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바이러스성 크루프로 입원하는 소아 환자의 역학적 특성과 임상적 중증도 평가

        전인수,조원제,이정민,김황민,Jeon, In Soo,Cho, Won Je,Lee, Jeongmin,Kim, Hwang Min 대한소아감염학회 2018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5 No.1

        Purpose: In this study, the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dmitted for viral croup were analyzed to evaluate disease severity based on the organism that caused the infec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02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at the Wonju Severance Hospital between May 2013 and December 2016 for viral croup. Patients who showed positive results on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were subsequently diagnosed with respiratory virus infection. The Westley scoring system was used to evaluate the severity of viral croup. Results: Of the 302 patients, 149 were admitted due to severe viral croup, including 88 boys and 61 girls, with a boy-to-girl ratio of 1.44:1. About 110 cases of parainfluenza virus infection have been reported, which accounted for almost half of the total cases. The other identified viruses included influenza virus, human rhinovirus, and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evere viral croup and causative pathogen revealed that only parainfluenza type 2 virus showed a significantly high risk. Parainfluenza type 2 virus did not show an age-based difference in frequency but showed relatively a higher frequency of infections during the summer and fall. Conclusions: In this study, parainfluenza virus type 2 was the only virus associated with severe viral croup. To facilitate proper preventive management, treatment, and prognosis evaluation of viral croup, prospective and multicenter studies should assess the additional variables and the severity of the virus. Additionally,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assess age-dependent influences, as well as the regional and seasonal incidence of viral infection.

      • KCI등재후보

        베이비붐 세대 은퇴로 인한 주택시장의 변화와 금융권의 대응방안 연구

        전인수,민규식,Jeon, In-Su,Min, Guy-Sik 한국전자통신학회 2011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6 No.6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더불어 이들 세대가 점진적으로 고령계층에 진입함에 따라 향후 주택수요 감소 및 보유자산 처분 압력이 증가하는 등 주택시장 내에 일대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베이비붐 세대의 특성과 가계자산 구성 현황 등의 분석을 통해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금융권의 대응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As the Baby Boom Generation continues to age and face retirement, they are expected to reduce the overall demand for housing and liquidate assorted assets, triggering significant changes in the real estate market. With that in mind, this repor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asset structure of the average Korean Baby Boomer to better understand the impact their retirement will have on the real estate market and what actions the domestic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take in response.

      •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주거 특성 분석

        전인수(In su Je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학회지 Vol.6 No.1

        주택시장 변화와 관련해 화두의 중심이 되고 있는 것은 저출산, 인구 및 가구구조의 변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및 고령화에 관한 것이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이들 세대의 은퇴 및 고령화가 가져올 사회ㆍ경제적 파장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출생한 베이비붐 세대는 2010년 인구총조사 결과 695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4.5%를 차지한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 중반 베이비붐 세대가 주택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면서 주택 수요가 급증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이들 세대가 중대형 주택을 선호하게 되면서 중대형 주택가격이 상승하는 등 베이비붐 세대는 우리나라 주택시장의 변수로 작용해왔다. 최근 베이비붐 세대와 관련하여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은 이들 세대가 노후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노후자금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에 관한 것과 향후 주택시장에 미칠 영향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인구 통계적 특성, 자녀관, 향후 목돈 지출 예상 요인, 주택 및 부동산 보유 실태, 은퇴 후 주거 이주 의향, 은퇴 후 거주하고 싶은 주택 유형, 은퇴 준비도, 주택 처분 의향을 실증분석하여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이후 나타날 수 있는 주거 특성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고, 베이비붐 세대의 주거 정책적 관점에서 어떠한 대응 전략이 필요한지 제언하였다.

      • KCI등재

        감정노동을 수반하는 접점직원의 관리에 관한 연구

        전인수(Jeon, In-Soo),유재민(You, Jae-Min) 한국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연구 Vol.29 No.5

