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내용 탐색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교실수준의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한 일(활동)을 바탕으로 초등교사가 발휘하는 교육과정 문해력 내용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9명의 초등교사가 자신의 교실에서 개발한 교육과정 사례(총 9사례)를 수집하고, 사례에 대해 3번 면담을 수행하여, 사례연구리뷰(case study review)를 수행하였다. 이에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내용을 다음과 같이 탐색하였다. 첫째, 초등교사가 교육과정을 개발하면서 하는 일/활동 목록, 총 234개 추출하였다. 둘째, 각 목록을 다시 교사가 발휘하는 능력으로 재진술하고, 이를 3개, 결정력, 창안력, 조정력으로 범주화하고, 각 범주별로 32개의 요소를 탐색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curriculum literacy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ir work (activity) when developing classroom-level curriculums. To this study, it was collected nine units they developed curriculum in their classrooms and interviewed three times on this case. Using this case and the interviews with the cases as research data,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review. Thus,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explored as follows. First, a total of 234 activity-lists were extract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eveloping their curriculum. Second, each list was re-examined with the ability of the teacher, categorized into three, decision-making, creativity, and coordination, and explored 32 elements for each category.

      • 주제 중심의 초등통합교과 교육의 구현 가능성 탐색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주제 중심의 초등통합교과 교육의 구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제4차부터 제7차 교육과정까지 통합교과의 교육과정 총론을 중심으로 초등학교에서 통합교과교육이 하고자 했던 것이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2007년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이를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1, 2학년에 통합교과서 및 통합교육과정을 도입한 궁극적인 이유는 `주제` 중심의 일상적인 수업 문화를 정착시키고자 하는 것이었다. 둘째, `주제` 중심의 교수·학습을 구현하기 위해서 교육과정과 교과서 두 차원에서 조처를 취했다. 먼저 2007년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대주제/활동주제 체제로 개발하여 교과를 넘어서 `주제`를 중심으로 한 통합 가능성을 교육과정 차원에서 조처하였다. 그리고 교과서는 세 개의 통합교과를 통합 지도 할 수 있는 통합단원을 개발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실에 일정기간 동안 하나의 학습 `주제`가 살아 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the Possibility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Based theme. In order to this aims, It was investigated the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from forth to fifth. And this study examined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hildren`s textbook In view of this study results, first,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and subjects was introduced to live theme based learning and teaching in class. Second, For theme based learning and teaching, the 2007 revised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was developed based themes of children`s life. And Integrated textbook was made integrated units of [Disciplinary Life], [Intelligence Life] and [Pleasant Life] integrating. Third, in future, the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would spread this theme based learning and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ing.

      • KCI등재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기반 탐색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교육과정을 자율화하기 위한 학교와 국가 두 차원의 기반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이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지역(시도 교육청과 교육지원청)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교 차원에서는 새교육-열린교육-혁신학교 운동을 해 오는 동안 교사들이 차시나 단원을 재구성하고 개발하는 경험을 축적해 왔다는 점에서, 교육과정을 자율화 하는데 필요한 로컬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해서 실천할 만한 준비를 어느 정도 갖추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국가 차원에서는 그 동안의 교육과정 정책을 교육과정분권화-교육과정 지역화 및 교육과정 다양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해 왔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정책적 기반을 어느 정도 조성해 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은 교육청과 지원청의 역할 초점을 정하고, 교육과정을 자율화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서 작동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oundation of two dimensions: school and country to autonomous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a role that can be played at the local level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education support offices) for the autonomy of the curriculum. First of all, the study found that teachers have accumulated experiences in reorganizing and developing through new education, open education, and innovation school campaigns, And teachers are somewhat prepared to develop and implement local curricula needed to autonomy of the curriculum.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policy foundation for autonomy of curriculum, decentralization of curriculum and diversification of curriculum.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 that the region should focus on the role of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he Support, and play a role in creating and operating a new system that autonomy the curriculum.

