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인권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전제철 ( Je Cheol Jeo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1

        한국식 다문화 교육은 한국의 다문화 상황에 적합해야 한다. 한국의 다문화 상황은 미국이나 캐나다와 같은 전통적인 다민족 사회도 아니고, 서유럽에서와 같이 본격적인 문명의 충돌이 일어난 것도 아니다. 최근 들어 한국 사회에는 북한이탈주민과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유입의 증가와 이들과의 결혼으로 인한 다문화 가족이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도 그 비율이 전제 인구 대비하여 매우 낮고, 그들의 대부분이 사회적 소수자나 약자에 해당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한국식 다문화 교육에서는 사회적 소수자나 약자를 적극적으로 배려하는 적극적인 다문화 인권교육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전제하여 최근에 고시된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해 보면, 아직도 소극적 의미의 다문화 인권교육만이 강조되고, 적극적 의미에서의 다문화 인권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다문화 사회에서는 적극적 다문화 인권교육이 결여되지 않도록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hereafter Korea) must be suitable for Korean multicultural situations. Korea is not same as America or Canada where a wide range of racial and ethnic groups and their cultures co-exit. In addition, Korea has a different multicultural situation from Western Europe which went through the clash of civilizations. The number of immigrants, foreign workers, internationals marriage, and refugees from North Korea in Korea is increasing, but the percentage of them compared to the total Korean population is still low. These minority groups are second-class citizens in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has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y are considered as second-class citizens. The naive multiculturalism would be premature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because the percentage of immigrants is still low, and the immigrants are second-class citizen in Korea. The multicultural policy in Korea requires positive discrimination taking into the mind the fact that the percentage of immigrants is still low and the immigrants in Korea are second-class citizen. S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should draw consent to positive discrimination from the majority of people. That is why the multicultural human-rights education is important in social studies education. But,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s negligent of multicultural human-rights education. The multicultural human-rights education having positive discrimination must be complemented with in the Korean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 KCI등재

        정부규제 실패의 관점에서 본 상수도 공급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전제상(全濟相) 한국공공관리학회 2019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상수도 관리의 정부 실패 문제점을 정부규제에 의한 산업경쟁력 약화, 동태적 비효율성 그리고 소득재분배의 불평등성을 통해 규명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는 수도법에 상수도는 광역상수도와 지방상수도로 이분화 되어 있으며, 공기업인 한국수자원공사와 지방자치단체가 각각의 사업자로 지정되어 상수도를 운영·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시장경제의 특성인 자율적 경쟁 없이 중앙정부의 일률적인 감독 하에 운영관리 됨으로써 민간의 연관 산업이 낙후되어 세계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물 산업경쟁력이 약화되었고, 상수도운영관리의 관료제적 비효율성으로 인해 동태적 비효율성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리고 소규모지자체는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지 못해 수돗물 원가관리 실패로 지역 간의 소득재분배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 도시와 농어촌간의 수도요금의 차이가 클 뿐만 아니라 먹는 물의 물리적 품질과 서비스 품질의 차이가 현격하여 농어촌 지역으로 갈수록 높은 수도요금을 내면서 서비스의 질은 현격히 낮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정부실패의 세 가지 관점에서 다양한 예시를 통해 현 상수도 규제정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신규교사의 임용시험 선발관리의 한계와 개선방향

        전제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6 敎育論叢 Vol.53 No.2

        흔히들 교육의 질은 교원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말과 같이, 신규교사의 임용시험에 있어서 선 발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교원은 교직전문가로서 적합한 인재가 선발될 수 있도록 선발관 리의 전문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신규교사 임용시험 선발관리의 주체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이의 적합성 등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신규교사 임용시 험 관리 운영 실태와 문제점, 쟁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전문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중심의 운영에 의한 문제점으로는 신규 임용 시험 관리 기능에 초점, 2차 시험 채점에 대 규모 인력과 예산이 과다 소요, 신규교원 임용시험 참여로 고유 업무 수행 곤란, 신규교원 임용 시험 관리체제의 탄력적 대응 한계 등이 제기되고 있다. 초?중등신규교사 시험 관리 기관 설립 방안으로는 조합 유형, 법인 유형, 제3기관 수탁유형, 시·도교육청 자체 출제, 복수기관 분산형으 로 제안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신규교사 임용시험 관리 전담 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도입 성과

        전제만(Je-Man Jun),이선규(Seon-Gyu Yi)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3

