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지역 강우의 화학적 특성 I. pH 및 주요이온의 시ㆍ공간적 변화

        전은주,양한섭,옥곤,김영섭,Jeon, Eun-Ju,Yang, Han-Sub,Ok, Gon,Kim, Young-Sub 한국환경과학회 1998 한국환경과학회지 Vol.7 No.5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was investigated in Pusan are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November in 1996 at 4 sites, and analyzed pH, major soluble ionic components(C $l^{[-10]}$ , N $O_3$$^{[-10]}$ , S $O_4$$^{2-}$, N $a^{+}$, $K^{+}$, N $H_4$$^{+}$, $Mg^{2+}$, $Ca^{2+}$). The order of anion and cation concentrations for the initial precipitation were C $l^{[-10]}$ > S $O_4$$^{2-}$ > N $O_3$$^{[-10]}$ , and $Ca^{2+}$ > N $a^{+}$ > N $H_4$$^{+}$ > $Mg^{2+}$ > $K^{+}$, respectively. At coastal sites(P1 and P2) C $l^{[-10]}$ and N $a^{+}$ of maritime sources (seasalt) were high, but at inland sites(P3 and P4) nss-C $a^{2+}$ and nss-S $O_4$$^{2-}$ were high. Calcium ion for the initial precipitation showed high value of enrichement factor(EF) relative to seawater composition. The contribution of seasalt to the composition of precipitation was higher at bite P1 (53.5%) than those of the other sites. Throughout the year the concentrations of major ions for the initial precipitation were low in the heavy rain season. The mean pH for the initial precipitation was 5.4 and showed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precipitaion amount. The S $O_4$$^{2-}$ and N $O_3$$^{[-10]}$ do not play an important role in rain acidification due to the high(97%) neutralizing effect of amonia and calcium species.and calcium species.

      • 간호대 학생과 일반대 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

        전은주,노영미,유순미,오수연,박금숙,Jeon, Eun-Ju,Noh, Young-Mi,Ryou, Soon-Mi,Oh, Su-Yeon,Park, Kum-Suk 대한한의정보학회 2015 大韓韓醫情報學會誌 Vol.21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image of nurses on major and non-major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120 nursing school students and 120 other university students in J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T-test, ANOVA were performed by SPSS/PC 20.0. Results: The score for image of nurses was as follows. special image($3.86{\pm}0.51$), traditional image($3.71{\pm}0.53$), individual image($3.53{\pm}0.85$), social image($3.43{\pm}0.58$), and grand mean($3.66{\pm}0.48$). Perceived image of nurses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of a major and non-major(t=6.390, p<.001). Conclusion: It is needed to monitoring of media for the improvement the perceived image of nurses and also nurses have to try to make an individual role model.

      • KCI등재

        성대에 발생환 혈관종 1예

        전은주,박용수,이승균,김동기,Jeon, Eun-Ju,Park, Yong-Soo,Lee, Seung-Kyun,Kim, Dong-Kee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04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15 No.1

        Hemangioma of the larynx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adult and infantile form. More common infantile form usually arises on subglottic portiion and may cause respiratory distress. Adult form is rare and arises on vocal cord or above. Vocal cord hemangioma was rarely reported in the medical literature. Since Kimmelman et al reported vocal hemangioma in 1979 first, there are four cases of vocal hemangioma reported in medical literature.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vocal cord hemangioma and successfully removed it with micro-laryngeal surgery. Hence we report this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자유학기의 수업 운용과 의사소통 활동에 대한 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전은주 ( Jeon Eunju ) 국어교육학회 2017 國語敎育學硏究 Vol.52 No.2

        이 연구에서는 자유학기를 담당했던 국어과 교사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의 국어과 및 자유학기 활동의 구성과 자유학기제 수업으로 인한 국어과 교수-학습 문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 자유학기 수업 내 학습자의 구어 의사소통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유학기제 하에서 교과로서 국어과 수업에서는 융합 연계활동보다 진로 연계 활동을 더 많이 하고 있으며, 교과 간 융합 연계 활동보다는 자유학기 활동으로서 국어과에 관련된 활동을 더 활발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어 교사는 자유학기제 수업을 하면서 학습자의 의사소통 수행 기회가 증가하였고, 학습자의 의사소통 수행 능력이 향상하였으며, 의사소통 학습의 필요성이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사의 인식을 전은주(2017)의 학습자 대상 연구와 비교해 본 결과, 면담 수행 기회 증가, 토론 능력 신장, 토의 능력 신장, 면담 능력 신장, 대화 능력 신장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 밖에 국어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학습자의 의사소통 수행 시 겪는 어려움 혹은 문제점에 대한 반응을 분석해 본 결과 토론, 토의, 발표, 대화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어과 의사소통 교육의 개선 방향을 내용, 방법, 평가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orean teachers in charge of the free semester on the issues related with the Korean teaching-learning lessons. In addition, it also investigated how the teachers recognize speech communication activities during free semester period. The result shows that during Korean classes as a subject, more time is spent on the career-related activities than on th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activities. For free semester activities, more time is spent on the activity related to Korean subject, rather than inter-subject convergence activities. Furthermore, Korean teachers evaluate that, due to the free semester, students are given increased opportunity for communication, have improved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feel the necessity of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To compare the teachers` response with that of the learners (Jeon, 2017),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terms of increased opportunity for interviewing, and improved capacity of debate, discussion, interview and conversation. Besides, the teachers` recognition on the student`s response to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encountered during communication was remarkably different from the responses by the students themselves in the fields of debate, discussion, presentation and conversation.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way to improvement for the Korean classes in terms of contents, method, and assessment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국어 표준 화법의 현황과 개선 방안 ; 호칭어,지칭어의 표준 화법 실태와 개선 방안

