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졸 후 후기 청소년의 진학 및 취업 유예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하람(Jeon, Haram) 한국교육사회학회 2018 교육사회학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의 삶 만족도에 고졸 후 진학 및 취업을 유예하는 것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질적 처치효과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통계적인 검증을 하는 데 주 목적이 있다. 한국 아동청소년패널 조사 중 2016년 2월 고등학교를 졸업한 중1 패널 1,629명을 활용하여 고졸 후 진학 및 취업 유예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을 적용해 규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경향점수를 도출하여 처치 전 이질성, 즉 선택편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에 더해 진로선택 유예 가능성에 따라 진학 및 취업 유예가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것이라는 처치효과의 이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질적 처치효과 분석기법 중 층화-다층 모형(Stratification-Multilevel Method)을 활용하여 경향점수에 따른 처치효과 크기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고졸 후 진학 및 취업 유예는 남학생, 직업계고등학교 졸업생, 교육포부가 낮은 청소년, 도시 거주 청소년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리고 진로유예는 후기 청소년 삶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진로유예가 삶 만족도에 미치는 부적 효과는 진로유예 가능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가능성이 높은 집단에서 유의미했고 그 부적 효과의 크기도 진로유예 가능성 증가에 따라 커지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후기 청소년 중 진로유예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추가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clarifying the impact of the postpone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after high-school graduation on life satisfaction among late adolescents, employing 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 analysis.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1,629 high-school graduates were analyzed to address the determinants of the postpone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in order to estimate propensity scores. With the propensity score analysis, stratification-multilevel method for 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 hypothesis was conducted. 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much stronger associ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the postpone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among the group who were more likely to postpone their careers after high-school graduation than among other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adolescents who are men, graduated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no college aspiration, and live in urban areas were more likely to postpone their decision-making on careers than their counterparts, respectively. And the postpone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mong late adolescents and particularly the negative effect was stronger among the group showing higher propensity scores of being treated into the postponement of their career.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ddress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 KCI우수등재

        교사는 학생에게 의미 있는 존재인가? 교육포부 수준에 대한 교사의 영향력 차이(2004년과 2016년)를 중심으로

        전하람(Jeon, Haram)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4

        공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교원 전문성 및 현장역량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교사가 학생에게 의미 있는 타인으로서 학생들의 교육포부를 제고하는 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영향력이 2000년대 중반에 비해 2010년대 중반에 감소 또는 증가했는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교육고용패널 1주기 1차년도(2004년) 자료와 2주기 1차년도(2016년) 자료를 통합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점별 의미 있는 타인으로서의 교사에 대한 인식과 교육을 통한 사회이동의 의지를 반영한 교육포부 간의 관계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를 의미 있는 타인으로 인식하는 정도는 2004년에 비해 2016년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의미 있는 타인으로서의 교사에 대한 인식은 대학교 졸업 미만을 희망하는 집단과 대학교 졸업을 희망하는 집단 간에는 의미 있는 타인으로서의 교사에 대한 인식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이와는 달리 교사의 영향력은 대학교 졸업에 비해 대학원 이상 진학을 희망하는 높은 교육포부를 가질 가능성을 보이는 데 정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원 진학 이상의 높은 교육포부를 가질 가능성에 대한 교사의 영향력은 2004년에 비해 2016년 그 크기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교원의 전문성 강화 노력과 함께 전문성을 갖춘 교사가 학생에 대한 유의미한 교육적 효과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학생과의 유기적 관계 형성 및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환경을 도모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언하였다. With the emphasis on teacher expertise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eache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nhancing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whether their influence decreased or increased in the mid-2010s, compared to the mid-2000s. By pooling the data from the base year of the Korea Education Employment Panel I (KEEP I; 2004) and the data from the base year of KEEP II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aspirations and student perceptions of teachers as significant influencers was analyzed, employ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etho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eachers as significant othe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2016 than in 2004. Second, teachers did not significantly boost educational aspirations among students who did not have college plans. Third, teacher influence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students aspirations for graduate studies. Fourth, the degree of teacher influence on increasing the aspirations of students for graduate studies was lower in 2016 compared to 2004.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부모의 교육적 관여로서의 사교육 참여여부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확산 전후 비교

