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 자연철학에서 `경계`(peras) 개념과 제논의 장소의 역설

        유재민(You, Jae-Min)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79 No.1

        경계는 선의 경우 점, 면의 경우 선, 입체의 경우 면, 시간의 경우 지금과 같이 크기가 없고, 분할할 수 없다는 기본적인 성격을 갖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장소도 일종의 ‘경계’ 로 정의한다. 삼차원의 대상을 둘러싸는 장소는 이차원의 면이 된다. 그는 어떤 대상이 어딘가에 있는지, 없는지를 기준으로 해당 대상이 실재하는지, 정신 속에만 존재하는지를 구분한다. 물리적인 대상들은 어딘가에 존재하며, 장소를 갖는다는 점에서 객관적인 실재성이 확보된다. 물리적 대상이 장소 안에 있어서 객관적 실재성을 갖는다면, 장소 자체의 실재성은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장소는 어디에 있는가? 장소가 어딘가에 있다는 말을 장소가 장소안에 있다는 말로 이해한다면, 계속해서 장소의 장소는 어디에 있는지를 물을 수 있게 된다. 이것이 제논의 장소의 역설의 내용이다. 따라서 장소가 있는 곳을 장소로 보면 역설에 빠지게 되니, 장소가 ‘어딘가에 있다’는 의미를 다르게 해석해야 한다. 제논은 ‘안에 있음’의 의미를 물리적 대상이 어딘가에 있다고 할 때, ‘안에 있음’으로 이해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장소의 ‘어딘가에 있음’은 건강함이 뜨거움 안에, 뜨거움 혹은 차가움이 몸 안에 있는 방식으로 어딘가에 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경계로서의 장소는 어딘가에 있다는 점에서 객관적 실재성을 띠지만, 그럼에도 물리적인 대상처럼 어딘가에 있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경계는 물리적인 대상에 의존하며, 마치 성질이 해당 대상에 의존하듯이 객관적인 실재성을 확보한다. Boundary is a point for a line, a line for a surface, a surface for a solid, and a now for a time. And it has a zero-magnitude and then can not be divided. Aristotle defines a place as a boundary. So for Aristotle, a place is a kind of two-dimensinal surface, surrounding the three-dimensional solid. For Aristotle, it is a criterion for real thing whether something is somewhere or not. If that isn’t real, it should be only in mind. A physical thing is somewhere, has a place for that, and then has a objective reality. If so, where is a place itself? If you understand that ‘a place is somewhere’ is same as ‘a place has a place’, you can go on asking ‘where is the place of a place’ And this is the Zeno’s paradox of place. As you want to escape the paradox, you have to construe the meaning of ‘place is somewhere’ or ‘place is in something’ differently. Zeno saw ‘in something’ of place as a objective reality. Aristotle claims that ‘in something’ of place should be in hot thing of the health or in body of hottness and coldness. Place as the boundary is objectively real in the sense that it is in something, yet not in something like a physical thing. And Boundary depends on a physical thing, as quality relies on that thing, has an objective real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 자연철학에서 물체와 물체 아닌 것의 구분 기준

        유재민(You, Jae-Min) 한국서양고전학회 2018 西洋古典學硏究 Vol.57 No.2

        본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에서 물체와 물체 아닌 것의 구분 기준을 제시한다. 물체는 크기의 일종으로 세 차원의 연장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여지가 있으나, 이 물체의 정의는 특별히 그의 자연철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몇 가지 해석상의 문제를 야기한다. 그는 『자연학』에서 장소와 진공 개념을 다루다가 물체에 의존하지 않은 채 사유될 수 있는 세 번째 장소의 후보로서 ‘외부 연장’과, 독립해서 존재하는 수용자로서의 ‘진공’ 개념을 비중 있게 다룬다. 이것들은 세 차원의 연장으로서의 물체의 정의에 부합함에도 불구하고 실재성이 부정되는 것들이다. 본 논문은 그의 『자연학』의 장소론과 진공부정론에서 먼저 텍스트 해석부터가 쉽지 않은 해당 구절들의 이해에 일차적인 목표를 둔다. 그리고 이를 통해 그의 자연철학에서 이전까지 주목받지 못했던 ‘무거움과 가벼움을 가지고 접촉 가능한 것’이라는 ‘물체’의 규정을 확인하고, 이 규정이 전통적으로 받아들여져 왔던 물체의 규정과 어떤 점에서 다르고, 어떤 이점이 있을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between body and non-body in Aristotle’s natural philosophy. A body (sōma) may be understood as having a three dimensional extension as a kind of magnitude (megethos), but the definition of this object poses some interpretational problems especially in understanding Aristotle’s natural philosophy. He deals extensively with the concept of ‘external extension’ as a third candidate for the place and ‘void’ as an independent receiver in Physics 4. These are things whose reality is denied even though they conform to the definition of a body as an extension with three dimensions. This paper aims at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s that are difficult to interpret from the place theory and void theory of his natural science. And through this, I confirm the definition of the ‘body’ as something that can be contacted and has heaviness or lightness, which has never been properly observed concerning his natural philosophy. And I note that this definition differs in some respects from the definition of body that has traditionally been accepted, and consider what advantages this may hav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직선’의 존재론

