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항공 레저 스포츠용 폴리에스터 직물의 겨울철 운용환경에서의 내후성 평가 및 열화거동

        장연주,박지영,김병순,이정순,Jang, Yeonju,Park, Jiyoung,Kim, Byung-Soon,Lee, Jung-Soon 한국섬유공학회 2018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a high-strength polyester fabric as a material for air leisure sports, by comparing its physical properties with those of commercially available nylon fabric. In addition, the weatherability during the winter season outdoor exposure test was compared, for evaluation in an actual operating environment, and the degradation behavior after outdoor exposure was examined. The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nd tear strength of the polyester fabric having a ripstop structure were found to be sufficient to substitute nylon fabric, which has been used for air leisure sports. Furthermore, the weather resistance test by outdoor exposure indicated that the polyester has excellent weatherability, compared with that of nylon. Compared with that in outdoor weathering, the accelerated weathering of nylon and polyester fabrics leads to a more rapid decrease in the elongation and tensile strength. SEM, spectrophotometry, FT-IR, XRD, and TG analyses showed that the polyester was less degraded than the nylon fabric.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학생 지도 경험 및 전략에 관한 연구: 하늘(가칭) 다문화 대안학교의 사례

        장연주 ( Yeon Ju Ja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중등교육연구 Vol.64 No.3

        본 연구는 다문화 위탁형 대안학교의 교사들이 다문화 중학생들을 지도하면서 경험한 내용을 심층 인터뷰하여 이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교사의 실제적인 지도 방법은 무엇이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다문화 대안학교 교사 8명이며 인터뷰 기간은 2015년 6월 16일부터 7월 17일까지로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학습과 관련하여 교사들이 인지한 다문화 학생들의 어려움은 언어로 인한 학습 부진과 동기결핍이었으며, 이에 대한 교사의 지도는 문답법과 다양한 표현방식이었다. 둘째, 또래관계와 관련하여 교사들이 인지한 다문화 학생들의 어려움은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 간의 미묘한 정서적 갈등이었으며, 이에 대한 교사의 지도는 개별 상담 및 집단 상담이었다. 셋째, 전체적인 맥락에서 다문화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있어 교사들이 인지한 효과 적인 지도는 다양한 표현방식이었으며, 비효과적인 지도는 강요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 중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어려움을 이해하고 교사들의 실제 지도경험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교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갈등에 대한 이해와 교육지도에 도움을 줄것으로 기대한다. Despite the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from diverse backgrounds in Korean schools, little consideration has been given to the experience of teacher’s guidance in teaching thes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ulticultural students’ challenges in school adjustment through in-depth interview of teachers who have experiences of instructi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1-3grade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to explore what was practical teaching method. Eight junior high school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reported their experiences with 13 multicultural students from June 16th to July 17th in 2015. The main results of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of teachers’ stories are as follow. First, teachers perceived the students’ learning problems and they provided repetitive questions and the way of various expression. Second, students’ emotional difficulties appearing in fellowship has caused by teasing and bullying. Teachers’ instruction included discipline and counseling. Third, teachers perceived that the way of various expression was the successful intervention and forcing them to do some action was unsuccessful. It is significant in that this study understand the challenges of multicultural students’ adjustment in junior high school year. Also this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help the research on education and guidance and understanding various conflicts that can occur in a multicultural classroom.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다양한 온도에서 제조된 고미 바이오차가 상추 생육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

        장연주(Yeon Ju Jang),이재한(Jae Han Lee ),천진혁(Jin Hyuk Chun),강윤구(Yun Gu Kang),윤민호(Min Ho Yoon),오택근(Taek Keun Oh) 유기성자원학회 2022 유기성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추계

        Rice consumption is gradually decreasing as the treads of meals change. The annual rice consumption per capita was 58.1 kg as of 2020, down 1.9% from the previous year. The domestic rice stock is 950,000 tons, which is more than recommended by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and a lot of money is spent to manage i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would like to propose a biochar made of Staled rice to see if it can be actually used as a soil conditioner. Biochar was manufactu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except for temperature. Biochar was produced from Staled rice feedstock biomass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of 300°C, 500°C and 700°C and the resultant biochar is herein denoted as SR300, SR500 and SR700, respectively. All biochars were added to the soil at a rate of 1% (w w-1) and a treatment with uncharred staled rice (SR) applied to the soil at the same rate as biochar was also included. SR700 showed the best growth of lettuce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Also, application of SR700 resulted in the increase of pH, EC, available phosphate contents, C/N ratio and pesticide recovery. In conclusion, it has been found that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growth environment of soil and lettuces in a more positive direction by applying biochar manufactured using staled rice.