        전은주 ( Eun Joo Jeon ) 한국화법학회 2009 화법연구 Vol.0 No.15

        현행 표준 화법이 만들어진지 17년이 지났고 그간 우리 사회, 문화 등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현행 표준 화법에 제시된 호칭어·지칭어의 문제점을 분석한 뒤 향후 `표준 화법`의 호칭어·지칭어를 재선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점을 탐색해 보았다. 이 연구에서 `표준 화법`에 제시된 호칭어·지칭어 사용의 적절성 정도를 6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본 결과 일부 호칭어·지칭어는 현재 언중들의 언어생활에 비추어 적절하지 못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표준 화법`에는 없지만 일상적으로 많이 쓰이는 호칭어·지칭어 중 일부를 다수의 피조사자들이 적절한 표현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현행 `표준 화법`의 호칭·지칭어 규범이 안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이 개선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첫째, 호칭이나 지칭에 널리 사용되는 비표준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둘째, 발화자의 상황 특성 구분을 세밀하게 하여야 한다. 셋째, 말을 듣는 상대방의 연령을 제대로 반영하여야 한다. 넷째, 시대의 변화에 따른 사회·문화적인 인식의 변화를 충분히 담아야 한다. 다섯째,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표현이라고 해서 다 적절하다고 할 수는 없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여섯째, 새롭게 생긴 호칭·지칭어 중 언중들에게 설득력이 있는 것을 반영하여야 한다. 이 밖에 호칭어·지칭어 표현의 자연스러움과 경제성에 대하여 고려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는 점 또한 개선되어야 한다. This study review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 usage and showed some of the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language life of the population. Besides, some expressions,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standard speech but commonly used in the every day life were regarded as appropriate by many participants in the surve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with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 in the current standard speech,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improvements; First, we must solve the issues of nonstandard expressions commonly used for calling or indicating a person. Second, a fine discrimination should be made for the situation of the caller or indicator. Third, the age of the listener should be included. Fourth, improvements should involve the changes of social and cultural. Fifth, we must acknowledge that not all the traditional expressions are appropriate. Six, among the new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 some expressions that are generally admitted by the population need to be accepted. More over, considerations should be made for naturality and economicality of the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 expressions.

      • KCI등재

        귀국 학생을 위한 국어과 화법교육

        전은주 ( Eun Ju Jeon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4

        이 연구에서는 귀국 학생의 국어 화법 능력과 학교 적응의 관련성을 탐색해 보고, 귀국 학생의 국어 화법 수행에 나타난 문제점을 살펴본후 이들의 화법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귀국 학생의 한국어능력을 언어 손실 정도에 따라 한국어 유지 단계(1유형), 학습 한국어 손실 단계(2유형), 생활한국어 손실 단계(3유형), 기초 한국어 단계(4유형)로 구분하고 이들 유형별로 학교 적응과 국어과 듣기·말하기 학습 능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귀국 학생의 화법 수행을 살펴본 결과, 토론 기능의 미숙, 공식적 말하기 기능 미숙, 일반적 말하기 기능 미숙, 문장 구조, 사고를 표현하는 능력 부족, 어색한 비언어, 준언어 표현, 자신감의 부족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귀국 학생을 위한 국어과 화법교육은 수준별 교육의 관점 하에 귀국 학생의 담화 유형 학습에 결손이 있는 부분을 점검해보고 이에 대한 보충학습을 제공하여 화법 능력 신장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있게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귀국 학생에게 맞는 화법 교수-학습 내용과 순서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이 밖에 귀국 학생의 공식적 말하기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수행 경험의 확대, 계획적인 과제 부과, 교사의관심과 긍정적 피드백 등이 필요하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Korean speech proficiency and school adaptation of the returnees from abroad. It also explored the issues of their Korean speech performance and suggested appropriate plans for educating them to improve the speech proficiency. The study graded their Korean competence into four levels - maintenance level (type 1), loss of Korean for learning (type 2), loss of Korean for living (type 3) and basic Korean level (type 4). It investigated the school adaptation and Korean speaking-listening competence for the four levels. Analyzing the speech performance of the returnees exhibited immaturities in debate skill, formal speech skill, general speech skill, expression of their thinking, awkward non-verbal or para-language expression and loss of self-confidence. Therefore, the speech education for the returnees must check the loss of learning of the discourse type in terms of education by level and provide supplementary education in order to reach thegoal of improving speech capability. Besides, it also needs to restructure the contents and sequence of the curriculum for speech communication.