        전하람(Haram Jeon),이현주(Hyunju Lee),김가영(Gayoung Kim)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사교육 참여가 보편화된 한국 사회에서 사교육이 부모의 교육적 관여를 반영하여 자녀의 생활시간 관리 및 감독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정을 설정하고, 사교육 참여여부가 청소년의 삶에 가장 큰 부분을 차지고 있는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교육 참여가 스마트폰에 미치는 영향이 학교교육이 축소되고 사적영역이 확대된 코로나19 확산 이후에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 중1패널의 2차년도(2019년)와 3차년도(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OLS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 참여는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감소시키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교육 참여여부와 스마트폰 사용시간 간의 관계가 코로나19 확산 이전과 이후에 차이가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과는 달리 확산이 본격화된 2020년에는 관련 독립변수를 고려한 후에 사교육 참여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사라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셋째, 사교육 참여 외 부모의 교육적 관여 변수는 2019년에 비해 2020년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사교육 참여와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 간의 관계의 강건성 검증을 하였고, 두 변수 간의 관계 및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계의 변화가 실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같은 자녀의 삶에 있어서의 사교육 효과의 검증 필요성, 공교육의 축소에 따른 사교육 효과의 변화, 사교육으로 인한 교육불평등의 해소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Assuming that shadow education, as a tool of parental involvement, can play a role in managing and supervising adolescents’ time,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shadow education on adolescent smartphone usage time was analyzed.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imate smartphone usage time using data from the second and third years (2019-2020)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smartphone usage tim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and smartphone usage time differed before and after the spread of COVID-19. Third, parental involvement variables other than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showed a stronger effect on the decrease in smartphone usage time in 2020 than it did in 2019. Based on these results, the usefulness of shadow education in time management and the effect of shadow education due to changes in public schooling are discussed, and policy suggestions are made.

      • KCI등재

        성인의 학습준비도와 청소년기 학습흥미도 간의 관계 국제 비교: PIAAC과 PISA의 활용

        전하람(Haram Jeon),이경양(Kyoungyang Lee),임은희(Eunhee Lim),윤민주(Minju Yu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9 No.4

        본 연구는 평생교육 참여 활성화를 위해 중요한 태도인 성인의 학습준비도(Readiness to Learn; RtL)를 결정하는데 있어 청소년기 학습흥미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국제 성인역량평가(The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에서는 한국 성인 학습자들이 다른 참여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습준비도가 낮음을 보고한 바 있다. 성인의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 및 국가 수준의 변인 중, 본 연구에서는 국가 아비투스(National habitus)의 개념을 적용하여 청소년 시기의 학습흥미도가 성인이 되었을 때의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PIAAC 2011년 조사에 참여한 9개국(노르웨이, 덴마크, 미국, 스웨덴, 아일랜드, 이탈리아, 체코, 핀란드, 한국)의 25~34세 7,742명을 대상으로 PISA 2000에서 수집된 15세 청소년기 읽기 및 수학 흥미도 국가 평균점수가 성인의 학습준비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다층모형(Multi-level regression modeling)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 및 국가 수준의 통제변수를 고려한 후에도 청소년기의 국가 평균 읽기 및 수학 흥미도가 성인 개인의 학습준비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이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국제비교 분석에서 꾸준히 제기되어 온 한국 청소년의 낮은 학습흥미도가 성인의 학습준비도 저하 등 평생학습 참여 활성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o observe whether the adolescent learning intere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termining adult learning readiness (RtL), which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attitude to promote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The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 reports that Korean adult learners are relatively less prepared to learn than the equivalents in the participating countries. Among the variables at the individual and national level that can determine the level of RtL, this study applied the concept of national habitus to examine the long-lasting effect of adolescents’ learning interests on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level of RtL in adulthood.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national average of reading and math interest in adolescents aged 15 collected in the PISA 2000 on their RtL of 7,742 people aged 25 to 34 from 9 countries who participated in the 2011 survey, employing multi-level regression model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ven after considering the control variables at the individual and national level, the national average reading and math interest in adolesc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earning readiness of adult individual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pointed out that the low learning interest of Korean adolescents, which has been steadily noticed in comparative studies in education, had a negatively effect on RtL and consequently the participation rate in lifelong learning among adults. As conclusion, relevant theore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평생교육 연구에서의 삶의 질 개념 활용에 관한 문헌 고찰

