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하부 운동신경원 손상 기간이 Mivacurium 의 작용발현 및 회복에 미치는 영향

        전진영,김성년 대한마취과학회 2000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38 No.3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s of mivacurium on onset and recovery were affected by the duration of more than 2 weeks after injury of the lower motor neuron in rabbits. Methods :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The control group was without lower motor neuron injury,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lower motor neuron injury was made by denervating with a 75 ―80% lesion on the common peroneal nerve to the right anterior tibialis muscle.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subdivided as 1, 2, 3 and 4 week groups (named group 1 wk, 2, 3 and 4 wk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denervation of the common peroneal nerve. The response relationship of mivacurium on the muscle twitches induced by TOF (train of four) stimulation (supramaximal stimulus of 0.2 ms duration, squarewava pulses, 2 Hz rate and 10 mA, repeated every 10 seconds) was studied in the anterior tibialis muscles and compared between all groups. Neuromuscular responses (onset, recoverytime to T1(1), T1(25), T1(75), T1(95) and recovery index) of muscle twitches to intra venous mivacurium (0.18 mg/kg) were studied. After recording the muscle twitches, macroscopic findings were observed. Results : The recovery time, T(1) of group 4 wk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of group 1, 2 and 3 wks (P $lt; 0.05), but not different frorn the control group. The recovery time, T1(25), T1(75) and T(95) of group 4 wk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of all other groups (P $lt; 0.05), but the onset times of all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covery index of group 4 wk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 $lt; 0.05), but those of groups 1, 2 and 3 wk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mass of the anterior tibialis muscl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4 weeks after the lower motor neuron injury (P $lt; 0.05). Conclusions : Our results therefore suggest that the neuromuscular response to intravenous mivacurium on recovery in rabbits becomes prolonged according to the durations of the denervation and represents sensitivity at 4 weeks after the lower motor neuron injury. (Korean J Anesthesiol 2000; 38: 309 ~ 517)

      • KCI등재

        우울 개선을 위한 국내 산림치유프로그램 유형 분석

        전진영,강시내,김진건,연평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im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s for patients with depression in the future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forest therapy programs related to depression in Korea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compositional activities. In order to analyze depression-related forest therapy programs, as a result of collecting thesis and winners of the program and forest therapy program competition developed by the Korea Forest Welfare Institute from 2008 to 2020, 49programs and 249 detailed programs were derived. The subject, activity goal, activity type, therapeutic approach, five senses, season, activity period, activity time, and activity loc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urvey for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en composing depression-related forest therapy program activities, the subjects were those with COVID-19 symptoms and those with each life cycle, and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reas were considered the most. As for the activity type, physical activity was most frequently used, psychotherapy was the most applied as the therapeutic approach, and various therapies were included, not just monotherapy, especially in programs that used two therapies simultaneously. Tactile elements are the most widely used as the five senses elements, most programs were operated in spring, summer, and autumn in the season, and the activity period and time were organized to take less than 120 minutes as multiple-time programs. Most activity sites were conducted outdoors using forest roads, and non-face-to-face programs were also develop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so far, depression-related forest therapy programs have been conducted for all ages who are likely to complain of depression or be exposed to depression rather than for patients suffering from depression.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considered that a multi-faceted study is needed so that forest therapy programs suitable for depressive patients can be conducted through special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s. 본 연구는 우울 개선을 위한 국내 산림치유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고 활동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우울증 환자를 위한 산림치유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울 관련 산림치유프로그램 분석을 위해 국내 학위논문과 2018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산하기관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및 산림치유프로그램 경진대회 입상작을 대상으로 수집한 결과, 49개의 전체프로그램과 249개의 세부프로그램이 도출되었다. 조사양식에 따라 대상자, 활동 목표, 활동 유형, 6대 요법, 오감, 계절, 활동 기간, 활동시간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울 관련 산림치유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대상자는 코로나 블루 증상자 및 생애주기별 대상자가 많았으며, 활동목표는 심리·정서적 영역이 가장 많이 고려되었다. 활동유형은 신체활동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6대 요법으로는 정신요법이 가장 많이 적용되었다. 프로그램 개발 시, 단일요법만이 아닌 다양한 요법이 포함되었는데 특히 2개 요법을 동시에 활용하는 프로그램이 많았다. 오감요소로는 촉각요소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계절은 봄, 여름, 가을에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활동기간 및 시간은 다회기성 프로그램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120분 이하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활동장소는 대부분이 숲길을 활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비대면 프로그램도 개발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우울 관련 산림치유프로그램은 우울증을 겪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기보다 우울감을 호소하거나 우울증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전 연령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므로 향후에는 우울증 환자에 적합한 산림치유프로그램 개발의 전문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다면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역대 국회의장의 제도적 권한 및 당파적 역할의 변화와 지속

