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선수를 위한 스포츠 라이프스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장창용,임태희,배준수,정현우,김윤희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0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1 No.2

        목적: 이 연구는 국내 학생선수를 위한 라이프스킬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목적 을 달성하기 위해 총 세 단계를 거쳤다. 연구참여자는 우리나라 학생선수 494명 (연구 1=29; 연구 2=233; 연구 3=232)이었다. 결과: 연구 1에서는 귀납적 내용 분석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9개 범주에 90문항이 개발되었다. 연 구 2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7요인이 추출되었다. 7요인은 목표설정(4문항), 시간관리(3문항), 스트레스 대 처(3문항), 긍정적 생각(5문항), 갈등해결(5문항), 의사소통(3문항), 그리고 감정조절(3문항)이다. 연구 3에서는 확인 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 적합도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좋은 모델 적합지수를 나타냈다(x2/df=1.508, CFI=.938, TLI=.931, RMSEA=.047, SRMR=.056). 마지막으로,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스포츠 라이프스킬 척도는 동 시타당도와 수렴타당도 검사를 통해 타당성이 입증되었고, 학생선수용 라이프스킬 척도(Life Skills Scale for Student-Athletes; LSSSA)로 명명되었다. 결론: 새롭게 개발된 LSSSA는 우리나라 학생선수들의 라이프스킬 하위 요인들을 측정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것이다.

      • KCI등재

        Factor Structures of the Sport Character in Korean Athletes

        장창용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9 No.3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measure of sport character based on the model of moral act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332 Korean athletes (Mage=19.86 years, SD=2.28) enrolled in a variety of sports. Using SPSS Packag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main criteria used to identify the correct number of factors were a Parallel Analysis (PA) and theoretical interpretability. Results: First, a serie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ith an oblimin rotation extracted four factors with 27 items. Second, a series of principal axis factoring (PAF) utilizing a direct oblimin rotation extracted five factors with 27 items. Third, the two models were compa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most parsimonious and theoretically strong factor structure for the Sport Character Scale (SCS). Consequently, EFA suggested that a five-factor, 27-item model best fits the data. The factors included compassion, fairness, sportspersonship, antisocial attitude, and integrity. Conclusions: The newly developed SCS appeared to reflect unique characteristics of sport character in Korean athletes.

      • KCI등재

        학생선수와 지도자에 대한 스포츠 라이프스킬과 라이프스킬 전이의 효과 :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모형(APIM) 적용

        장창용,송홍선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2 체육과학연구 Vol.33 No.4

        [목적] 이 연구는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모형을 적용하여 학생선수와 지도자의 스포츠 라이프스킬 및 라이프스킬전이 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 연구에는 중·고등학교 운동부 학생선수와 지도자가 참여하였다. 학생선수는 300명(M age=15.44, SD =1.64; 남=218, 여=82)으로 평균 5.46년(SD =2.40)의 선수 경력을 가졌다. 한편, 지도자는 33명(M age=39.70, SD =8.36; 남=26, 여=7)으로 평균 13.52년(SD =10.01)의 선수 지도 경험이 있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로는 스포츠 라이프스킬 검사지(LSSSA; Jang et al., 2020)와 라이프스킬 전이 검사지(KLSTS; Lim et al., 2018)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해 기술통계, 상관관계,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모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선수 라이프스킬과 지도자 라이프스킬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선수의 스포츠 라이프스킬은 선수의 라이프스킬 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지도자의 스포츠 라이프스킬은 지도자의 라이프스킬 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지도자의 스포츠 라이프스킬은 선수의 라이프스킬 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선수의 스포츠 라이프스킬은 지도자의 라이프스킬 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이 연구는 스포츠 영역에서 선수와 지도자 두 집단의 라이프스킬 개발이 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과 아울러 선수와 지도자 상호 간에 스포츠 라이프스킬과 전이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통계적인 검증을 시도하였다. 비록상대자 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선수와 지도자 사이의 상호 영향 관계에 관한 후속 연구를 수행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즉, 스포츠 영역에서 라이프스킬에 대한선수와 지도자 사이에 나타나는 상호 영향 관계 규명과 함께 새로운 모델 구축 연구를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기대한다.

