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섬유 및 폴리아미드 섬유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전단성능 평가

        전영선,이장화,전중규,Choun,Young-Sun,Lee,Jang Hwa,Jeon,Joong Kyu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3

        콘크리트 전단벽 구조는 지진과 같은 큰 수평 반복하중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이상적인 구조시스템이다. 특히 섬유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벽에서는 연성이 크게 향상되어 취성파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내진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통콘크리트에 강섬유와 폴리아미드 섬유를 혼합하여 제작한 전단벽의 전단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반복하중에 대한 벽체의 이력거동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최대전단력은 강섬유 콘크리트 시험체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통콘크리트 시험체에서의 최대전단력에 비해 크게 증가하지는 못했다. 변위 연성능력과 에너지 소산능력은 강섬유 콘크리트 시험체에서 탁월하게 나타났으며, 폴리아미드 섬유 콘크리트 시험체에서는 보통콘크리트와 강섬유 콘크리트 시험체의 중간 정도의 전단성능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A concrete shear wall system is an ideal structural system that can effectively resist large horizontal cyclic loads such as earthquakes. In particular, a significant increase of the ductility in fiber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s can prevent a brittle failure and thus can enhance seismic resisting capacity significant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hear resisting capacity of shear wall specimens, which are constructed with steel fibers or polyamide fibers reinforced concrete, by comparing hysteresis curves obtained from reversal cyclic tests. The shear resisting force in the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pecimen was larger than those in plain and polyamide fiber reinforced concrete specimens, but the increase was not great. The shear resisting capacity of the polyamide fiber reinforced concrete specimen was larger than that of plain concrete specimen, but smaller than that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pecimen.

      • KCI등재

        북한 문화예술에서 리얼리즘과 환상의 접점

        전영선(Jeon, Young S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9 No.-

        이 글은 고전소설 <심청전>과 <용궁부연록>의 분석을 통해 북한문학과 환상의 접점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북한문학은 리얼리즘을 유일한 창작방식으로 한다. 때문에 민족문학의 수용에서 ‘환상’은 논란이 되었던 요소이다. <심청전>과 <용궁부연록>을 비롯한 김시습의 작품은 북한문학사에서 높게 평가되는 작품이다. 동시에 리얼리즘과는 대척적인 위치에 있는 작품이다. 이 논문은 북한 문학계에서 문학사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두 작품에서 ‘환상’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 지를 살폈다. <심청전>은 광복이후 북한에서 창작된 최초의 연극 작품이었다. 연극에서는 심청의 개안(開眼) 장면이나 용궁장면은 꿈으로 처리하였다. 문학사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인민들이 즐기던 고전문학이었지만 환상적인 요소를 그대로 수용할 수 없었다. 연극을 본 김일성은 <심청전>의 환상부분에 대해 ‘당대 사회 인민의 염원과 지향’으로 규정하면서, 다시 무대에 올릴 것을 지시하였다. 김일성의 언급은 이후 고전문학의 환상적인 요소를 민족문학적 특성으로 수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비록 환상적인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그속에는 인민대중의 염원과 생활감정, 그들의 재능과 지혜가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는 ‘중세적 환상’의 개념이 생겨난 것이다. <용궁부연록>은 김시습의 『금오신화(金鰲新話)』에 수록된 다섯 작품 가운데 한 작품이다. 글 잘하는 선비 한생이 용궁에 가서 상량문을 쓰고, 잔치에 참석하고 돌아온다는 이야기이다. <용궁부연록>의 환상성에 대해서는 시대적인 제약으로 드러낼 수 없는 현실 문제를 환상을 이용하여 우회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수법으로 평가하였다. 북한문학에서 유일하고도 올바른 창작 방식으로 인정하는 것은 주체사실주의이다. 하지만 <심청전>과 <용궁부연록>에 대한 해석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전문학에 대한 수용에서 그리고 아동문학이나 아동영화에서 환상성은 창작의 요소로 인정된다. 뿐만 아니라 최고지도자의 우상화와 관련된 혁명설화나 혁명역사의 등의 ‘환상’이 공존하고 있다. 고전 수용에서 적용된 인민의 염원이라는 명분은 최고지도자와 관련된 환상적인 이야기를 수용하는 토대이기도 하다. The study focused on how the fantasy is embraced and diffuses in North Korea where the realism is the solid principle of creation. Subjects of analysis are classic novels <SimCheong-Jeon> and <Yong-Goong-Bu-Yeon-Rok>. Both novels are highly appreciated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At the same time, they are mostly confronted with the realism which is strongly stressed in North Korean literature. The way two meaningful novels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dealing with fantasy will be studied. <SimCheong-Jeon> is the first play work in North Korea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It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pertories of publication or theatrical production until 1950s. However, it became hard to find records of <SimCheong-Jeon> from North Korean literature after 1960s. It was 1990s when <SimCheong-Jeon> came back to stage. 30-year-gap was caused by the controversy over the fantasy of <SimCheong-Jeon>. Kim, Il-Sung defined the fantasy of <SimCheong-Jeon> as “people’s desire and aim of the day” and commanded to put the play on the stage. <Yong-Goong-Bu-Yeon-Rok> is one of the five stories in 『Geumo Sinhwa』 by Kim, Si-seup. It is about the story of Han-Saeng who writes well; the king of the sea called scholar Han-Saeng to write ‘Sang-Ryang-Moon’ and threw a party for him. Fantasy was the problem when Kim, Si-seup’s literary value was evaluated. The usage of fantastic elements while describing the life of people was explained as periodical limitation. It was possible to be called “classic” because the fantasy was justified as indirect expression of practical problems in restricted age. North Korean literature allows realism on Juche ideology as the only way to create a work. However, fantasy such as interpretation of classical novel, creating principle of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story of revolution related to idolization of supreme leader has also coexisted.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과 한국인의 집단적 경계 만들기 또는 은밀한 적대감

