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스트림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저장 관리자 구현

        이수안(Suan Lee),김진호(Jinho Kim),신성현(Sung-Hyun Shin),남시병(Si-Byung Nam) 대한전자공학회 2009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6 No.3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스트림 데이터이다. 이 스트림 데이터는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와는 매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저장하고 분석 및 질의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새로운 기법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최근에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끊임없이 들어오는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 관리자를 구현하였다. 이 저장 관리자는 무선 센서 환경에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정제, 반복적으로 센싱되는 동일한 데이터에 대한 축소 기능, 장기간의 스트림 데이터를 경동 시간 구조로 유지하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 또 이 연구에서는, 구현된 저장 관리자를 건물의 온도, 습도, 조도 등을 수집하는 건물 화재 감시 센서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이 저장 관리자는 스트림 데이터의 저장 공간을 현저히 줄이며, 건물화재 감시를 위한 장기간의 스트림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효과적임을 보였다. Stream data, gathered from ubiquitous sensor networks, change continuously over time. Because they have quit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raditional databases, we need new techniques for storing and querying/analyzing these stream data, which are research issues recently emerging . In this research, we implemented a storage manager gathering stream data and storing them into databases, which are sampled continuously from sensor networks. The storage manager cleans faulty data occurred in mobile sensors and it also reduces the size of stream data by merging repeatedly-sampled values into one and by employing the tilted time frame which stores stream data with several different sampling rates. In this research, furthermore, we measured the performance of the storage manager in the context of a sensor network monitoring fires of a building.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 that the storage manager reduces significantly the size of storage spaces and it is effective to manage the data stream for real applications monitoring buildings and their fires.

      • KCI등재

        서울 도심의 공간 표상에 대한 젠더문화론적 독해

        이수안(Suan Lee) 대한지리학회 2009 대한지리학회지 Vol.44 No.3

        이 논문은 서울의 도심을 근대성과 후기근대성이 공존하는 도시공간으로서의 문화텍스트로 상정하고 젠더문화연구의 관점에서 독해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물리적 공간과 사회적 주체 간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를 주요 논제로 삼던 기존의 도시사회학과 인문지리학적 논의를 배경으로 하여, 근대성이 관철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된 서울이라는 도시 공간의 성별적 표상과 공간의 성별 분할을 파악하였다. 이미지성과 가독성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 공간적 해석의 분석틀은 성별분업과 영역의 이분법, 여성성/남성성의 이분법적 재현, 그리고 근대성과 후기근대성이 이들과 조응하고 교차하는 방식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Benjamin의‘산보하기(flanerie)’의 도시문화 해석과 음미의 방식은 수용하되 이를 페미니스트 문화독해 방식으로 전화하여 은유적 방법론으로 차용하기 위하여 Irigaray의‘검경(speculum)으로 들여다보기’를 도입함으로써 도시공간분석의 새로운 해석적 방법론으로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This paper attempts to focus the ways in which Seoul as an urban space can be read and interpreted from gender perspective, assuming Seoul as a cultural text which represents modernity and post-modernity. Drawing on discussions of urban sociology and human geography which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spaces and social subjects, this paper explores the gendered segregation and representations of space in Seoul which has been constructed through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e framework of spatial interpretation of Seoul, concentrating on imageablity and legibility,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gendered division of labour and sphere, dichotomy of representations along with femininity and masculinity, and the ways of interlocking between modernity and postmodernity. In this paper, ‘flanerie’, Benjamin’s method of interpretation of urban culture and the way of seeing with ‘speculum’ of Irigaray are adopted as metaphoric methodologies. It is an attempt to develop a new methodology to analyze and interpret urban space from gender-cultural perspective.