        田眞英 한국의정연구회 2018 의정논총 Vol.13 No.1

        이 논문은 제헌국회 이래 70년의 의정사를 대상으로 국회의장의 제도적 권한의 변화와 실질적인 역할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오랫동안 국회의장은 주로 집권여당인 다수당의 당파적인 이익을 충실히 대변하는 역할을 해 왔는데, 이는 불편부당한 중립적 중재자라는 국회법이 설정한 이상적인 역할과는 상충하는 것이었다. 제헌국회 이후 국회의장 권한의 약화 또는 강화는 국회 내부의 필요나 동력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집권세력에 의한 개헌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국회의장의 제도적 권한은 제2공화국에서 약화, 제4공화국에서 강화, 제6공화국에서 약화되는 특징을 보이는데, 제4공화국에서 강화된 국회의장의 권한은 유신체제의 뒷받침을 위한 것이었다. 민주화 이후 국회인 제13대 국회부터 국회의장의 직권상정 권한이 엄격하게 제한된 제19대 국회 이전까지 국회의장이 다수당의 당파적 이익을 대변할 수 있었던 중요한 수단은 직권상정 권한이었다. 당파적 지도자로서 국회의장의 역할수행은 의장의 당적이탈 의무가 국회법에 명문화된 이후로도 계속되었다. 국회의장단에 대한 불신임안(사퇴권고결의안) 제출과 권한쟁의심판청구 등은 이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최근 들어 국회의장이 과거와 달리 다수당 의원총회에서 경선을 통해서 선출되고, 직권상정 권한은 엄격히 제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회의장이 처해 있는 딜레마는 여전하다. 즉 여전히 국회의장은 법제도적이고 규범적인 차원에서는 중립적인 중재자로서 역할수행이 기대되지만, 현실정치에서는 당파적인 역할수행을 요구하는 압력 하에 놓여있다. 국회의장이 처해 있는 다양한 정치적 요인들을 고려할 때 과연 어떤 역할모델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change of Speaker’s institutional power and partisan role since the 1st National Assembly. For a long time, especially under the authoritarian regime, Speakers represented the ruling party(always majority party)’s interest, so acted as a partisan leader. This was possible due to the Speaker selection process of presidential choice. After National Assembly Act was revised in 2002, Speaker should defect from his party right after election, but in real politics Speaker has been under the pressure to act as a party leader. Speaker’s discharging power has been the main ways and means to represent the legislative interest of majority party after the 13rd National Assembly and even after 2002. Frequent submission of the no-confidence motion and adjudication on jurisdiction disputes against Speaker by the minority party can be the evidence of the partisan role of the Speaker. Recently, Speaker has been elected through the competing election in the majority party’ caucus, which gives the Speaker the prestige and legitimacy. But still Speaker is under conflicting pressure between partisan leader and neutral moderator. It’s time to introspect which is proper model considering diverse political factor such as president-legislature relation, legislative party system, and Speaker’s institutional power.