        윤민주 ( Minju Yun ),전하람 ( Haram Jeon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국내에서 수행된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평생교육에서 삶의 질을 어떻게 개념화하여 측정하고 있는지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삶의 질 개념 활용의 문제를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한다. 연구 방법: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지난 20년간 국내에서 수행된 총 35편의 양적연구 논문을 통해 삶의 질의 개념, 측정, 평생교육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 관해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평생교육 분야에서 삶의 질을 측정한 국내 양적연구들의 일반적 특성 및 삶의 질의 조작적 개념, 삶의 질 개념의 하위 구성요인 및 문항을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삶의 질은 주관적 지표를 중심으로 개념화되고 있었다. 유사 개념으로 행복, 삶의 만족도, 안녕감 등의 용어가 혼용되는 경향과 함께, 주관적 삶의 질은 인지, 정서, 심리적 요인의 포함 여부에 따라 삶의 만족도,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었으며, 이 중 삶의 만족도를 삶의 질의 대리변수로 활용한 연구가 다른 유형보다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분야에서 정서, 심리적 요인 등을 포함한 복합적 지표를 활용한 삶의 질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평생교육 관련 국가 데이터 등의 보완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how Quality of Life (QoL) is conceptualized and measured in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diagnose the problem of using the concept of QoL and suggest alternatives. Us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35 quantitative research published in Korea for the past 20 years was selec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quantitative studies measuring QoL in lifelong education, the concept of QoL, and the sub-components and questions of QoL were analyzed. QoL was conceptualized based on subjective indicators. Terms such as happiness, satisfaction, well-being were used interchangeably without being clearly distinguished. The concept of subjective QoL can be categorized into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whether cognitiv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were included, and many have measured lif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QoL research using complex indicators includi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lifelong education, and for this supplement national data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 KCI우수등재

        9시 등교 정책이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피로도에 끼친 영향

        심재휘(Shim, Jaehwee),전하람(Jeon, Haram),김경근(Kim, Kyung-keun) 한국교육학회 2019 敎育學硏究 Vol.57 No.4

        본 연구는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중차분법을 통해 2014년 9월 경기도에서 시행된 9시 등교 정책이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일과 후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정책 시행 이후 청소년의 수면시간은 일시적으로 늘어났으나 시간의 경과와 함께 청소년이 늦어진 등교 시간에 적응하면서 다시 정책 시행 이전과 유사한 수준으로 회귀하였음을 보여준다. 청소년의 학습시간은 수면시간에 유의미하게 부적 영향을 끼쳤으며, 9시 등교 정책이 수면시간에 발휘하는 효과는 학습시간의 조절을 매개로 발생할 개연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책 시행 이후청소년이 체감하는 일과 후 피로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는데, 수면시간과는 달리 피로도 감소 효과는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유의미하게 유지되었다. 이는 9시 등교 정책이 청소년의 취침시각과 기상시각을 연쇄적으로 뒤로 미루는 조정 과정을 가져옴으로써 청소년이 낮 시간대를 덜 피곤하게 보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9시 등교 정책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effect of ‘school start at 9’ in Gyeonggi province since September 2014 on sleep hours and tiredness among adolescents, employing the difference in differences (DID) analysis. 2014 Time-use Survey in Korea administered by Statistics Korea was used to conduct the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e immediate increase in sleep hours right after introducing the delayed school start time. However, the policy effect became non-significant in three months since the policy introduction because adolescents adjusted their life-cycle to school start time at 9. Study hours had a negative effect on sleep hours, and thus, we speculated that the effect of the delayed school start time on sleep hours was likely to be mediated by the adjustment of study hours. Tiredness adolescents fel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delayed school start time, and the policy effect on tiredness was still effective after three months since policy introduction. The results may be because delayed school start time had led their bedtime and wake-up time more appropriate to typical biorhythm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서울시 고교생의 대학입학전형 영향요인 분석