        본 연구는 이른바 ‘갑’질이 사회적 쟁점으로 등장하여 관심을 끌게 된 감정노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다. 서비스노동은 기존의 제조경제 노동과는 달리 고객을 직접 상대하는, 즉 쌍방작용성이란 직무특성으로 인해 감정적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이를 감정노동이라 한다. 따라서 이런 직무를 담당하는 직원의 관리는 모순에 직면하게 되는데, 서비스품질과 생산성이다.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서비스-이익사슬모델과 내부마케팅모델이다. 두 모델은 접점직원만족을 중심으로 논리를 전개하고 있어 유사한데, 접점직원이 감정노동을 수반하는 직무를 수행한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는 한계를 공히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서비스경제로의 전환과 함께 인적자원관리 연구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자기결정성이론과 접점서비스를 할 때 가장 중요한 신념으로 논의되는 고객지향성에 근거하여 두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세 가지 가설을 제기하여 대표적인 감정노동의 현장인 증권회사 인바운드 콜센타상담사를 대상으로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감정노동을 수반하는 접점직원관리의 기존모델을 수정하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두 모델 모두 자기결정성이 높은 관리방식인 서비스유연성으로 접점직원의 만족을 유도해야 한다는 점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고객지향성을 두 모델 모두에 매개변수로 강조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이익사슬은 “자기결정성이 있는 내부서비스품질 → 직원만족 → 고객지향성 → 서비스성과(고객만족, 고객애호도, 매출 및 이익 등)”로, 내부마케팅모델은 “자기결정성이 있는 내부마케팅활동 → 직원만족 → 고객지향성 → 서비스성과”로 수정할 것을 제안한다. The unethical behavior of party A(denoting the superior party in an unequal contractual relation), ‘Gapzil(in Korean)’, has become a social issue after the incident involving an executive of a big corporation and a cabin crew member of a Korean Air Flight. Although manufacturing economy was shifted to service economy and information economy, emotional labor hasn"t received attention by academic and social area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nagement of emotional labor, while the existing study has studied these subjects focusing mostly on emotion and the emotion-coping strategy. To solve the paradox of enhancing service quality and productivity in the frontline service at the same time, the management of emotional labor has been approached with two models; service-profit chain and internal marketing. The two models, focus on the satisfaction of frontline employees and have a weakness of not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emotional labor. To solve the paradox, this study aims to find new ideas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customer orientation. To that end, three hypotheses are proposed and tested using data from an in-bound call center of a Korean securities brokerage companies. The result shows that the service flexibility has a high impact on caller"s satisfaction. This is to say, among the internal marketing mix, self-determination factor is the key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emotional labor most effectively. Secondly, emotional labor"s satisfaction, mediated by customer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This is to say that the paradoxical task of enhancing both the employee satisfaction and service performance is solved through the deep belief of frontline employee towards customer orien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can suggest two modified models as follows; “service quality based on self-determination → employee satisfaction → customer orientation → service performance”, “internal marketing based on self-determination → employee satisfaction → customer orientation → service performance.”

      • KCI등재

        공연예술 중관람자와 경관람자의 관람의사결정과정의 차이에 관한 연구

        전인수(Jeon In soo),최광수(Choi Kwang soo) 한국상품학회 2016 商品學硏究 Vol.34 No.2

        문화예술이 창조산업으로 자리매김 된 이후 문화예술마케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문화예술마케팅은 문화마케팅과 예술마케팅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는 기존마케팅의 연장선에서 비교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후자인 예술마케팅은 그렇지 못하다. 본 연구는 예술소비자, 즉 관람자를 분석하여 실천 가능한 예술마케팅을 제안하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관람자연구는 중관람자와 경관람자로 나누고 이들의 프로파일을 알아보는 연구와 이들의 관람의사결정과정을 분석하는 연구로 나누어지는데, 이 연구는 후자에 속한다. 가설추론의 이론적 근거는 경험향유이다. 경사용자는 일반제품처럼 예술을 소비의 대상으로 보지만 중사용자는 예술을 경험향유의 대상으로 보기 때문에 포괄적 의사결정과정인 “문제인식→정보탐색→대안평가→구매→구매 후 평가”에서 차이가 날 것으로 보아 가설을 설정하고 공연예술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중관람자와 경관람자는 관람의사결정과정에서 상당히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술마케팅은 경험향유를 중심으로 프레임을 짤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 한다; 클럽 혹은 커뮤니티마케팅, SNS마케팅, 작품중심 마케팅, 예술관 라운지 마케팅, 큐레이션 마케팅 등이다. Nowadays, there are increasingly interesting in the culture &art marketing since being designated as creative industries by Korean Government. The culture & art marketing can be broadly classified as culture marketing and art marketing. There are many scholars, articles, and books about culture marketing owing to the easy extension of marketing mix. But art marketing is few. So there is strong necessity for the art marketing. The necessity can be solved by this study. This paper focus on studying the difference between decisionmaking process of heavy and light audience in performing art. Key concepts and theory as follows: The audience decision making process is problem recognition→ information search→ alternative evaluation→ purchase→ post-purchase evaluation. A theory of this paper is based on spiritual experience; it is spiritual and soul arousal in the experience of art. Based on the testing hypothesis, we can propose one art marketing frame; club/community marketing, SNS marketing, quality art marketing, theater loungemarketing, curationmarketing.