      • KCI등재

        대중매체와 성형의료산업의 연동 구조 속 여성 몸 이미지 전형의 재강화 기제와 포스트페미니즘 해석의 모순적 공존

        이수안(Lee, Suan) 한국여성학회 2016 한국여성학 Vol.32 No.2

        이 논문은 대표적인 메이크오버쇼 프로그램인 〈렛미인〉 시리즈를 중심으로 메이크오버쇼가 여성의 몸을 전시하면서 여성의 미의 기준을 정형화하여 제시하고 이 과정에서 대중매체와 성형의료산업이 연합하여 사회적으로 정형화되고 강제되어 여성에게 내면화된 여성의 몸 이미지를 자본의 도구로 삼는 방식에 대해 비판하고자 기획하였다. 이로써 분석의 과정에서 몸 이미지와 외모지상주의, 이와 관련한 대중매체의 소비자본주의적 권력 행사, 여성의 몸에 대한 태도와 인식, 한류에 편승한 성형의학의 상업자본주의적 세력 확대와 이의 영향력 범주에 들어있는 여성들의 태도와 행위성 등을 메이크오버쇼의 이미지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쇼 프로그램에서는, 연예인들이 출연하여 진행하는 리얼리티쇼를 분석한 기존 포스트페미니즘 연구에서 논의되는 ‘이미지 주체(image subject)’로서 주체성과 행위성이 포착되기보다는 성형의료산업과의 자본주의적 상호 연동구조 속에서 여성의 정형화된 몸 이미지를 재강화하여 순환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미디어의 기능이 일종의 문화권력으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이 재삼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과정에 참여하는 여성들은 자발적일지언정 이미지 주체로서 행위성을 발휘한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포스트페미니즘적 해석이 때로는 공존하는 듯 보이면서도 내용적으로 보면 매우 제한적으로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way how makeover-show like 〈Let Mi-In〉 series presents the standard of women’s beauty by displaying women’s body on television, and ultimately how the alliance of media capital and surgical capital render socially forced, stereotyped and finally internalized women’s body-image as the tool of capital accumulation. For accomplishing this aim of the study, the following aspects are critically examined; the formation of body-image and appearance-centrism (lookism), exercise of consumption-oriented power of mass-media, the attitude and understanding on women’s body, the global influence of surgical medicine jumping on Korean wave, and attitude and their agency of women about cosmetic surgery which are included in the field of this influence. The important point of this analysis lies on whether young women have subjectivity and agency can be interpreted with postfeminist perspective when they participate in the makeover-show on their own initiative as object of cosmetic surgery and treatment for the purpose to remodel their life. The result of this analysis can be resumed that it is hard to say that the participants of the makeover-show obtain subjectivity and agency in terms of postfeminism even though they persue ‘femininity’ passionately.

      • KCI등재

        대도시 산보자의 도시공간 향유 양식의 계보학

        이수안(Suan Lee)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문화와 사회 Vol.22 No.-

        이 논문은 도시공간 향유 양식에 대한 연구로서 벤야민으로부터 시작되어 오랫동안 도시공간 논의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해온 ‘산보자(flâneur)’, ‘산보하기(flânerie)’의 개념이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발달한 지금의 사회적 환경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또한 도시공간을 향유하는 방식이 이전의 근대적 산보하기를 통한 방식과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점을 보여주는지를 특히 감각활용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다. 이론적인 배경 이해를 위해 벤야민의 ‘산보자’와 ‘산보하기’ 개념을 중심으로 한 논의, 근대 도시공간 연구를 위한 짐멜의 도시문화 이론, 문화사회학적 문화풍경 논의와 감각인간(homo sensus)으로서 테크노 산보자, 디지털 미디어 사용에 있어 감각활용과 융합적 소통 논의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분석은 일종의 ‘산보자의 계보학적 추적’으로서 벤야민의 대도시 거리 산보자로부터 박태원의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구보씨, 그리고 지금의 SNS활용 세대인 테크노 산보자의 도시 공간 향유 양식을 비교하여 훑어 보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테크노 산보자의 산보하기는 개인의 고독한 걷기를 넘어 공유와 소통으로 새로운 감각의 공동체를 만드는 단계에 접어 들어 이전의 산보자 개념을 점차 수정해나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analysis of enjoyment style of urban space in a huge city, like Seoul. The main concepts in this study are ‘flâneur’ and ‘flânerie’ which were adapted by Walter Benjamin in Passagenwerk, and ‘techno-flâneur’ which is developed and defined first time in this paper. How the concept of ‘flâneur’ is developed and changed last over hundred years from the perspective of Benjamin through ‘Mr. Gubo’ to techno-flâneur is studied according to the genealogical tracing of various modes of flâneurs; flâneur of Benjamin, novelist Mr. Gubo in the novel of Park Tae Won, One Day of Novelist Gubo and techno-flâneur like blogers and users of instagram who are using SNS and communicate with enormous public. Through this study, it is resulted that the ‘flânerie’ of techno-flâneur is on the process of evolution which transcends the lonely walking of an individual above and enters the stage of construction of sense-sharing community.