        본 연구는 IT 아웃소싱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도입성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IT 아웃소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조직요인(정보시스템 성숙도, CEO의 지원), 거래요인(자산 특수성, 불확실성, 정보시스템의 사용정도), 위험요인(안전성(보안)의 위험, 비용의 증가위험, 자율성 상실의 위험)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직요인에서 정보시스템 성숙도와 CEO의 지원요인은 도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고, 거래요인에서는 정보시스템 사용정도 변수만이 도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으며, 자산의 특수성 요인과 불확실성 요인은 도입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험요인에서는 안전성(보안)의 위험, 비용의 증가 위험 요인만이 도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고, 자율성 상실의 위험요인은 도입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influence factors and introducing outcomes empirically. The influencing factors over IT Outsourcing set up organizational factors(maturity of information system, the support of CEO), dealing factors(asset speciality, uncertainty, degree of using of information system), and risk factors(risk of safety/security. cost increase, loss of autonomy).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organizational factors, degree of a maturity of the information system and the support of CEO were analyzed a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troducing outcomes positively. In the dealing factors, however, the degree of using information system was only analyzed a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troducing outcomes positively, while the speciality of asset and the uncertainty factors were analyzed as the variables not affecting the introducing outcomes. In the risk factors, the risk of safety/security and the increase of cost were only analyzed a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troducing outcomes positively, therefore loss of autonomy, was not analyzed as the affecting variables.

      • KCI등재

        한국과 프랑스의 교육전문직 인사제도 비교 분석

        전제상(Jeon, Je Sa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5

        최근 국가교육정책의 영향에 따라 교육전문직제도 개선에 관한 현장 교원들의 요구와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과 프랑스의 교육전문직 인사제도 운영실태 비교를 통한 이슈와 쟁점, 그리고 개선방안 등을 도출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교육전문직 인사제도에 있어서 국가간 이 제도의 특징과 문화, 기능과 역할에 대한 서로 다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한국과 프랑스의 교육전문직제도 운영에 관한 교육행정체제, 인사제도 등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국가와 지방교육청 수준에서의 선발, 교육경력과 연령 강조, 교원에 대한 장착과 행정, 학교평가와 지원의 역할 수행, 공개전형방식 채택, 전문성 개발을 위한 연수 강화의 특징을 시사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교육전문직 인사정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Raising teachers’ demands about improving systems of the educational supervisors for an influence of national education policies recently, thispaper analyzes causes and relevant issues on such criticisms, and suggests possible solutions to the systems of educational supervisors through comparison of Korean and French. There are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with respect to aspects such as the extent of educational supervisors in the systems of educational supervisors, the educational supervisors culture, or the function and roles of educational supervisors. Results on the present status and problem analysis of the systems of educational supervisors in Korea and French, there were presented selection for the national and local education offices, emphasis education and experience, the various roles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supervisors, school’s evaluation and support for teachers, public selection, training program of professional development, etc.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exploring the alternative implication of korean educational supervisors system by analyzing many related the functions and conditions of the educational supervisors system in French.

      • KCI등재

        일본의 지도력 부족교사 평가시스템 분석

        전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일본의 신 교사평가제 도입에 따른 지도력 부족교사 평가시스템을 분석하여, 앞으로 우리나라 새로운 교사평가제 도입운영과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일본 교사평가제의 변천과정과 새로운 교사평가시스템의 주요 내용(평가의 목적, 평가방법, 평가시기, 평가과정, 평가자, 평가결과 및 활용), 지도력 부족교사 문제의 등장 배경과 평가시스템의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도력 부족교사의 관리시스템, 지도력 부족교사의 개념과 유형, 지도력 부족교사의 평가기준과 인정절차, 지도력 부족교사를 위한 관리방안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으로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새로운 교사평가제 도입, 지도력 부족교사 대책 수립을 위한 실증적 연구 실시와 현실적인 대안 강구, 교사평가제 시행을 위한 법적 근거와 다양한 연수체제 마련이 요청된다.

      • KCI등재

        다양성의 유형에 따른 다문화 교육 전략 연구

        전제철 ( Je Cheol Jeon ) 한국법교육학회 2011 법교육연구 Vol.6 No.1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seek cultural diversity and coexistence. By the way, because of the vagueness of the concept of diversity, we have to analyze the concept of that by types and invent appropriate kinds of teaching strategy. The pursuit of diversity does not mean unconditional tolerance to all diversity. So, we have to set limits of diversity that we allow. The limits of diversity are originated from human rights, equality and fundamental values in constitutional law. The curriculum concern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cial studies must be studied continuously and additionally, not to move toward drastic relativ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