        이기혜(Yi, Kihye),전하람(Jeon, Haram),최윤진(Choi, Yunji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7 교육과학연구 Vol.48 No.3

        After introducing the College Admission Simplification Policy, there has been debate about whether general admission or the Comprehensive School Report (CSR) admission is a better system. Specifically, some believe the CSR maintains its positive impact on enhancing public education with curricular diversity and in selecting promising students. On the contrary, others doubt its fairness and reliability and criticize this new policy for excessively burdening students and their parents with application prepar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s of family background, educational setting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n choosing a specific admission type. Using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 data, results showed that living in an educationally privileged are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the likelihood of choosing the CSR type but household income and parental education were not significant. Next, the analysis found significance in the association betwee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college admission type choice. More proactive participation in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and higher level of career maturity were related to higher likelihood to get admitted by colleges through the CSR type. Lastly, parental support for students’ educational and career development had mixed impacts on choosing admission types. Parents who spent more on private tutoring services were more likely to choose the CSR type. However, parental effort to participate in college fairs and paid consulting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admission type choice.

      • KCI등재

        지도교수의 대학원생 지도 유형과 대학원생의 학업중단 의사 : 전공계열별 분석

        전재은 ( Jon Jae-eun ),전하람 ( Jeon Haram ),이희영 ( Lee Heeyoung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지도교수의 대학원생 지도유형과 대학원생의 학업중단 의사 간 관계가 전공계열별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원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27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인문사회계열의 지도유형은 ‘학문 및 정서적 지지’와 ‘억압 및 착취’ 유형, 자연공학계열의 지도유형은 ‘학문적 지지’, ‘정서적 지지’, 그리고 ‘억압 및 착취’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공학계열 모두 ‘억압 및 착취’ 유형이 대학원생의 학업 중단 의사를 강화하고, 자연공학계열에서는 ‘학문적 지지’가 학업 중단 의사를 약화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또 자연공학계열에서 대학원생이 연구실 등에서 공동생활을 할 경우 학업중단 의사가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원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graduate advisors’ advising typ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graduate students’ intent to drop out by the field of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276 graduate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Korean higher education. Results showed that advising typ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nsist of ‘academic and affective support’ and ‘oppression and exploitation,’ and those in science and engineering ‘academic support,’ ‘affective support,’ and ‘oppression and exploitation.’ In both fields of study, ‘oppression and exploitation’ tended to increase the intent to drop out, but in science and engineering ‘academic support’ tended to reduce it. In addition, in science and engineering, their graduate school life with other colleagues in a shared place such as a laboratory tended to show the lower level of intent to drop out.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vided implications for graduate education.

      • KCI등재

        중학학력 인정과정 성인문해학습자의 학습참여와 지속에 관한 사례연구: Cross의 반응-연쇄 모형의 적용

        이경양(Kyoungyang Lee),전하람(Haram Jeon)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21 평생학습사회 Vol.17 No.1

        This study aims to describe adult learners’ experiences in literacy education programs comprehensively. They gained a middle-school diploma and uncovered the meanings and contexts underneath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of participating in literacy education and continuing the education. To this end, we employed a case study, applying the Cross’ Chain-of-Response Model to interpret the continuity of learning experiences in middle school accreditation courses of literacy education. As a result, participants expressed regret over the missed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tried to overcome the oppressed lives through participating in primary literacy education. After the introductory course, they continued learning with middle school accreditation courses. The successful learning experiences enabled them to positively evaluate themselves and thus design their future with lifelong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