      • KCI등재

        다층모형 자료 분석을 적용한 운동선수들의 스포츠인성에 대한 사회심리적 분위기의 효과

        장창용,김경원,조은형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9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the social psychological climate on athletes’ sport character employing multilevel models. Participants were 339 student-athletes (274 makes, 65 females) who enrolled in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The student-ath1etes were recruited from 28 teams in variety of 15 sports. Measures were the Caring Climate Scale (CCS),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in Sport Questionnaire (PMCSQ), and Sport Character Scale (SCS). Descriptive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were undertaken by using SPSS program and multilevel models were analyzed by using HLM program. Results revealed that mastery and performance climate had significant effects while caring climate did not on sport character in both level 1 and level 2.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on sport character between level 1 and level 2. In conclusion, both level 1 with individual trait and level 2 with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to promote athletes’ sport character in sport field. 이 연구의 목적은 위계적 선형모형(HLM) 분석을 이용하여 운동선수들의 스포츠인성에 영향을 주는 사회심리적 분위기의 수준별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15개 종목 28개 팀에 소속되어 있는 339명(남자 274명, 여자 65명)의 학생선수들이며, 측정도구로는 케어링 설문지, 동기분위기 설문지, 그리고 스포츠인성 설문지가 이용되었다. 자료 분석에는 SPSS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 및 설문지의 신뢰도 값이 계산되었고, 다층모형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HLM 프로그램이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숙달 분위기와 수행 분위기는 개인수준(1수준)뿐만 아니라 팀 수준(2수준)에서도 스포츠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케어링 분위기는 1수준과 2수준 모두에서 스포츠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1수준의 개인 예측변수와 2수준의 팀 예측변수 사이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선수들의 스포츠인성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선수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팀 분위기와 같은 환경적 요소를 고려해야한다.

      • KCI등재

        다면적 자료 탐색 관점을 적용한 학생선수용 라이프스킬 프로그램(PEALS) 개발

        장창용 ( Chang-yong Jang ),임태희 ( Taehee Lim ),배준수 ( Junsu Bae ),김남경 ( Nam Gyeong G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0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1 No.4

        목적: 이 연구는 학생선수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라이프스킬 요인을 탐색하고, 탐색된 라이프스킬 요인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1의 라이프스킬 요인 탐색에는 총 45명(학생 20명, 지도자 15명, 학부모 10명)이 참여하였으며, 세 집단의 관점을 반영하기 위한 심층면담을 통해 핵심 라이프스킬 요소들을 수집하였다. 연구 2에서는 다양한 분야로부터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총 5차례에 걸친 전문가 회의를 통해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결과: 연구 1에서, 학생선수들을 위해 요구되는 라이프스킬 요소들은 총 8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요인들은 개인영역 4요인(자신감, 목표설정, 자기조절, 스트레스 대처)과 대인영역 4요인(의사소통, 협동, 공감, 갈등해결)으로 구분되었다. 연구 2에서, 8개의 라이프스킬 요인들은 각 요인별 2차시 혹은 3차시의 교육프로그램들을 포함하며 총 8요인 23차시로 구성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선수들의 라이프스킬을 증진시키는 역할에 초점을 둔 것으로 PEALS (Program to Enhance Athletes’ Life Skills)로 명명되었다. 결론: PEALS는 최근 학생선수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권, 학습권, 진로문제, 역량 증진 등과 같은 문제를 개선하고 나아가 운동선수들이 긍정적인 관점에서 그들의 삶을 촉진하도록 도울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 explored the component of life skill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student-athletes and (b) developed the life skills program to apply in the sport fields. Methods: In phase 1, a total of 45 people in three groups (20 students, 15 coaches and 10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raw data of life skills were collected to reflect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from the three groups. In phase 2, a group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developed the program to enhance athletes’ life skills through five expert-meetings. Results: In phase 1, the life skills were composed of eight factors, which were categorized by four intrapersonal skills (self-confidence, goal setting, self-regulation, and coping with stress) and four interpersonal skills (communication, cooperation, empathy, and conflict resolution). In phase 2, each factor of the life skills included two or three lesson plans, resulting in the life skills program of 8 factors with 23 lesson plans in total. The program focuses on promoting athletes’ life skills, which was named as PEALS (Program to Enhance Athletes’ Life Skills). Conclusion: The PEALS could directly contribute to improve student-athletes’ human rights, learning rights, career, and competency, further it is expected to promote student-athletes’ life in positive aspect.