      • KCI등재

        대중문화에서 기호가치로서 몸 이미지의 소비양식

        이수안(Lee, Suan) 한국문화사회학회 2011 문화와 사회 Vol.11 No.-

        이 연구는 최근 들어 10대 위주의 아이돌 그룹이 대중문화의 아이콘으로 급부상하는 경향과 더불어 모바일 기기까지 포함하여 다양해진 대중매체를 통해서 이들의 선정적인 성적 상징코드가 경쟁적으로 생산되고 빠른 속도로 유포되는 점에 주목하면서 수행되었다. 대중적으로 유포, 확산되는 이미지 정보가 많아질수록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한 문화산업은 선정성을 더욱더 극대화하여 상품화하고 있다. 특히 이른바 ‘걸그룹’으로 대표되는 아이돌 그룹은 이들이 표방하는 ‘섹시한 몸과 감각적이고도 선정적인 몸짓과 춤’을 통해 문화산업에서 특정한 방식의 기호가치로 등장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문화산업에서 이들의 몸과 섹슈얼리티를 둘러싼 이미지가 소비되는 양식을 동영상 분석과 인터넷 관련 기사 그리고 팬덤 현상과 결부시켜서 이미지와 기호가치 이론을 통하여 분석한다. 이론적 배경으로 몸 이미지의 스펙터클화와 젠더화된 응시에 대한 논의와, 소비사회의 문화 소비와 기호가치를 연결하여 이론화한 바 있는 보드리야르의 소비사회론과 기호가치 이론을 연결하여 살펴본다. 분석 결과 아이돌 그룹, 특히 ‘걸그룹’은 당대의 유행을 최대한 활용하여 춤과 의상을 통해 선정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과정에서 기획사의 컨셉트와 수익성 창출을 위한 전략 등이 결정적인 작용을 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결과적으로 대중문화산업에서 형성되는 기호가치는 여성의 이미지를 지극히 편향되고 제한적인 범주로 국한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onsumption mode of body image as sign value, especially eroticized body image of female idol groups in Korea. Although many of female idol groups consist of teenager members, their performances and dances on stage and in music-video represent eroticism with sexualized gestures and costumes. They show the erotized gestures and performances, and the audience gaze them. In this composition which seems very simple, the precis calculated strategies of the entertainment agencies are operated in the whole process from conceptualizing to the details. This paper aims to show how the sign value of the idol groups body images are taken from consumers and what factors are active in the process of the image consumption. For the theoretical framework, the theories about body image, the discourses about "visibility" and gaze, and sign value theory of Jean Baudrillard are searched and review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us that the eroticized body images of idol girl-groups play the role of sign value, and the level of eroticism would be higher, if the entertainment agencies and the girl-groups don"t stop to compete fiercely against other groups.

