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 단위 6차산업화의 추진 방향과 과제

        정도채,성주인,심재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Vol.- No.123

        ◦ 6차산업화 정책 추진 결과, 관련 활동의 양적 성장과 농가 및 농업법인의 소득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여러 가지 개선 과제가 제기 - 6차산업화에 참여하는 경영체의 수가 증가하여 부가가치도 증가하였으며, 6차산업화 참여 경영체의 수익률과 고용창출 효과가 높음. - 외연 확대에도 불구하고, 6차산업화 제품이나 서비스는 소비자 수요에 부응하지 못하며 자생력이 낮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음. - 6차산업화의 질적 성장과 성과 확산을 지속적으로 뒷받침할 현장 중심의 지원이 필요하나 아직도 미비한 실정이어서, 지역 단위 정책 추진체계 정립이 요구됨. ◦ 개별 농가 농외소득 지원에서 지역 단위 6차산업화 확산으로 정책이 전환되는 시점 - 농림축산식품부는 지역 단위 6차산업화를 ʻ특화품목을 중심으로 생산·가공·유통·관광·수출 등에 종사하는 경영체들이 네트워크를 구성, 공동 활동 추진 및 가치사슬 형성 등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지역 단위 시스템ʼ으로 정의하고 6차산업 중심의 농촌 경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그동안 추진한 개별 농가 중심의 6차산업화 정책이 당면한 문제들에 대한 해법으로서 지역 단위 접근의 바람직한 추진 방향을 고민할 필요가 있음. ◦ 선도 사례를 통해 지역 단위 6차산업화 접근 방향 모색을 위한 시사점 도출 -지역 단위 접근은 6차산업화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유효한 전략이며, 지역 내 다양한 주체들이 연계·협력을 이루는 과정에서 지역 내 새로운 부가가치가 축적될 수 있음. - 민간 주체 중심의 자발적 협력 관계가 활발하게 구축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 ◦ 6차산업화를 통해 지역 차원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기본 방향으로 정책 과제들을 제시 - 선도 업체 중심으로 추진해온 기존 6차산업화 모델을 지역 내 협업과 분업 체계 구축방식으로 전환하고 민간 주체들이 주도하는 사업 추진체계를 구축 - 6차산업화 추진 지역들이 다양한 분야의 중앙정부 사업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마련 - 공급 중심의 6차산업화 확대 전략에서 벗어나 6차산업 관련 제품이 차별성 있는 이미지를 형성하고 독자적 시장을 확보하도록 하는 등 소비 기반을 확충 - 6차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도시와 농촌의 파트너십 구축 전략을 마련

      • 농어촌 주민 삶의 질 현황과 과제

        정도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보건복지포럼 Vol.265 No.-

        제3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2015~2019)에서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은 과거 물리적 정주환경 정비에서 발전하여 농어촌 주민과 국민이 체감하는 삶의 질 향상 정책으로 내용과 범위가 확장되었다. 지속적으로 정책을 추진한 결과, 정주생활기반, 안전 부문 등 물리적 인프라 관련 주민의 만족도 및 정주 여건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인구 감소에 따라 서비스가 축소되는 등 지리적 불리함으로 인해 여전히 농어촌 지역의 필수 공공서비스와 생활서비스 환경은 열악하며, 이와 관련한 농어촌 주민의 만족도 또한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주민들은 거주하는 지역의 발전 전망에 대해서도 도시민에 비해 부정적 시각을 가지고 있다.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기존 정책 추진 체계의 내실화와 관계부처의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 농촌 창업 기업의 입지 요인과 네트워크 특성

        정도채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23 地理學論叢 Vol.69 No.-

        농촌에서 다양한 형태의 창업이 증가하고 있다. 정부 및 지자체는 창업을 쇠퇴하는 농촌 산업구조를 개선하고 지역의 활력을 높이는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농촌 창업 기업들의 입지 요인과 생산활동 특성을 분석하여 정책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농촌 창업기업의 주요 입지요인으로 창업가의 개인적 선호, 원료 수급의 용이성, 농촌의 저렴한 지가 등이 꼽혔다. 농촌 창업 기업들은 창업 후 지역 내 거래관계를 형성하고 다양한 지원 네트워크에 참여하면서 지역 산업 구조를 개선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농촌의 불리한 창업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기업들은 지역 외부와의 협력을 확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촌 창업 기업들의 특성을 바탕으로 농촌 창업 정책의 방향으로 예비 창업자의 발굴, 창업 기업 성장 단계별 지원, 다층적 공간 전략 수립, 민간 지원 주체의 육성을 제시하였다.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recognize the increase in startups as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declining industrial structure and increase regional vitality in rural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cation factors and network characteristics of startups in rural areas. The location factors of startups in rural areas are entrepreneurs’ preferences, low land prices, and proximity to raw material companies. Startups in rural areas increase their local transaction networks and innovation networks.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revitalizing the rural economy through the increase in rural startup activities. However, startups point out the poor environment for startup in rural area as problem. Startups grew in rural areas, their networks with entities located in external regions increased.