      • 스포츠에서의 회복탄력성 이해

        장창용 ( Jang Chang-yong ) 인천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8 스포츠科學硏究誌 Vol.31 No.0

        본 연구는 Richardson et al.(1990)의 회복탄력성 모형을 이론적 바탕으로 스포츠에서의 회복탄력성을 고찰하였다. 스포츠심리학자들의 회복탄력성 연구는 두 가지 흐름으로 요약된다. 첫째, 회복탄력성은 긍정적인 운동수행과 관련된 개개인의 내외적 자질들(예: 사회적지지, 대처 전략, 정신력)에 관한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둘째, 개인들이 역경 상황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게 하는 특성들을 어떻게 습득하는지에 대한 연구들이다. 회복탄력성 모형을 바탕으로 선수들의 회복탄력성 경험은 다섯 가지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다섯 가지 회복탄력성 차원은 역경 기간, 감정 동요, 개인 요소, 사회문화적 영향, 그리고 긍정적 성과들이다. 이러한 다섯 가지 요인들을 바탕으로 Galli & Vealey(2008)는 선수들의 회복탄력성 과정을 설명하는 스포츠 회복탄력성 모형을 개발하였다 스포츠 회복탄력성 모형은 선수들이 경험한 내용을 반영하는 회복탄력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스포츠에서 회복탄력성을 지속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이다. This study reviewed resilience in sport, based on Richardson and colleagues’ (1990) resiliency model as a guiding theoretical framework. Sport psychologists have spent considerable time studying resilience, which is summarized as two waves. First wave resiliency is the study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qualities of individuals such as social support, coping, and mental toughness related to positive performance. Second wave resiliency is the study of how individuals acquire qualities that allow them to successfully adapt to adverse situations. Athletes’ experiences of resilience in sport, using the resiliency model, were divided by five dimensions. The dimensions include breadth and duration, agitation, personal resources, sociocultural influences, and positive outcomes. Based on these dimensions, Galli & Vealey (2008) developed a conceptual model of sport resilience that describes athletes’ resilience process in sport. The conceptual model reflecting the resilience process as experienced by the athletes is present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future studies of resilience in sport.