        유재민(You, Jae-Min) 한국서양고전학회 2016 西洋古典學硏究 Vol.55 No.2

        『영혼론』 403a10-16의 해석을 둘러싸고 다양한 해석이 제기되었다. 대표적으로 Lear의 관점을 공유하는 학자들은 이 구절을 근거로 감각 대상이 기하학적 ‘완전성’을 그 자체로 구현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첫 번째 목적은 Lear의 해석과 그것으로부터 연유한 현대의 지배적인 해석을 논박하는 것이다. 해당 구절에 대한 정확한 독해는 아리스토텔레스 수학철학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Lear의 해석 비판이라는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달성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작업이다. 두 번째 목적은 해당 구절이 제기하는 직선의 존재론적 위상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석상의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과 확장된 해석을 제안하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경우에 따라 기하학적 대상을 형상적 측면과 질료적 측면으로 분리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이때 두 측면으로의 분리는 여러 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정의적’ 차원의 분리를 넘어서, 존재론적이고 ‘공간적인’ 차원의 분리임을 증명할 것이다. 이렇게 직선을 존재론적이고 공간적으로 사유할 때, 우리는 예전 부터 연구자들을 괴롭혀 온 『영혼론』 1권 1장의 해석하기 어려운 구절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There have been many different interpretations about De Anima 403a10-16. Among them some scholars following Lear claim that this paragraph shows sensible objects realize the geometrical ‘perfection’. First of all this paper will refute Lear’s interpretation and the recent dominant position following him. It is necessary to read this phrases exactly in order to understand Aristotle’s mathematical philosophy properly and refute Lear’s interpretation efficiently. Secondly this paper will present a new interpretation about the ontological status of straight line that this paragraph can show. And then by presenting this refutation and the extended interpretation, this paper will show that Aristotle separate geometrical objects into the ‘formal’ and the ‘material’ in some cases. And this separation will be proved to be ontological and ‘spacial’ separation over ‘definitional’ sepation. And this way of separation will make the one difficult paragraph in De Anima 1.1 to be understandable.

      • KCI등재

        감정노동을 수반하는 접점직원의 관리에 관한 연구

        전인수(Jeon, In-Soo),유재민(You, Jae-Min) 한국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연구 Vol.29 No.5

        본 연구는 이른바 ‘갑’질이 사회적 쟁점으로 등장하여 관심을 끌게 된 감정노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다. 서비스노동은 기존의 제조경제 노동과는 달리 고객을 직접 상대하는, 즉 쌍방작용성이란 직무특성으로 인해 감정적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이를 감정노동이라 한다. 따라서 이런 직무를 담당하는 직원의 관리는 모순에 직면하게 되는데, 서비스품질과 생산성이다.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서비스-이익사슬모델과 내부마케팅모델이다. 두 모델은 접점직원만족을 중심으로 논리를 전개하고 있어 유사한데, 접점직원이 감정노동을 수반하는 직무를 수행한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는 한계를 공히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서비스경제로의 전환과 함께 인적자원관리 연구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자기결정성이론과 접점서비스를 할 때 가장 중요한 신념으로 논의되는 고객지향성에 근거하여 두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세 가지 가설을 제기하여 대표적인 감정노동의 현장인 증권회사 인바운드 콜센타상담사를 대상으로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감정노동을 수반하는 접점직원관리의 기존모델을 수정하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두 모델 모두 자기결정성이 높은 관리방식인 서비스유연성으로 접점직원의 만족을 유도해야 한다는 점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고객지향성을 두 모델 모두에 매개변수로 강조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이익사슬은 “자기결정성이 있는 내부서비스품질 → 직원만족 → 고객지향성 → 서비스성과(고객만족, 고객애호도, 매출 및 이익 등)”로, 내부마케팅모델은 “자기결정성이 있는 내부마케팅활동 → 직원만족 → 고객지향성 → 서비스성과”로 수정할 것을 제안한다. The unethical behavior of party A(denoting the superior party in an unequal contractual relation), ‘Gapzil(in Korean)’, has become a social issue after the incident involving an executive of a big corporation and a cabin crew member of a Korean Air Flight. Although manufacturing economy was shifted to service economy and information economy, emotional labor hasn"t received attention by academic and social area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nagement of emotional labor, while the existing study has studied these subjects focusing mostly on emotion and the emotion-coping strategy. To solve the paradox of enhancing service quality and productivity in the frontline service at the same time, the management of emotional labor has been approached with two models; service-profit chain and internal marketing. The two models, focus on the satisfaction of frontline employees and have a weakness of not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emotional labor. To solve the paradox, this study aims to find new ideas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customer orientation. To that end, three hypotheses are proposed and tested using data from an in-bound call center of a Korean securities brokerage companies. The result shows that the service flexibility has a high impact on caller"s satisfaction. This is to say, among the internal marketing mix, self-determination factor is the key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emotional labor most effectively. Secondly, emotional labor"s satisfaction, mediated by customer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This is to say that the paradoxical task of enhancing both the employee satisfaction and service performance is solved through the deep belief of frontline employee towards customer orien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can suggest two modified models as follows; “service quality based on self-determination → employee satisfaction → customer orientation → service performance”, “internal marketing based on self-determination → employee satisfaction → customer orientation → service performance.”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