      •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차기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기저로서 만하임의 지식 사회학, 듀이의 교과의 진보적 조직, 학교 급별 교육과정의 정체성 연구물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지식사회학이 추구하는 지식은 객관과 주관을 상호 연계한 간주관성으로 교육과정 지식 선정의 기저를 제시하였다. 교과의 진보적 조직이란 학생과 교과의 관계를 기초로 가장 정합성 있는 교과 조직의 형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초등학생과 교과의 관계를 기초로 통합교과의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정체성은 이웃하는 유치원과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연계하면서도 독자적인 교육과정이다. 이런 맥락에서 초등학교교육과정이 학생이 교과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교과에 호감을 갖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는 관점을 취하며, 따라서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은 이런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정체성과 동일한 방향에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둘째, 이 기저를 중심으로 차기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하나는 지식의 간주간성, 상관성을 기저로 지식의 사회적, 집단적, 대중적 협의 과정을 전제로 통합교과의 교육과정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심리사회적 방식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는 교과의 점진적 조직을 기초로 할 때, 저학년에서는 통합교과형이, 고학년에서는 교과통합형이 적절하다는 제안을 하였다. 마지막을 이를 위해서 2007 개정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교과, 개인, 사회의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통합교과 교육과정 주제의 원천을 구비하고,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한 세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대주제를 통일할 때, 향후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보다 개선된 형태로 개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the direction for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developing. In order to this aims, this study researche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On the based them, this study suggested two viewpoints In view of this study results, first,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would developed on basis the sociology of knowledge, progressive organization of subject-matter, and school curriculum study. Second, It was a statement of mutual agreement dating with a social, a group, and a mass for the futur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development. And It is appropriated integrated curriculum approach for lower level of elementary school and in higher level curriculum integration approach. Finally, the future integrated curriculum needs to create a curriculum source study and united the big themes of the current thre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 KCI등재
      • 초등 통합 교과서의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반성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 No.-

        이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 교과서의 일러스트레이션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것이다. 이를 위해서 외국의 1, 2학년 용 교과서들의 일러스트레이션 대비 현행 초등학교 3개의 통합 교과서,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의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을 겉표지, 속표지, 목차, 단원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과서 표지는 교과서 같은 이미지를 넘어서는 일러스트레이션이, 둘째, 보다 기능적인 속표지 일러스트, 셋째, 목차는 교수와 학습 모두에게 유용한 교과서로서의 목차 일러스트를 추구 할 필요가 있었다. 넷째, 통합교과서의 단원은 단원 학습의 주제 도입과 마무리를 명시적으로 일러스트하는 것, 마지막으로 저학년 교과서의 표현이 전반적으로 학생의 취향을 고려하되, 학습의 방법, 절차, 안내를 단적으로 세세하게 표현하는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 방향을 모색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flection view-points on better illustration of integrated subject-matter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this aims, it was compared Koreans with foreign countries` text books for grade 1, and 2. which are USA, UK, Japanese, Franches, Germans Singapore, Pakistani. The comparative reference are cover design, the front page, the contents table, and chapter folding. By the consequence, first, the cover design of text book have to overcome image as like subject-matter. Second, more functional front page needed. Third, the contents table as a text book have to more useful illustrate for all of teaching and learning. Forth, the opening and ending section must clearly be expressed in the integrated-text-book. Final, we have to think the intention of illustration of text book for grade 1 and grade 2 reflected student interests and learning steps, method, procedures, and introduces of learning and teaching