      • KCI등재

        운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심리적 분위기와 스포츠인성의 구조적 관계

        장창용 ( Chang-yong Ja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8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운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심리적 분위기가 스포츠인성에 주는 영향을 규명 했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330명(남자=235명, 여자=95명)의 대학생들이며, 측정도구로는 케어링 질문지, 동기분위기 질문지, 그리고 스포츠인성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각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인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동기 분위기는 스포츠인성의 다섯 개 하위 요인들(공감성, 공정성, 스포츠퍼슨십, 반사회적 태도, 그리고 일치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구체적으로, 숙달 분위기는 반사회적 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고 스포츠인성의 다른 네 개의 하위 요인들에는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수행 분위기는 반사회적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스포츠인성의 다른 하위 요인들에는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케어링 분위기는 스포츠인성의 하위 요인들 중에서 스포츠퍼슨십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 적합도 지수 결과, 본 연구 모형은 좋은 모델 적합도를 나타냈다(χ<sup>2</sup>/df=2.163, TLI=.930, CFI=.943, SRMR=.048, RMSEA=.060). 결론: 본 연구는 사회심리적 분위기의 개념 소개 및 스포츠인성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증명함은 물론 운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심리적 분위기와 스포츠인성과 의 인과 모형 관계를 적절하게 제시했다.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influence of perceived social psychological climate on sport character among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exercise. Methods: Participants were 330(male=235, female=95) college students, measures were the Caring Climate Scale(CCS), the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in Sport Questionnaire(PMCSQ), and Sport Character Scale(SCS).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Internal consistency of measures was assessed by using reliability analysis and causal effects were identifi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Motivational climate influenced on the five sub-scales(compassion, fairness, sportspersonship, antisocial attitude, and integrity) of the sport character: Mastery climate was negatively related to antisocial attitude and positively related to other four sub-scales of sport character while performance climate was positively related to antisocial attitude and negatively related to other four sub-scales of it. Meanwhile, caring climate positively influenced only on sportspersonship significantly. Model fit indices were good(χ<sup>2</sup>/df=2.163, TLI=.930, CFI=.943, SRMR=.048, RMSEA=.060). Conclusion: This study not only contributed to introducing the concept of social psychological climate and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sport character scale, but also presented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social psychological climate and sport character in collegiate students participating in exercise.

      • KCI등재

        펜싱선수들을 위한 심리기술 훈련 단일사례 연구: 해결중심 단기상담 모델 적용

        장창용 ( Chang-yong Jang ),이근춘 ( Kunchun Lee ),김남영 ( Nam-young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9 No.3

        목적: 본 연구는 해결중심 단기 상담 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고등학교 펜싱 선수들에게 심리기술 훈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규명했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고등학교 남자 펜싱(에페종목)선수 4명(평균나이: 18.25세)이었다. 심리기술 훈련은 두 달에 걸쳐 7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사전-사후 검사를 위한 측정도구로는 스포츠심리기술 검사지가 사용되었다. 결과: 7회기 동안의 심리기술 훈련은 펜싱선수들의 인지전략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통제가능한 요소와 과정단서에 집중하는 연습을 통해 부정적인 생각이나 시합 결과에 대한 예측으로 인한 인지불안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였다. 사전-사후 양적검사 결과, 스포츠심리기술 설문지를 이용한 사전 및 사후검사 비교에서도 목표설정과 불안조절 요인에서는 네 명 선수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요인들에서도 대부분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결론: 해결중심 단기상담 모델을 적용한 본 연구에서 펜싱선수들은 시합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인지전략을 터득하여 시합 집중도를 개선 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PST) with high school fencing athletes by applying solution-focused brief counseling model. Methods: Participants were four males fencing(epee) athletes(mean age = 18.25) of a high school. PST program consisted of 7 sessions over 2 months and pre- and post-test were measured using psychological skill questionnaire in sport(PSQS). Results: PST program with 7 sessions was effective for fencing athletes to improve cognitive strategies and was assessed into two perspectives. In qualitative approach, as participants have practiced to focus on control factors and process-cues, they were able to decrease cognitive anxiety caused from negative thought and outcome-focused trait. In quantitative approach, post-test showed that all participants improved in goal setting and control of anxiety factors. In addition, post-test mean scores of other subscales were positively changed. Conclusion: This study evidenced positive outcomes of PST program using solution focused brief counseling model.