      • KCI등재

        연구논문 : 국회 입법교착의 양상과 원인에 대한 분석

        전진영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1 의정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민주화 이후 국회에서 반복되고 있는 입법교착의 양상과 원인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회 입법교착의 전형적인 양상은 쟁점법안을 둘러싼 원내정당간 갈등이 국회법과 같은 공식적 규범이 정한 원칙과 절차에 따라 해결되지 못하고, 소수당의 의사일정 거부나 회의장 점거로 인해서 의사파행으로 이어지고, 결국 다수당의 단독강행처리로 귀결되는 것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입법교착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당파적인 요인, 제도적인 요인, 법안의 정책적 특성 요인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는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회 입법교착은 집권당이 국회에서 다수당 지위를 차지하는 정치환경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압도적이었다. 이 연구가 입법교착 상태에 빠진 경우로 정의한 해당법안 중 분점정부 상황에 해당되는 경우는 1%에 지나지 않았다. 둘째, 국회 입법교착의 배경에는 민주화 이후 국회운영의 기본원리로 자리잡게 된 원내교섭단체간 ``협의제``와 최종적인 의사결정방식으로서 다수제간의 긴장이 존재한다. 그리고 국회의장 1인 단독으로 상임위원회의 법안심사권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국회의장 직권상정제도는 단기적으로는 입법교착의 타개수단으로 기능하였지만, 직권상정을 통한 법안처리 이후 보다 심각한 의사파행을 초래하고 원내갈등을 심화시켰다. 또한 강한 정당기율과 높은 정당응집성 역시 국회입법교착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마지막으로 입법교착에 빠졌던 법안들의 정책분야를 분석한 결과 노동정책, 조세정책, 지역개발정책이 많았으며, 대부분 대통령이 주도한 정책의제였다. 이는 국회 입법교착이 단순히 원내정당간 갈등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정치의 고질적인 문제인 불균형적인 의회와 대통령간의 문제를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Sensor array optimization techniques for exhaled breath analysis to discriminate diabetics using an electronic nose

        전진영,최장식,유준부,이해령,장병국,변형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8 ETRI Journal Vol.40 No.6

        Disease discrimination using an electronic nose is achieved by measuring the presence of a specific gas contained in the exhaled breath of patients.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e presence of acetone in the breath of diabetic patients. These studies suggest that acetone can be used as a biomarker of diabetes, enabling diagnoses to be made by measuring acetone levels in exhaled breath. In this study, we perform a chemical sensor array optimizat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n electronic nose system using Wilks’ lambda, sensor selection based on a principal component (B4), and a stepwise elimination (SE) technique to detect the presence of acetone gas in human breath. By applying five different temperatures to four sensors fabricated from different synthetic materials, a total of 20 sensing combinations are created, and three sensing combinations are selected for the sensor array using optimization techniques. The measurements and analyses of the exhaled breath using the electronic nose system together with the optimized sensor array show that diabetic patients and control groups can be easily differentiated. The results are confirm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 KCI등재

        In the hour of Sugammadex

        전진영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3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64 No.1

        Sugammadex is a modified gamma-cyclodextrin which is showing favorable outcomes regarding reversal of neuromuscular blockade, especially by rocuronium. It is designed to encapsulate rocuronium and being considered a new class of drugs as selective relaxant binding agents. It has given countless benefits to the patients at risk of incomplete or delayed recovery after neuromuscular block and has renown for another milestone in anesthesia practice. Recurrence of neuromuscular block has not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the provided doses of sugammadex that are adequate for selected for reversal. Acceptable profiles are brought to light telling safety of sugammadex. However, some questions related to the twitch characteristics those resembled succinylcholine when reversal, the application for rocuronium anaphylaxis, and the hypersensitivity or anaphylaxis to sugammadex remain and are need of further investigation. It is imperative that potential problems that we need attention may include the patient’s history of pulmonary disease and allergic disease for using sugammadex.

      • KCI등재
      • KCI등재

        냉면전문점의 서비스품질, 신뢰,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 간의 구조관계 연구

        전진영,유영진 한국관광학회 2015 관광학연구 Vol.3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rvice quality of cold noodle restaurants, trust,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package programs of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lassified service qualities into responsiveness, tangibles, empathy and assurance. Among service qualities, responsiveness, tangibles, empathy and assura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rust. Second, among service qualities, responsiveness, tangibles and empath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Third, trust and custom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oyalty. 본 연구의 목적은 냉면전문점 이용고객들이 지각하는 서비스품질을 파악하고, 냉면전문점 서비스품질이 신뢰와 고객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신뢰와 고객만족은 고객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 IBM SPSS Statistic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냉면전문점의 서비스품질은 반응성, 유형성, 공감성, 확신성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서비스품질과 신뢰와의 관계에서 서비스품질의 4가지 요인 모두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서비스품질 중 반응성, 유형성, 공감성 요인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확신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와 고객만족이 고객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신뢰와 고객만족은 모두 고객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