      • KCI등재

        국어 교과의 영역명에 관한 일고 -듣기,말하기 영역을 중심으로-

        전은주 ( Eun Joo Jeon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2 No.-

        이 글에서는 국어과 영역명의 사적 변천을 살펴보고 영역 구분 이후 붙이는 명칭인 영역명이 어떤 기능을 하며, 국어과에서 영역명을 명명할 때 어떠한 원리가 적용되는지를 탐색해 보았다. 국어과의 영역명은 1) 국어 교과에서 지도할 것을 가르는 기능, 2) 영역간 교육 내용을 구별해 주는 기능, 3) 영역의 교육 내용 혹은 교육 내용의 성격을 뚜렷하고 분명하게 하는 기능이 있다. 그러므로 영역명이 가진 이러한 기능에 맞는 명명의 방법이 필요하다. 국어과에서 그동안 추구해온 영역명 명명의 원리로는 구별성, 대표성, 명료성 등이 있다. 구별성이란 영역의 명칭이 서로 분명히 구별되게 하여야 한다는 것이며, 대표성은 영역의 명칭이 그 영역의 교육 내용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명료성은 영역의 명칭이 그 영역의 교육 내용과 교육 내용의 성격을 명료히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2011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는 영역명으로서 타당하지 못한 점이 있다. 영역명으로서 ``듣기?말하기``는 대표성, 명료성의 명명 원리를 충족한다고 보기 어렵다. 차라리 기존 ``듣기``와 ``말하기`` 영역명을 병렬적으로 나열하지 말고 영역 교육 내용의 성격을 드러낼 수 있는 융합적인 명칭인 ``구두 언어 의사소통``이 영역명으로서 더 적절하므로 추후 이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overviews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the domain nomenclatu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xplores the functions and the rules applied in naming the domains. In the Korean education,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grammar and literature have changed their names several times, depending on the transition of Korean curriculum. The domain name has several functions - 1) defining the contents for instruc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2) delineating the contents for education pertaining to each domain, and finally, 3) characterizing the contents of each domain. Therefore, one needs a proper method for nomenclature, considering its functions. The principles for nomenclature in Korean education have been discriminability, representability and clarity. Discriminability signifies that one domain of Korean education should be discriminable from another by the names. Representability means the name should represent the contents of each domain. Clarity means that the name of each domain should clearly show the cont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The domain name ``listening-speaking``, which was born when the 2011 Korean Curriculum changed the domain nomenclature system based on five domains, is not suitable as a domain name. The ``listening-speaking``, as a domain name does not meet the principles of representability and clarity. In stead of combining the two previous domain names-listening and speaking-in parallel, I suggest for consideration a more comprehensive name, ``oral communication``,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ain more properly.

      • KCI등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실상과 과제 ―화법

        전은주 ( Eunju Jeon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1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공통 교육과정 국어 ``듣기·말하기`` 영역과 선택 교육과정의 ``화법과 작문`` 과목 중 화법에 제시된 성취기준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러한 교육과정 내용의 실행에 앞서 선결되어야 할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구어 의사소통-화법 교육의 내용은 이전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을 가진다. 첫째, 국어 교과 역량을 모두 중시하지만 특히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에 강조점을 두어 전 학년(군)에 걸쳐 이에 대한 교육 내용이 제시되어 있다. 둘째, 성취기준의 배열에 현장 요구와 학습자의 발달 수준을 적극 반영하여 ``면담``, ``배려하며 말하기``, ``협상`` 학습 관련 성취기준의 학년(군)이 조정되었다. 셋째, 화법 성취기준 간 위계성 및 연계성을 강화하였으며 특히 담화 유형 학습, 듣기 학습, 듣기· 말하기 과정 및 전략 학습 등에서 이것이 잘 나타나고 있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화법 교육의 내용이 현장에서 잘 실행되기 위해서는 교과서 개발과 교수-학습 실천 시 수행 중심 교수-학습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 성취기준 수 감축으로 인해 심화 반복학습을 하지 못한 부분에 대하여 교과서 개발 시 별도의 보완 방안이 필요하다. 아울러 담화 유형 학습에서 성취기준별로 세부 수행 수준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hievement goal provided by the speech section of the Korean ``Listening-Speaking`` (a common course) and ``Speech and Composition`` (a selective cours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resent study discussed the prerequisit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a.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the three characteristics distinct from the previous ones. First, it puts an emphasis on, as well as all the other parts of the Korean education, the cap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community and provides the contents for education throughout all grades. Second, the curriculum put the feedbacks from the teachers` and the learners` developmental stage into consideration and readjusted the achievement goals for each grade in such fields as ``interviewing``, ``considerate speech``, and ``negotiation``. Third, it fortified the hierarchal systems and liaisons between the achievement goals for speech communication ― particularly, in the discourse type education, listening education, listening-speaking process, strategy education and so on. In order to put into practice the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goals of the Curriculum, performance-based teaching-learning is important when developing a textbook or carrying out the teaching-learning. And, when developing a new textbook, we need supplementary tools to ensure a deepened and repeated learning. Besides, detailed performance criteria are warranted for each level of achievement for discourse pattern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