      • KCI등재
      • 새로운 소비자욕구모델

        전인수(In-Soo Jeon),김은화(Eun-Hwa Kim)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09 연세경영연구 Vol.46 No.2

        지금까지 생필품의 시각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설명하려 한 근시안에서 벗어나기 위해 새로운 소비자욕구모델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소비자욕구를 설명하는 기존모델은 위계모델과 차원모델이다. 이들 모델은 소비자의 욕구가 경제적 여건에 따라 진화함을 설명하지 못하고 있고 또한 제품의 구입, 사용, 처분 등의 소비 과정에 대한 욕구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욕구의 진화와 구입, 사용 및 처분과정을 감안하여 새로운 기본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먼저, 제품이나 서비스 및 소유재산에 대한 소비자욕구는 차원과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으로, 욕구차원은 기능적 욕구, 쾌락적 욕구, 상징적 욕구, 정신적 욕구로 나누어진다. 세 번째로, 욕구영역은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본원적 욕구와 소비과정상의 욕구로 나누어진다. 끝으로, 소비과정상의 욕구는 구입상의 욕구, 사용상의 욕구, 처분상의 욕구 등으로 나누어진다. 특히 처분상의 욕구는 내구성 소비재를 설명하는데 중요하여 추가하였다. 이러한 네 가지 논리에 근거하여 4×4 매트릭스를 소비자욕구의 기본모델로 제시하였다. Until now there has been the myopia of consumer packaged goods which define and explain consumer needs and wants through a narrow window, that is, fast moving consumer goods. Thus, it can’t be explained the consumer needs of luxury brand and high-price possess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new model of consumer needs to explain consumer packaged goods and other high-price possessions. There exists two model, hierarchy model and dimension model which fits consumer packaged goods. The limits of these models are not to able to explain an evolution of consumer needs according to individual economic welfare and consumer needs about the process of purchasing, usage, and reselling consumer possessions. In this study, the new model, that is, called, basic model which is a platform able to explain other possessions and business including consumer packaged goods. The new model of consumer needs are defined and classified as follows. First, consumer needs are defined as generic needs and consumption cycle needs of goods, services, and possessions. Secondly, the generic needs are classified as functional needs, emotional/hedonic needs, symbolic needs, and cultural needs. And also, the process needs are classified as purchasing needs, usage needs, and resale needs. Finally, new model is a 3×4 matrix, of which vertical line is process needs and horizontal line is generic needs.

      • KCI등재

        비선형 운동방정식에 근거한 비례항법유도의 최적성에 관한 해석

        전인수(In-Soo Jeon),이진익(Jin-Ik Lee) 한국항공우주학회 2009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7 No.4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결과들과 달리 비행체의 운동을 선형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가정을 도입하지 않고 비례항법유도법칙의 최적성에 관한 해석 결과를 제시한다. 비례항법유도법칙은 비행체-표적 거리의 지수함수를 가중치로 갖는 제어 에너지를 최소화 하는 최적의 유도법칙임을 비선형 방정식 기반으로 유도한다. 이때 가중함수의 지수와 비례항법상수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해석의 유효한 조건을 도출한다. Analysis on optimality of the proportional navigation guidance(PNG) law is presented in this paper. While most of previous studies on optimality of PNG were relied on the linear formulation, this paper is based on the nonlinear formulation. The analysis shows that PNG is an optimal solution minimizing a range-weighted control energy, where the weighting function is an inverse of  power of the distance-to-target. We show that the navigation constant  is related to  directly. And also the conditions required to ensure the analysis result are investigated.