      • 2021년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

        정도채,박혜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Vol.- No.203

        국민들은 농업·농촌의 중요한 기능으로 ‘식량 공급’을 꼽았으며, 농업·농촌이 공익적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인식 · 도시민과 농업인 모두 농업·농촌이 제공하는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안정적인 식량 공급을 선택함. 조사 결과, 농업인과 도시민의 80% 이상이 향후 국가 경제에서 농업이 보다 중요해질 것으로 인식함. · 도시민 상당수는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조세 부담 의사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남. 도시민의 34.4%는 향후 귀농·귀촌 희망, 거주 형태는 도시와 농촌 복수 거주 선호 · 도시민 응답자의 34.4%는 향후 ‘귀농·귀촌을 희망’하며, 희망 사유로 ‘자연 속에서 건강하게 생활하기 위해서’와 ‘시간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생활을 하고 싶어서’를 가장 많이 선택함. · 귀농·귀촌 시 농촌으로의 영구 이주보다 도시와 농촌 모두에 주거를 두는 ‘복수거점 생활’을 선호함. 농업인들은 생활 수준이 개선되는 것으로 인식, 농업경영 관련 주된 위협요소로 ‘일손 부족’, ‘농업생산비 증가’를 응답 · 농촌에서의 생활 수준이 개선되고 있다고 응답한 농업인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 ‘일손 부족’, ‘농업생산비 증가’가 농업경영에 위협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응답한 농업인 비율이 증가함. 2021년 농식품 주요 이슈로 도시민은 ‘농산물 가격 안정’, 농업인은 ‘농민수당’을 응답 · 도시민과 농업인이 공통적으로 관심이 많았던 농식품분야 이슈는 ‘자연재해’와 ‘기후변화’로 나타남. · 농업인은 전년 대비 ‘농민수당’ 및 ‘농산물 가격 안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

      • KCI등재

        저밀도 경제 논의와 주변부 지역 산업 성장의 특성

        정도채 한국경제지리학회 202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5 No.4

        According to the discussion on the low-density economy in OECD industrial growth in remote area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members’economic recovery from the financial crisis in the mid-2000s. Based on the OECD’s low-density economy this study examines the phenomena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growth in peripheral areas of Korea. The growth of industries in the peripheral areas shows a similar growth characteristics as cases in the OECD members. Various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as well as traditional sectors such as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have grown in the peripheral areas since the mid-2000s. Firms in the peripheral areas form various cooperative networks to overcome the unfavorable regional conditions. The growth of new industries shows the possibility of path-dependent development in the periphery.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n the policies for supporting the diversification of regional industries, setting flexible regional boundaries for policies, and linking policy sectors are derived. OECD는 저밀도 경제 논의에서 저밀도 지역의 경제 성장이 금융위기 이 후 회원국들의 국가 경제 회복을 견인했음을 밝혔다. 이 연구에서는 저밀도 경제 논의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주변부 지역의 산업 성장 추이와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농림어업 등 주변부 지역에 입지하는 전통적인 산업 외에도 국가적으로성장하는 제조업, 서비스업 부문의 성장이 주변부 지역에서 나타났다. 기존 지역 산업의 다각화와 전환을 통해새롭게 산업이 집적하는 지역도 출현했다. 주변부 지역에 입지한 기업들은 지역의 불리함을 극복하기 위해 외부 지역, 주로 광역권 단위의 공간 연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변부 지역의 새로운 산업 출현은 농어촌, 인구감소 지역 등 낙후 지역의 자생적 발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주변부 지역의 산업 육성을 위해, 기존 지역산업의 다각화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 추진, 유연한 공간 단위 설정, 정책 부문 간 연계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