      • KCI등재

        해결중심 단기상담 모델 기반 복합심리기술 훈련 단일사례 연구: 국가대표 레슬링 선수를 대상으로

        장창용 ( Chang-yong Jang ),송홍선 ( Hongsun Song ),배준수 ( Junsu Bae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4 No.1

        목적: 이 연구는 레슬링 선수를 대상으로 해결중심 단기상담 모델을 활용하여 심리기술훈련을 진행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레슬링 국가대표 남자 선수 5명으로 평균 나이 30세, 운동경력 15.6년이었다. 심리기술훈련은 집단 프로그램과 개인 상담으로 진행되었다. 집단 프로그램에서는 자기관리, 목표설정, 귀인 요소에 중점을 두고 총 7회기로 진행되었다. 개인 상담의 경우, 해결중심 단기상담 모델에 맞춰 5단계 8회기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은 개인 상담에서 이루어진 심층 면담을 바탕으로 질적자료를 수집하였고 수행전략 검사지와 자기관리 검사지를 이용해 사전-사후 양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질적자료는 선수 개인이 가진 호소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 회기별로 분석하였고 선수별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사전-사후 분석에서는 일부 선수들에게서 수행전략 요소들과 자기관리 요인들의 평균 점수 변화가 확인되었다. 결론: 이 연구에서 진행한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은 선수 개인이 호소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수행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능력을 개발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를 통해 선수 개인별 스포츠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구체화 시키고 종목별로 특화된 심리기술훈련 매뉴얼로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sport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based on the solution-focused brief counseling model to wrestling play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five athletes of the Korean national wrestling team. The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was conducted through team education and individual counseling. Team education consisted of a total of seven sessions focusing on the themes of self-management, goal setting, and, attribution. Individual counseling was also composed of five stages and eight sessions in line with the solution-focused brief counseling model.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Test of Performance Strategies (TOPS) and self-management scale through pre- and post-test.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Results: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the specific process of solving each player’s problem appealing by session and described focusing on cases. In the pre- and post-test analysis, changes in the mean scores of the TOPS and self-management scores were confirmed in some athletes. Conclusion: The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conduct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solving problems appealed by individual athlete and developing skills that help improve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materialize the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each athlete and expand it to develop a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manual specialized for each sport through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스포츠에서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 관점의 이해와 학생선수를 위한 적용 방안

        장창용 ( Chang-yong Ja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4 No.1

        목적: 이 연구는 스포츠에서의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 관점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국내 스포츠 환경에서 학생선수를 위한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 관점이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방법: 국내와 해외에서 수행된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 관련 서적 및 논문 고찰을 통해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의 개념, 연구 동향, 주요 타자의 역할, 스포츠와 라이프스킬 프로그램 관련 내용을 제시하였다. 결과: 첫째,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이 함의하는 4가지 특성은 (a) 청소년 발달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 (b) 상대적 가소성, (c) 다차원적인 개념구조, 그리고 (d) 순환성이다. 둘째, 청소년 긍정적 발달 관점에서의 연구 동향은 이론적 모델, 철학적 관점, 긍정적 청소년 발달을 위한 스포츠 분위기(예: 코치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모의 관여 등),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의 효과 관련 주제로 정리할 수 있다. 셋째, 학생선수들의 긍정적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지도자, 부모, 동료들의 역할이 중요하고 특히, 라이프스킬 프로그램과 같은 체계적인 중재 전략이 적용되어야 한다. 결론: 스포츠에서의 PYD를 이해하고 실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우리나라 학생선수들의 긍정적인 사회심리적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d ways to apply of Positive Youth Development (PYD) for student-athletes in Korea based on the PYD perspective in sport. Methods: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PYD, recent research trends, the role of significant others, and life skills program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view of books and articles related to PYD conducted in Korea and abroad. Results: First, the four features that PYD imply are (a) a positive view on youth development, (b) relative plasticity, (c) multidimensional conceptual structure, and (d) circularity. Second, research trends regarding the perspective of PYD include theoretical models, philosophical perspectives, sporting climate for PYD (e.g., relationships with coaches, relationships with peers, parental involvement, etc.), and the effects of life skills programs. Third, the role of coach, parents, and peers is a primary factor to foster PYD for student-athletes, and in particular, systematic intervention strategies such as life skills programs should be applied. Conclusion: Understanding PYD in sport and seeking ways to realize it would contribute to preparing a foundation for supporting the positive psychosocial development of Korean student-athle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