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양한 복막투석액과 크레아티닌 측정 시스템에 따른 포도당에 의한 크레아티닌 간섭의 비교 평가

        전보현,임정훈,임종백,박용정,이정은,김범석,박형천,김정호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24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14 No.1

        배경: 복막평형검사는 복막투석 환자의 복막 이동능을 반정량적 결과로 평가하는 검사로서 복막투석의 적정성 여부와 환자의 예후 및 다른 신대체요법으로의 변경 등을 결정하는데 유용하다. 복막투석액의 크레아티닌을 측정할 때 복막투석액의 고농도의 포도당은 크레아티닌 값에 양성 오차를 일으키므로 이를 교정하는 교정인자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종류의 복막투석액과 측정기기에 따라 세분화된 교정인자를 구하고 평가하였다. 방법: 3개 제조사 복막투석액에서 크레아티닌을 검사 원리 및 측정기기에 따라 5개 검사 시스템으로 나누어 각각 측정하고 포도당 농도에 따라 A방법(Twardowski) 및 B방법(선형회귀분석)에 의한 새로운 교정인자를 구하였다. 복막투석액의 종류에 따른 교정인자를 통해, 실제 2년간 3개 병원에서 시행한 복막평형검사 반정량적 이동능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검사 결과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결과: 복막투석액 종류, 크레아티닌 측정기기 및 원리에 따라 A방법의 교정인자는 0.000051183–0.000221729 범위의 결과 값을 보였으며, B방법의 교정인자 기울기 값은 0.000106270–0.000285902의 범위를 보였고 절편 값은 –0.248825054에서 –0.08519815까지 사이로 측정기기 및 복막투석용액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새로운 교정인자를 2년간의 204회의 임상 증례에 후향적으로 적용하여 복막평형검사 결과 차이를 확인하였을 때, A교정방법의 경우 매우 높은 일치도(weighted kappa=0.95)를 보였으며 B교정방법의 경우에도 높은 일치도(weighted kappa=0.82)를 보였으나 시스템 별로는 일치도가 달랐다. 결론: 크레아티닌 측정법과 복막투석액의 종류에 따라 복막평형검사의 교정인자에 차이가 있었고, 비록 실제 복막평형검사의 반정량적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지만, 일부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 크레아티닌 검사법 변경 시에는 새로운 교정인자 산출이 필요하다. Background: The peritoneal equilibrium test (PET), a semi-quantitative assessment for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helps evaluate suitability, prognosis, and modality changes. High glucose concentrations in peritoneal dialysates (PD) can interfere with creatinine assays, necessitating a correction factor (CF). We calculated the CF for various PD and creatinine measurement methods. Methods: Creatinine and glucose levels in the PD from three manufacturers were determined using five systems of measurement principles and analyzers. New CFs were calculated using method A (Twardowski) or B (linear regression).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equivalence of the 204 PET semiquantitative transfer results obtained over two years using the new and old CFs. Results: The calculated CF of method A ranged from 0.000051183 to 0.000221729, depending on the type of PD and creatinine measurement system. The CF of method B had a slope ranging from 0.000106270 to 0.000285902 and an intercept ranging from -0.248825054 to -0.08519815 for each combination. We found very good agreement between the PET results obtained by applying the new CFs and those obtained by applying the old CFs (weighted kappa=0.95) with method A and a substantial agreement (weighted kappa=0.82) with method B, with variations according to the systems. Conclusions: The CF of PD differed according to the creatinine measurement systems and PD types. Although there was good agreement in PET results between new and old CFs, we propose the application of the new calculated CFs with the new creatinine measurement method because some cases showed less agreement.

      • KCI등재

        농악장단 중(中) 칠채의 구조와 연행양상

        전보현 ( Bo Hyun Chun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이화음악논집 Vol.22 No.3

        이 연구는 경기풍물 중 칠채의 리듬 분석과 연행형식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이는 경기 풍물지도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일반 학생들의 전통 장단에 대한 이해와 관심의 변화를 이루고, 궁극적으로는 전통음악의 올바른 전승 방법에 대하여 생각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칠채의 기본 형태에서는 3분박(♩+♪)의 형태가 총 8개를 사용하였으며 2분박(♩)의 형태가 총 6개를 사용하였다. 내는 가락에서는 기본형태에 3분박(♩+♪)과 다른 3분박(♩.)의 형태를 확인 할 수 있다. 첫 번째 변형가락은 기본가락의 형태에서 꾸밈음을 넣어주어 겹가락의 느낌을 내주는 형태를 확인하였고, 두 번째 변형가락은 4분음표(♩)를 8분음표(♪)로 분할하여 연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 변형가락은 두 번째 변형가락에서 꾸밈음만 빼준 것을 볼 수 있다. 맺음가락은 원진을 다 말고 연주의 속도가 절정에 도달했을 때 풀기위하여 내어주는 신호가락으로 총 36박으로 연주를 이어서 하는 것이 특징이다. 푸는 가락은 원진에서 풀어 나올 때 사용하는 가락으로 벙어리 칠채라고도 말한다. 칠채를 연주하면서 만드는 원진은 총 동, 서, 남, 북, 중앙을 다섯 방향으로 만들어 가며 오방진이라고 설명한다. 본고를 통하여 우리나라 전통음악 전승의 변화가 이루어졌다고 보이며, 아울러 다른 경기 지역 풍물의 칠채의 변화 및 전승현황에 대하여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앞으로 경기풍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많은 도움과 발전이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considers a rhythmic analysis and acting form of Chilchae garak among Kyungki Pungm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ducation program to instruct Kyungki Pungmul for ordinary students so that they can change their understanding and interest about Korean traditional rhythm, and ultimately to contemplate the proper transmiss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basic form of Chilchae garak, 8 of three beats (♩+♪) forms are used in total and 6 of two beats (♩) forms are used in total. In Naeneun garak, three beats (♩+♪) and other three beats (♩.) forms are confirmed in the basic form. The first variation garak confirms the form to show Gyub garak sense by adding ornaments to the basic garak form, and the second variation garak, it is confirmed that a quarter note is divided into an eighth note(♪) and played. The third variation garak is same as the second variation garak only except for subtracting ornaments. Maetjeum garak is a signal garak which is to form a circle formation and release it when the speed of performance reaches to the peak and it has a characteristic to be played in thirty six beats in total. Puneun garak is refered to Beongeuri garak which is used to be released from the circle formation. While Chilchae garak is being played, the circle formation is made toward 5 directions; east, west, south, north, center and it is also explained as Obangjin. It is seemed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transmiss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 this article, and the research for the change of Chilchae garak of Pungmul in other Kyungki area and the condition of transmission is required. We hope that this will be a great help and development to raise the understanding about Kyungki Pungmul.