      • KCI등재

        감각중심 디지털 문화와 포스트휴먼 징후로서 `호모 센수스(homo sensus)`의 출현

        이수안(Suan Lee) 한국문화사회학회 2015 문화와 사회 Vol.18 No.-

        이 논문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더불어 감각의 활용이 극대화되고 융합감각의 결정체로 존재하는 포스트휴먼화 과정에 인간이 놓여있다는 전제하에 이때의 인간을 ‘호모 센수스(homo sensus)’로 명명하고 이 호모 센수스의 포스트휴먼적 존재 조건과 양태에 대해 감각이론을 중심으로 탐구하고 있다. 사회의 ‘감각적 전회(sensual turn)’가 전면화되는 문화변동의 현실을 목격하면서 먼저, 감각의 문화사회학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다지기 위해 시각과 촉각의 의미, 촉각의 사회성 등에 대해 탐구하였다. 디지털 기기의 사용과 더불어 감각의 매개가 중요해지는 지금의 인간 존재 양태를, 인간과 기계가 형성하는 공감각(synesthesia), 디지털 기기를 통해 소통하는 인간의 사회적 정동(affect)의 층위, 디지털 문화 세대의 스타일과 정서의 조합과 구성에 감각이 동원되는 양상 등에 초점을 맞추어 예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호모 센수스에 주목하는 이유는 디지털 시대의 문화적 조건이 인간의 감각세계와 감각에 대한 집중도와 세정도(high definition), 확산도에 있어 이전의 인간이 경험하던 차원과 획기적으로 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감각 사회학의 이론적 토대 마련을 위하여 짐멜로부터 시작하여 최근의 사회과학에서 감각 연구(sensory studies)로 집약되고 있는 감각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링기스, 크래리, 하위즈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감각 비율의 변화, 감각과 신체와의 관계에 대한 매클루언의 ‘미디어로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비롯해서 젠킨스의 융합문화, 그리고 헤일즈의 포스트휴먼 논의 등 관련 이론을 재검토해보면서 호모 센수스 등장의 징후와 관련한 설명틀을 구축하려 시도하였다. This paper studies the conditions and modes of existence of Homo Sensus as the posthuman with the theories of senses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human is in the process of posthumanization while the utilization of senses is maximized and so that the human exist as the composition of converged senses according to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Paying attention to the cultural changes emerged by ‘sensual turn’, the meaning of visibility and haptic sense, sociality of touch are examined for the theoretical basis to establish the cultural sociology of sense as the first step. For the analysis of the mode of existence of homo sensus, synesthesia between the human and machine, the formation of social affect by the communication with digital devices and applications, and the phenomenon of mobilization of senses for the forming of style and sensation in the generation of digital culture are dealt with as important contents in this study. The reason why homo sensus becomes the central theme in this paper is that the cultural conditions in digital era are epoch-making in the level of concentration, high-definition and extension about senses and sensual world of the human. For the formation of theoretical basis for sensual sociology, various discussions about senses and sensory studies in social sciences from Simmel to Lingis, Crary, Howes & Classen are reviewed. Furthermore, the ratio of senses and the relation of senses and body in the context of ‘the human beings as media’ in the writings of McLuhan, convergence culture of Jenkins, and the discussion on the posthumanism of Hayles give inspira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to this study. The aims of this study lie in the formation of theory of homo sensus aa posthuman which can serve as basis for future case studies as empirical researches, so the importance of this paper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is trial for the theory building is the first step to earn the precise understanding on the society of senses.

      • KCI등재후보

        혼종공간으로서 카페와 유목민의 문화풍경

        이수안(Lee Suan) 한국문화사회학회 2011 문화와 사회 Vol.10 No.-

        최근 대도시를 중심으로 개성있는 분위기와 주제를 바탕으로 새롭게 진화하고 있는 다양한 카페들이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의 경계공간으로서 한국사회 특유의 ‘방 문화’의 일부로 해석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카페의 진화가 공간의 분화와 탈분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는 전제하에 특히 이른바 ‘아지트형’ 카페를 중심으로 카페가 함께 빚어내는 도시경관과 유목적 자아의 소통 현상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다방으로부터 찻집, 그리고 카페로 진화해온 공간이 배태하고 있는 문화적 징후를 시간적 경험의 흐름을 따라 내시경으로 들여다보았다. 또한 ‘현재’라는 시간의 단면을 통해서 다시금 카페의 공간적 외부와 내부의 경계를 넘으면서 산보자의 시선의 흐름을 따라 외부에서 내부로, 객관에서 주관으로, 대상에서 자아로 점점 좁혀 들어가 공간적 주체가 공간과 함께 하는 과정의 문화적 의미를 포착하는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새롭게 등장하는 아지트형 카페들이 주변의 공간이 갖고 있는 사회학적ㆍ문화지리적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생성된다는 점과 카페가 갖는 공간과 탈공간의 특성, 즉 실재 공간 속에 이용자들의 소통방식에 의하여 가상공간 속의 ‘접속하는 자아’로서 유목적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을 면밀히 추적해볼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emerging of various cafes as one of the specific phenomena of ‘bang culture(room culture)’ in Korea. It is focused on that cafes are spaces of liminality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ace which can lead people to be nomadic subjects, and the whole scenary consists in cultural scapes. The participant observation was held in the area of Samchong-dong, Seo-chon, Hongdae, and Garosoo-gil where young people prefer to visit, so new trends can be catched.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consists of the results of endoscopic exploration which is performed along the flows of visual experiences of the cafe users in the urban landscape; from the main streets to the alleys, from the exterior into the interior of the cafes, from the objects into the selves. It is the way to find the cultural meaning of the procedure in which spatial subject acts as a ‘connecting self’.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지속 가능 공동체의 사회적 가치로서 ‘상호관용’과 ‘상호보살핌’