        전영선(Jeon, Young S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8 No.-

        이 글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과 한국인의 집단적 경계 만들기 또는 은밀한 적대감을 분석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정착 과정에서 문화적응 문제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의 하나이다.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정착은 북한이탈주민의 일방적인 적응의 문제로 접근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 문제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남북한의 문화적 갈등이 생각보다 크고, 문화적 차이가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에 큰 장애가 되기 때문이다. 북한이탈주민과 한국인의 문화적 갈등은 문화적 차이에 대한 편견에 그치지 않는다. 문화적 차이는 폭력적 현상과 연관된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배타적 인식, 경멸과 무시의 폭력적 시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보이지 않은 폭력에 대한 무감각 등의 현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폭력성은 다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부정적 시선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고, 다시 폭력적인 현상으로 이어지는 악순환 고리를 형성한다.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는 남한 주민의 잘못된 시각이 결정적이다.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시선으로 옮겨진다. 북한에 대한 정보가 제한된 남한 주민들은 북한에 대한 인식을 그대로 북한이탈주민에게 전이(轉移)하거나 북한이탈주민 개개인의 특성을 무시하고 과도하게 일반화 한다. 북한이탈주민은 남한 주민의 부정적 시선으로부터 차이를 인식하고, 스스로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드러나지는 않지만 남북의 문화적 차이는 남한 사회 내에서도 새로운 적대감을 형성하고 있다. The aim of the paper is analyzing collective border building or secret enmity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 and Korean. The issue of encultu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n socie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Social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has been considered as unilateral adaptation issue. However, 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s is becoming a major question recently, because cultural conflic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s larger than thought, and it has been a barrier to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cultural confliction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 and Korean is more than a prejudice. Cultural differences are related to violent phenomena. It appears as exclusive recognition towards North Korean defectors, abusive gaze of contempt and ignorance, insensibility to invisible violence towards North Korean defectors. Such violence forms negative attention to North Korean defectors again, leads more violent phenomena, and becomes a vicious circle. The wrong perspective of South Korean is crucial to difficulty of North Korean defectors during the enculturation process. Negative awareness on North Korea affects the perspective on North Korean defectors. South Koreans, who have only limited information about North Korea, project their perception of North Korea to North Korean defectors, or even overgeneralize North Korean defectors igno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North Korean defectors realize difference from negative gaze from South Korean and develop their own identities. It is invisible but cultural differenc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orms new hostility in society of South Korea.

      • KCI등재

        북한의 문예조직 형성과 문학의 주체화

        전영선(Jeon Young-sun) 중앙어문학회 2011 語文論集 Vol.48 No.-

        This research examines the building history of North Korea's literature circle and the Juche literature. Upon liberalization from Japanese colony, Korean authors participated into recovering of Korean culture with efforts to organize a literature organizations comprehending the right and left wing. However, an ideological difference catalyzed division of the literature circle depending on their preferred ideology. Then Korea authors should stand one side by one's ideological view since the liberalization was embedded on the outset of Cold War international order. At that time, South Korean government did not have obvious policy dealing with authors and artists. Meanwhile North Korean government aggressively brought authors and artists into its control and encourage them to build their organization prop up propaganda of the newly commenced Socialist regime. North Korea's Worker's party leaded the building of nationwide author's organizations that resulted in the Party-oriented writings. The party justified inspection under a cause of rooting out vestiges of Japanese colonialism and suppressed liberal writing atmosphere. The inspection continued to achieve the Party-driven writings. An "Eunghyang occurrence" marked the shifting point from liberal writing environment to the Party-driven creation atmosphere. After the occurrence, the North Korean literature maintained as a regime-friendly litera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