      • KCI등재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별 구매의사결정과정의 차이 분석

        장연주 ( Younju Jang ),최현자 ( Hyuncha Choe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5

        본 연구는 보험소비자가 의사결정과정에서 경험하는 현상의 맥락 안에서 개별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요인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연주, 최현자(2013)에서 제시한 보험소비자의 보험 구매의사결정과정 모형을 연구의 틀로 선정하였으며, 개별 소비자의 상황적 요인에 따라 보험소비자가 의사결정과정에서 활용하는 전략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의사결정전략을 기준으로 소비자를 유형화하여 유형별로 의사결정과정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유형별 특성은 무엇인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은 구매의사결정에서 주로 활용하는 전략에 따라 비대면 유통채널 활용형, 대면 유통채널 활용형, 대면 채널·소비자주도적 정보 활용형, 멀티채널 활용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유형에 따라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의사결정과정의 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험소비자는 구매의사결정 시 활용하는 전략에 따라 완화되는 어려움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전략을 활용함으로써 보험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이 완화되는 효과는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 자신감, 관여도, 가용한 자원은 보험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을 완화시키거나 가중시키고, 보험소비자들의 전략 선택 및 의사결정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그 효과는 의사결정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실제 보험소비자가 의사결정 시 활용하는 전략을 기준으로 소비자를 유형화함으로써 정책적 및 실무적 측면에서 유형에 따른 차별적 접근방안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1. to identify different types of decision-making process that occur within different contexts; 2. to determine how those factors function. To fulfill the above objectives,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ir decision-making strategies and revealed the difference in strategies and categorical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sis of actual proof.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outcome. First, the type of insurance consumers was categorized into four different types depending on what strategy they adopt: non-face-to-face sales channels, face-to-face sales channels, face-to-face sales channels and consumer-direct information resources and the ones that use multi-channels. Depending on to which type they belong, the consumer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decision-making as well as socio-demographic difference. Second, it was observed that strategies adopted by the consumers determined what sort of burden was eased. Third, the effect of specific strategy in easing the consumer burden varied widely depending on the type. Fourth, intervening factors such as consumer confidence, level of involvement, and usable resources either deteriorate or lessen the difficulties, and determined the result of consumers’ decision-making process. The effect of intervening factors varied widely depending on the type.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Categorizing the consumers by what strategies they adopt when making decision can provide ground to create different approach that reflects both practical insights and policy perspectives.