      • KCI등재

        인터넷쇼핑의 수용과정에 존재하는 단절 ( chasm ) 을 설명하는 탐색적 모델

        전인수(In Soo Jeon),배일현(Il Hyun Bae) 한국마케팅학회 2001 마케팅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쇼핑의 수용과정에 존재하는 단절(chasm)을 지각된 구매비용이론으로 설명하는 데 있다. 인터넷쇼핑을 이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생리적 구매비용 절감을 이득(gain)으로 보고, 인터넷쇼핑을 이용하는 데 따르는 걱정이나 불안을 손실(loss)로 보아 단절을 설명하는 연구모델을 제시하였다. 단절을 설명하는 연구모델은 두 가지 추론에 근거하여 구성하였다. 먼저, 기술을 초기에 수용하는 기술열애자나 몽상자는 위험추구적 성향이 높아 신기술을 이용하여 얻게 되는 지각된 이득을 중시할 것으로 보았고 다음으로, 시장숙지자, 쇼핑 자체를 즐기는 사람, 인터넷쇼핑을 이용하여 가장 큰 편익을 얻게 되는 리드사용자 등은 준거점이 다른 사람과 달라 형성효과(framing effect)로 인해 이득을 크게 지각할 것으로 보았다. 연구모델은 구매자집단에서 1차로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고 2차로 가입비구매자집단 및 비가입자집단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먼저, 구매집단(114명)을 대상으로 연구모델에 근거한 가설을 검증해본 결과, 인터넷쇼핑을 이용하여 얻게 되는 이득이 수용에 영향을 미치고, 손실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초기시장 수용층이 위험추구적인 성향이 강하다는 추론은 타당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가입비구매집단(119명)과 비가입집단(35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2차 검증에서도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기술열애자나 몽상자에 속하는 소비자의 세 가지 특성이 인터넷쇼핑 이용에 따르는 이득과 손실을 지각하는 것과 관련된 가설을 검증한 결과 시장숙지력과 쇼핑 즐거움은 지각된 이득에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지각된 손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초기시장 수용층은 준거점이 달라 형성효과로 인해 이득을 크게 지각한다는 추론이 타당하였다. 또한 가입비구매자집단 및 비가입자집단을 대상으로 연구모델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hasm which exists in the internet shopping adoption process. This chasm between early adopter(technology enthusiasts and visionaries) and later adopter (pragmatists and conservatives) of the internet shopping is explained by the purchasing cost theory. A consumer to buy goods and service by internet shopping feels a gain and loss of utility: that is to reduce physiological purchasing cost, this to increase psychological purchasing cost. The research model to explain the chasm is based on two inferences. First, the utility function of early adopter is like risk-seeker, so the gain by using new technology would influence their adopting internet shopping. Second, early adopter`s reference points are different late adopter`s, so they would perceive only gain and wouldn`t perceive loss due to framing effect, because their characteristics are like market maven, lead user and hedonic consum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gain by using internet shopping and adoption of internet shopping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loss and adoption is not significant. Thise result says that early adopter of new technology is like risk-taker. Second, among consumer`s characteristics to make framing effect market maven and hedonic consumer get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gain, but no effect on perceived loss. Thise result says that due to the framing effect early adopter perceive only gain of using new techenology. Third, to confirm the vality of the research model to explain the chasm we test the differences among purchaser group(114 cases), internet shopping member but no purchaser(119 cases), non-member of internet shopping(351 cases), and find tha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says that the research model has a vality to explain the chasm of technology adoption life cycle.

      • KCI등재

        공급자가 지각한 소매업체 서비스품질의 선행요인 및 그 결과에 관한 연구

        전인수(In Soo Jeon),이성순(Seong Soon Lee) 한국마케팅학회 2002 마케팅연구 Vol.17 No.1

        본 논문은 서비스품질이론과 서비스접점에서의 역할이론을 공급자와 소매업체간의 유통서비스에 적용한 연구로 세 가지 내용으로 구체화된다. 양자적 서비스관계에 있어서 강자인 소매업체가 어떤 역할을 했을 때 공급자인 제조업체가 서비스품질이 높다고 지각하는지를 알아보려 했고, 서비스품질이 정치경제적 현상인 영향력, 갈등, 기회주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 했으며, 끝으로 서비스품질이 거래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려 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접점의 세 구성요소 중 서비스시스템과 관련된 가설이 모두 지지되어 하드표준이 소프트표준에 비해 서비스품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제공자인 바이어역량은 서비스품질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성향과 고객참여는 그렇지 못하여 공급자인 제조업체가 성향보다는 역량을 중시하고, 자신의 역할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통서비스품질과 정치경제현상인 갈등과 기회주의적 행동은 유의적인 관계가 있으나 영향력과는 그렇지 못하여 두 연구개념간의 인과관계를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다만, 영향력의 측정에 문제가 있을 수 있어 인과관계의 가능성은 어느 정도 있다고 볼 수 있어 유통서비스품질모델이 정치경제적 접근을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유통서비스품질이 거래만족에 직접 및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통서비스품질모델의 실무적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plains the possbilities of partnership between vendor and retailor in asymmetric power by service quality theory and role theory in the service encounter. If vendor`s expectations about retailor role as leader is satisfied, vendors would think that retailor`s service quality is high. This perceived retailor`s service quality would get conflict, power and opportunistic behavior between partners to increase or to decrease. Owing to retailor`s service quality and the changed political economy, the performance of vendor and retailor will become good. The result as testing these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ath coefficient of service system in service encounter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we can say that the service systems as hard standard is important. Second, buyer`s capability in service encounter also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buyer`s dispositions and vendor`s participation in service offerings non-significant. So we can say that vendor`s efforts as customer is negative and buyer`s capability than his disposition is more important. Third, the political economy as conflict and opportunistic behavior is decreased significantlly by retailor`s service quality, but retailor`s power perceived by vendor isn`t increased. So we can say that retailor`s service quality has an effect on conflict and opportunistic behavior but not power. Finally, retailor`s service quality has an effect on a good performance directly and indirectly mediated by political-economy. These research result say that the partnership between vendor and retailor in asymmetric power can be explained by service quality theory and role theory in the service encou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