in reckless military operations against the Ming Dynasty and their criticism of the Jurchen people’s traditions and customs. In essence, Hongtaiji became a symbolic ruler of the northern race and dealt with Han officials with a strong sense of identity. While past narratives focus on Han officials’ roles in the carrying out of internal reforms, at least under Hongtaiji’s reign these explanation is not suitable. 본 논문은 天聰年間 後金에 투항한 한인 관원에 대한 홍타이지의 이중적 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는 후금의 汗으로 즉위한 이후 누르하치에 의해 외면받았던 漢人을 적극적으로 등용하였다. 과거 明에서의 지위와 투항한 이후의 공적을 기준으로 관직을 수여하였으며, 예기치 않은 친지의 죽음에 대해 보상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한인 관원과 후금 지배층간 혼인을 통한 滿・漢의 결합도 시도하였다. 이후 孔有德 등이 투항하자 그들만의 별도 조직도 인정해주었으며, 한인 관원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기존 八旗의 모습을 본떠 체계적인 관리를 시도하였다. 홍타이지는 한인 관원에 대한 통제도 잊지 않았다. 후금의 한인 관원이 증가하면서 그들은 과거 明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각종 변화의 방책이 담긴 上言[上疏]를 올렸다. 이에 대해 홍타이지는 국정의 폐단을 개혁하거나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자는 주장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하지만 그들이 반복적으로 언급한 明에 대한 무모한 군사행동이나 女眞의 전통과 관습에 대한 비난은 힐책의 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한인 관원들이 단체 행동을 통해 자신들의 이익을 요구하자 그들의 목숨을 부지하는 것 자체를 감사히 여기고 국가를 위해 더욱 노력하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즉, 홍타이지는 북방민족 군주로서 강렬한 자의식을 바탕으로 한인 관원을 상대하였다. 만약 한인 관원이 二等民族으로서 자신의 지위를 잊어버리고 정해진 한계선을 넘으면 홍타이지의 엄중한 경고를 맞이하였다. 이와 같은 모습은 북방민족 군주가 유능한 한인 신하의 보좌를 받아 내부의 개혁을 단행하고 문명의 길로 들어선다는 기존 서사가 최소한 홍타이지 시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