      • KCI등재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장연주 ( Younju Jang ),최현자 ( Hyuncha Choe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보험소비자가 의사결정과정에서 경험하는 현상의 맥락에 대해 포괄적으로 탐구함으로써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의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보험소비자가 처한 개인적 및 사회적 상황 속에서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고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지적 및 감정적 현상에 대해 포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보험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험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은 보험소비자가 처해 있는 상황적 조건 하에서 직면한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을 채택하고 수행하는 과정이었다. 보험소비자는 보험상 품의 특수성으로 인해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보험 유통환경과 정보제공환경의 소비자친화성에 대한 인식의 수준에 따라 경험하는 어려움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자 자신감, 관여도, 가용한 자원 등 각 소비자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경험하는 어려움이 완화되거나 가중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직면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채택하는 적응전략도 다양한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보험소비자의 경험은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구매의사결정을 위한 노력으로 귀결되었고 대리인과의 관계정립, 구매 후 만족ㆍ불만족, 구매 후 행동, 정부의 지원 및 업계의 개선에 대한 기대 등의 결과를 가져왔다. 둘째, 보험소비자들이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채택하는 전략은 대면 유통채널의 활용, 비대면 유통채널의 활용, 소비자주도적 정보원천의 활용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고 구매하는 채널활용 전략과 의사결정의 연기ㆍ중단과 노력절감 의사결정 등 인지적 부담을 줄이려는 전략으로 요약된다. 셋째, 보험소비자들이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주된 현상은 보험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이었으며,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주로 정보를 획득하고 처리하는 것과 관련된 정보전략을 취하고 있었다. 넷째, 보험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은 보험상품의 특수성이나 보험 유통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 의해 가중되거나 완화될 수 있다. 다섯째, 소비자 자신감, 관여도, 가용한 자원의 중재적 조건은 보험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을 완화시키거나 가중시키는 데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며, 보험소비자들의 전략 선택 및 의사결정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본 연구는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선행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기존의 단편적인 연구결과를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 상황에 적용하여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해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1.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consumer’s decision-making experience from contextual perspective; 2. to identify different types of decision-making process that occur within different contexts; 3. to determine how those factors function.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materialize the theoretical basis of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insurance consumers. To fulfill the above objectives, this study adopted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of qualitative research.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outcome. First, the decision-making process adopted by the insurance consumers was to select and implement strategies that can help them overcome the obstacles in making purchasing decision under their respective circumstances. They were faced with challenges due to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insurance products and the level of difficulties largely depended on the market environment of insurance industry as well as the level of information shared. Under these circumstances, factors such as consumer confidence, level of involvement, amount of usable resources either deteriorated or alleviated the level of difficulties. Also, the strategies adopted by the consumers to deal with the difficulties were diverse. These experiences shared by the insurance consumers led to efforts to make optimal decisions and this created a relationship between insurance representative and consumers, post-purchase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post-purchase behavior, and expectation for government support and overall improvement in the industry. Second, the coping strategies adopted by the insurance consumers fall under two categories. First is utilizing different channels to find information and make purchase, such as using consumer-direct information resources,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sales channels. Second is adopting strategies to lessen the cognitive burden by delaying the decision-making and deciding to spare less effort. What this implies is that strategies differ depending on the balance between desire to make the right decision and desire to minimize the cognitive burden. Third, common experience among the surveyed insurance consumers was the challenge of making the purchasing decision. To overcome this, they usually obtained and processed the necessary information. Fourth, the level of difficulties can either increase or decreas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urance product as well as the consumer perception of insurance market environment. Fifth, intervening factors such as consumer confidence, level of involvement, and usable resources either deteriorate or lessen the difficulties, and determined the result of consumers’ decision-making process.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e fragmentary research on consumers’ decision-making process can be applied to insurance consumers to provide theoretical basis which will enhance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ose consumers. Second,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in which no such research has been completed in regards to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insurance consumers, exploratory research can be utilized to shine a light on new finding which reflects special characteristics of insurance products.

      • 초등 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장연주(Yeonju Jang),최승윤(SeongYune Choi),강윤지(Yunji Kang),김경상(Kyungsang Kim),김원유(Wonyou Kim),김정남(Jeongnam Kim),김학인(Hakin-In Kim),손지원(Son-Jee Won),장병철(Byeong-Cheol Jang),김한성(Han-Sung Kim),박광현(Kwang-Hyun Par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5 No.1(A)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전 세계적 열기가 뜨거운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AI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정책을 제시하였고 교육현장과 학계에서는 초등학생들부터 시작하는 AI 교육과정과 교육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초등학교에서 교사들이 수업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들이 효과적으로 AI 교육을 할 수 잇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은 이론과 실습을 포괄하는 구성이며 AI의 윤리적인 이슈까지 포괄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학생들은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AI를 체험하고, AI의 원리에 대해 학습하며 블록코딩을 통한 실습을 할 수 있으며 교사들이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안과 활동 예시들을 함께 제공하였다.