      • KCI등재

        초등학교 1, 2학년 교과서 분석

        정광순 ( Kwang Soon Jeong ),이원희 ( Won Hee Lee ),황미향 ( Mi Hyang Hwang ),김남균 ( Nam Gyun Kim ),신재한 ( Jae Han Shin ),김정희 ( Jung Hee Kim ),송인자 ( In Ja Song ),이지은 ( Ji Eun Yi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data for textbook`s correcting and to suggest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m. To this purpose, it was analyzed thirty-six textbooks of first and second grade which are Language Art, Math,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and Pleasant Life based on fourteen criteria. On the results, first, on external system of textbook, five subjects, all was followed guidelines for governmental action. Textbook`s cover expressed subject`s nature and strong, the design was polished, familiar to students. Textbook`s writers mainly were living in Seoul or GyongGi local area(47.0%), participated a lot of teachers(61.8%), and more high 10 percentage male than female. On internal system of textbook by basis on Johnson`s checklists of twelve, they make a factor satisfactory in lesson area. However the introduction and finishing area of textbook was meager components they are no preface, index, references, glossary, appendix and so on. Second, Five subjects, all was high facilities to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Gender influence was steadily getting better in appearance ratio, genderrole, job area, but it was need to improve a level about 4%. Third, it was about 14% of textbook`s contents needed correction in side of fitness, appropriateness, and the right time.

      • KCI등재

        교육적인 것의 의미 고찰 -van Manen의 해명을 중심으로-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van Manen이 해명한 ``교육적인 것``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교사는 어떤 사람인지, 교사가 하는 교육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그래서 교사교육을 어떻게 해야 하고, 교육학이 축적해야 할 지식이 어떤 지식인지 등의 질문을 van Manen이 어떻게 해명하는지를 밝혔다. 연구 결과, van Manen의 ``교육적인 것``은 교육이 분위기를 타는 활동이며, 교육학 및 교사교육은 교육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교사가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떻게 개입해야 하는지를 알려 주는데 필요한 교육을 해야 한다고 논의하였다. 이에 본 고찰을 통해서 현상학적 해석학자로서 van Manen의 교육적인 것은 교육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일이며, 이것을 그는 Pedagody에 대한 해명 과정에서 제시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the interpretation of pedagogy by van Manen. This study investigated van Manen`s interpretation of educational phenomenology regarding who teacher is, what teaching is, how to educate teachers, and what educational knowledge is. As a result, first, it discussed that van Manen`s pedagogical is atmosphere activity that guides teachers how to think and behave in learning situations. van Manen as a phenomenological interpreter suggested what we should research, what educational(pedagogical) knowledges are through explaining teacher`s intervention in place where teaching and learning are in progress. And it was recognized that pedagogical atmosphere is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pedagogy.

      • KCI등재

        Schwab의 the practical에 대한 국내 연구자들의 이해와 오해

        정광순(Jeong, Kwang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9

        본 연구는 Schwab의 the practical 관련 국내 연구 논문 10편을 리뷰하여, Schwab의 the practical에 대한 국내 연구 논문들이 갖고 있는 경향성과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점들을 밝혔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 Schwab 연구의 경향을 두 가지, 하 나는 Schwab의 the practical을 리뷰하여 의의, 시사점을 찾는 소개형과 한계 및 비판점을 고찰하고 대안을 제시하거나, 확산적 논의를 한 연구형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국내 Schwab 연구 논문을 통해서 Schwab의 the practical을 접하는 독자들에게 이를 잘못 알도록 할 여지가 있는 점을 두 가지 찾았다. 독자들은 첫째, the practical을 이론과 대비적으로 잘못 알게 될 가능성, 둘째, 절충, 숙의 등의 개념에 대한 Schwab의 설명에 부족하고 모호하다고 여길 가능성이 있었다. This study reviewed studies done in South Korea regarding Schwab’s the practical, explored common misunderstandings made by readers, and then explained what are the misunderstandings based on Schwab’s papers (1969, 1971, 1973, 1983). The subjects of this were dominant 10 papers of Schwab. The results was two following. First, tendencies of dominant studies about Schwab were a introductory which reviewed the practical of Schwab and then suggested his purpose or meanings, or research which explored from critical point of view and then suggested third ways to improve the problems or discussed with extended views. Second, this paper found two most possibile misunderstandings that were made by readers who encountered Schwab’s the practical from dominant studies about Schwab. One is that the practical is contrasting with the theory, and the other is that there are not enough explanations or given accounts are too obscure to fully understand the key concepts such as eclectic of art or delib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