        이수안(Suan Lee) 한국문화사회학회 2009 문화와 사회 Vol.7 No.-

        지구화가 가속화되면서 전 지구적 노동력 이동이 본격화되고 이로써 문화간의 갈등과 교섭은 다양한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경제 논리의 지배는 지속적으로 타자적 존재를 양산하면서 공동체적 윤리를 무너뜨리는 데 있어 주요 역할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다문화 사회의 도래를 목격하면서도 우리 사회 안의 타자들을 적극적으로 공동체의 일원으로 받아들일 태세가 되어 있지 않은 현 상황 속에서 본 논문에서는 ‘상호관용’과 ‘상호보살핌’ 가치가 지속 가능한 공동체를 지탱해 갈 사회적 가치로서 확산 가능한지 점검해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보살핌’과 ‘관용’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살펴보고 일방적으로 베푸는 방식이 아닌 쌍방간의 상호성을 중심으로 한 보살핌과 관용이 긴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특히 결혼이주여성들의 경우 우리 사회의 타자적 존재로서의 대표성을 중첩적인 타자성을 통해 담보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이들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 사회의 배타적인 문화에 대해 쌍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관용을 가정하면서 한국의 시민들과 상호보살핌을 실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로써 상호관용과 상호보살핌이 지속 가능한 공동체를 굳건히 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라는 점을 논증할 수 있었고 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이 정책의 차원에서보다도 우선적으로 인간관계의 설정과 역할 수행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the cultural conflicts and their negotiations are appearing in various aspects. The logic of economy has been playing the dominant role in the production of social minority and the 'others' on the global scale continuously. As the result, the ethics of community has been demolished. Although confronting with the rush of multicultural society, we are not ready to accept the others in our society as the regular members of the community actively. Regarding to this background, the values of 'mutual tolerance' and 'mutual caring' are examined theoretically and conceptually in this paper as the adequate social values which support and bear up the sustainable community, and furthermore can be disseminated. It is largely received that female marriage migrants are representative altered people in our society and the alterity of this group is multi-layered. On the base of this thesis, it is important to search the possibility for Korean citizen to practice the mutual tolerance and mutual caring with the migrants in the reciprocal action for each other. As the conclus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issemination and spreading of the social values like mutual tolerance and mutual caring in the human relations are more efficient as the administrative policies for social integr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 맵리듀스를 이용한 빙산 큐브 병렬 계산

        이수안(Suan Lee),김진호(Jinho Kim),문양세(Yang-Sae Moon),노웅기(Woong-Kee Loh) 한국정보과학회 201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7 No.1A

        대용량 데이터의 효율적 분석을 위해 데이터 뷰브가 연구되었으며, 데이터 큐브 계산의 고비용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큐브의 일부 영역만을 계산하는 빙산 큐브가 등장하였다. 빙산 큐브는 저장 공간의 감소, 집중적인 분석 등의 장점이 있으나, 여전히 많은 계산과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실용적인 방법으로 대용량 문제를 분산하여 처리하는 분산 병렬 컴퓨팅 기술인 맵리듀스(MapReduce)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분산 병렬 빙산 큐브인 MR-Naive와 MR-BUC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맵리듀스 프레임워크를 통한 빙사 큐브 계산이 효율적으로 분산 병렬 처리 됨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