      • KCI등재

        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교실 액션 리서치: 또래관계 개선을 중심으로

        장연주(Jang, Yeon-Ju)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또래관계 개선을 목적으로 다문화교실에서 교육연극을 활용하여 실행한 액션 리서치(action research)에 관한 것이다. 본 프로그램에는 서울시에 위치한 위탁형 다문화 중학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18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연구자는 이 학교에서 직접 교수자가 되어 ‘계획-실행-관찰-반성’이라는 절차에 따라 교육연극 수업 실행과 연구를 함께 실시하였다. 교육연극을 활용한 또래관계 개선 프로그램 은 2013년 1년 간 같은 학교에서 연구자가 다문화 학생들의 또래관계를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며, 프로그램의 목표는 또래관계의 다양화와 또래 간 문제 해결을 도와주는 것이었다. 본 프로그램은 18회 수업으로 구성되었으며 2014년 3월부터 7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행된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또래관계 형태를 다양화하고 또래 간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정서적 공감 능력을 함양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에서 영향을 주었던 변인들은 프로그램의 내적 변인들과 외적 변인들로 구분되었다. 셋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액션 리서치를 수행함에 있어 연구자는 교수자와 연구자 입장 간의 갈등이 이 연구방법에 내재되어 있음을 파악하게 되 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다문화 학생들의 또래관계에 관한 자료가 부족했던 학교 현장에서 교육연극을 활용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참고 자료를 제공해 줄뿐만 아니라 이 주제에 관한 연구 방법에도 실질적인 시사를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ecute an educational drama/theatre program to improve the relationships among peer students who have different ethnicities and cultural backgroun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18 multicultural students whose ages ranged between seventh graders and ninth graders at an alternative school in Seoul, Korea. A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with educational drama/theatre has been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ho had been observing them and their relationships for the year 2013. The program was designed to help them to diversify their peer relationships and solve possible relationship problems. The program was performed 18 times in total from March to July in 2014. Based on the research, the following three results were observed. First, the educational drama/theatre program helped the students to improve their peer relationships by increasing their emotional empathy. Second,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contributed during the acting process of the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were discussed. Third, the researcher’s potential conflict as an instructor and a researcher was addressed to ensure the goal of the program was achieved. In summary, the study can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on educational drama/theatre as an instructional method for teachers who want to help their students improve their peer relationships.

      • KCI등재

        교수학습방법으로써의 교육연극 활용 사례연구

        장연주(Jang, Yeonju),신나민(Shin, Nam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공연 매체가 아니라 소통과 교감의 교수학습방법으로써 연극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학교 안팎에서 실시되었던 교육연극의 세 가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사례들은 다문화학교, 학교폭력예방교육, 남해섬 예술축제수업 사례이었으며 여기서 수집된 자료들은 질적 다중사례연구 기법으로 분석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교육연극은 세 가지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학생들에게 공조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며 협동심과 표현력 개발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연극은 다문화 학생들에게는 공감 능력을, 학교폭력예방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에게는 문제 중심 학습과 일맥상통한 과정 중심의 학습경험을 제공하였으며, 다문화 학교와 남해예술축제 수업을 통해서는 연극 예술에 대한 태도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런 결과는 교육연극이 학교 안팎의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창의성, 협동성, 표현력, 예술적 감수성을 개발하는 데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논의와 아울러 본 연구는 교육연극을 활용하고자 하는 교수자나 교수설계자가 수업 전, 중, 후에 고려해야 할 실천적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drama/theatre as an instructional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educational settings.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ree cases of educational drama instructions, which were carried out in a multi-cultural school located in Seoul, as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n Ansan, an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of Namhae Island Festival, respectively. The analysis of the qualitative multiple case studies revealed that educational drama/theatre provided the participant students with the opportunities of Mutual Assistance Learning while enhancing the skills regarding cooperation and self-expression. Also, the method of educational drama/theatre was found to help facilitate the students to develop empathy skills in the case of the multicultural school program, process oriented learning experiences similar to Problem Based Learning for the school violence case, and to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the attitude towards theatre arts for the multicultural school and Namhae Island Festival cases. In summar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educational drama/theatre can have positive impacts on student learning in the domains of creativity, cooperation, self-expression, and artistic sensitivity. Finally, this paper provided instructors or instructional designers with practical considerations as to the way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drama/theatre in and out of school settings.

      • KCI등재

        플립드러닝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및 학업수준에 따른 수업효과 인식

        장연주(Jang Yeon-Ju),간진숙(Kan Jin-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플립드러닝 수업이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교실 내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D대학교 2018학년도 2학기 11개 플립드러닝 교과목 수강생 341명을 대상으로 학습동기와 교실 내 상호작용, 학업성취도에 대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단순회귀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드러닝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교실 내 상호작용이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업수준이 높은 학생보다 낮은 학생들이 플립드러닝 수업을 더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육에서 요구되는 대학생들의 역량 개발 및 향상을 위해 학습자 중심 플립드러닝의 효과성에 대한 실천적 함의 및 향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learner-centered flipped learning class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classroom interaction. To this end, we conducted post-testing on learning motivation, classroom inter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341 students in D University 11 flipped learning classes in 2018. For the data analysis,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one-way ANOVA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action among students who took the flipped learning class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Second, students with low academic level recognized that flipped learning classes were effec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studies of the effectiveness of learner-centered flipped learning were proposed to develop and improve th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required for universi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