      • KCI등재

        고지방식으로 생육한 생쥐 간에서 백삼과 홍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전보현(Bo Hyun Jeon),성금수(Geum Su Seong),전승기(Seung Gi Chun),성종환(Jong Hwan Sung),장재철(Che Chul Chang) 고려인삼학회 2005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29 No.3

        This study was to examine antioxidative effects of ginseng extracts on liver of high fat diet-treated mice. ICR male mice were given high fat diet with red ginseng or white ginseng extracts (500, 1500, 3000 ㎎/㎏/day, orally) for 4 weeks. We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pid peroxidation and ginseng extracts on the oxidative stress. We measured the levels of malondialdehyde (MDA, a marker of lipid peroxidation), hydrogen peroxide,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nd glutathione (GSH) in liver tissue. The activities of SOD was generally low in all ginseng extract groups. But the activity of GPx was high in all ginseng extract groups. The hydrogen peroxide contents were similar in almost all groups. The level of GSH was higher in all ginseng extract group in high fat diet (FD) group. The levels of MDA (the end product of lipid peroxidation) were lower in all ginseng extract groups than in FD group. These results that the antioxidant effects of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extracts prevent oxidative damage by antioxidant effects involving SOD, GPx and increasing the ability of the body to synthesize endogenous antioxidants. It was concluded that ginseng can protect against oxidative stress by high fat diet through its antioxidant properties.

      • KCI등재

        농악장단 중(中) 칠채의 구조와 연행양상

        전보현 ( Bo Hyun Chun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이화음악논집 Vol.22 No.2

        이 연구는 경기풍물 중 칠채의 리듬 분석과 연행형식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이는 경기 풍물지도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일반 학생들의 전통 장단에 대한 이해와 관심의 변화를 이루고, 궁극적으로는 전통음악의 올바른 전승 방법에 대하여 생각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칠채의 기본 형태에서는 3분박(♩+♪)의 형태가 총 8개를 사용하였으며 2분박(♩)의 형태가 총 6개를 사용하였다. 내는 가락에서는 기본형태에 3분박(♩+♪)과 다른 3분박(♩.)의 형태를 확인 할 수 있다. 첫 번째 변형가락은 기본가락의 형태에서 꾸밈음을 넣어주어 겹가락의 느낌을 내주는 형태를 확인하였고, 두 번째 변형가락은 4분음표(♩)를 8분음표(♪)로 분할하여 연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 변형가락은 두 번째 변형가락에서 꾸밈음만 빼준 것을 볼 수 있다. 맺음가락은 원진을 다 말고 연주의 속도가 절정에 도달했을 때 풀기위하여 내어주는 신호가락으로 총 36박으로 연주를 이어서 하는 것이 특징이다. 푸는 가락은 원진에서 풀어 나올 때 사용하는 가락으로 벙어리 칠채라고도 말한다. 칠채를 연주하면서 만드는 원진은 총 동, 서, 남, 북, 중앙을 다섯 방향으로 만들어 가며 오방진이라고 설명한다. 본고를 통하여 우리나라 전통음악 전승의 변화가 이루어졌다고 보이며, 아울러 다른 경기 지역 풍물의 칠채의 변화 및 전승현황에 대하여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앞으로 경기풍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많은 도움과 발전이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considers a rhythmic analysis and acting form of Chilchae garak among Kyungki Pungm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ducation program to instruct Kyungki Pungmul for ordinary students so that they can change their understanding and interest about Korean traditional rhythm, and ultimately to contemplate the proper transmiss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basic form of Chilchae garak, 8 of three beats (♩+♪) forms are used in total and 6 of two beats (♩) forms are used in total. In Naeneun garak, three beats (♩+♪) and other three beats (♩.) forms are confirmed in the basic form. The first variation garak confirms the form to show Gyub garak sense by adding ornaments to the basic garak form, and the second variation garak, it is confirmed that a quarter note is divided into an eighth note(♪) and played. The third variation garak is same as the second variation garak only except for subtracting ornaments. Maetjeum garak is a signal garak which is to form a circle formation and release it when the speed of performance reaches to the peak and it has a characteristic to be played in thirty six beats in total. Puneun garak is refered to Beongeuri garak which is used to be released from the circle formation. While Chilchae garak is being played, the circle formation is made toward 5 directions; east, west, south, north, center and it is also explained as Obangjin. It is seemed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transmiss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 this article, and the research for the change of Chilchae garak of Pungmul in other Kyungki area and the condition of transmission is required. We hope that this will be a great help and development to raise the understanding about Kyungki Pungm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