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학급규모에 대한 인식과 학교생활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신나민,류호섭,박종향,Shin, Na-Min,Rieu, Ho-Seoup,Park, Jong-Hyang 한국교육시설학회 2013 敎育施設 Vol.20 No.6

        This study investigate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an optimum class size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between a class size and various aspects of students' lives at school. Data were gathered from 858 students from 8 classes (grade 1 and 2) at 4 middle schools located in Busan by administering survey questionnaires. The average class sizes to which each participating students belonged were 17.88, 30.0, 31.88, 28.0 respectively. A series of comparative analyses were carried out, revealing that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perceived 25-30 as an optimum size for one class. Also, students in a relatively smaller class tended to show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ves and with school and classroom facilities,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classroom atmosphere, and greater needs for peer interaction than did their counterparts. Furthermore, it was found out that the actual class size had to do with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facilities and their levels of stress and pleasure at school.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order to provide educators, architects, and policy makers with practical implications for bringing about a better school environment that is conducive to learning and liv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학교공간 개선이 학생, 교사, 학교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다면적 효과에 관한 연구

        신나민,박종향,Shin, Na-Min,Park, Jong-Hyang 한국교육시설학회 2011 敎育施設 Vol.18 No.6

        This study explored what impacts can be brought to students, teachers, schools, and community by the improvement of physical environment of school spaces. For the purpose, we studied 5 schools (2 elementary and 3 middle schools) who took part in the Happy School Project fund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2008. Ten series of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a sample of 28 students and 20 teachers who experienced both before and after the school renovation project.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revealed that although the project was concerned with a part of school space such as restroom or reading room, it could bring multiple effects such as following: First, the students addressed that they felt "good" about school environment, which led them to feel good about their "schools." This change was found out to bring about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a school in general, public manners, peer relationships, emotional well-being, and learning. Second, the teachers became to value more their principals' leadership, being more satisfied with their work environment and more concerned about management of school facilities, and happier with students in terms of teaching and guidance than before. Third, all the 5 schools seem to go through a noticeable change in terms of a school climate and ethos in a more positive and harmonious way. Finally, 'spread', 'promotion', and 'openness' effects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chools and local community.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기제 마음빼기 명상수업의 효과 분석: 자아성찰, 수업집중도, 행복지수를 중심으로

        신나민(Shin, Namin),김혜영(Kim, Hyeyoung),윤미라(Yun, Mira)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으로 실시된 마음빼기 명상수업이 학생들의 자기성찰, 수업집중력과 행복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소재의 3개 중학교에서 마음빼기 명상반을 수강한 학생 140명이었다. 명상반 수업은 2017년 2학기에 일주일에 1회, 1회기 45분씩 총 8주간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명상 전후 설문 검사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질적 연구를 위해 학생들의 소감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paired t-test, ANCOVA를 실시하였고 명상 수업 후 학생들의 경험을 적은 진술문은 질적 분석 도구인 NVIVO 12.0을 활용하여 어휘 빈 도 분석과 노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마음빼기 명상 수업은 학생들의 자아성찰과 수업집중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행복지수는 두 개 변인(삶의 만족, 소속감)에서만 향상되었다. 또한 질적 자료 분석결과, 학생들이 인지한 마음빼기 명상수업의 효과는‘기분’,‘대인관계’,‘마음’,‘집중’,‘학습’의 5가지 주제로 분류되었다. 즉, 스트레스를 버려 기분이 좋아지고, 대인관계에서 불편한 마음이 사라졌으며, 마음이 편해지고 잡념이 사라져 공부에 집중이 잘 된다는 등의 진술이 주를 이루었다. 결론적으로 자유학기제 수업의 일환으로 중학교에서 시행된 마음빼기 명상은 학생들의 학업과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ind-Subtraction Meditation program, practiced as part of the free semester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 context, on the level of self-reflection, concentration and happiness among the students. The Mind-Subtraction Meditation program was offered to the students once a week with each session up to 2 hours for 8 weeks from August to December, 2017. Data was gathe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rom 140 students from 3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We used two types of data: responses from survey questionnaires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personal journals written by some selected students themselves. The statistical analyses of the data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levels of the students’self-reflection and concentration in class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the meditation program. Secondly, 2 out of 6 items in the happiness scal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ddition, five themes emerged from qualitative analysis, done by NVIVO, of the student journals:‘mood’,‘interpersonal relationship’,‘mind’,‘concentration’, and‘learning’.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along with possibilities of school-based meditation in an effort to achieve the goal of the free semester curriculum poli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효과적인 성인지도를 위한 실천적 전략―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관점에서―

        신나민(Shin Na M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4 평생교육학연구 Vol.10 No.2

        이 논문에서 필자는 효과적인 성인지도에 필요한 실천적 전략을 구안할 목적으로 수행된 탐색적 연구를 소개한다. 성인지도의 효과성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 정도를 드러내기 위하여 교수 활동 시 성인 교수자가 실천해야 할 사항 (67문항)과 삼가야 할 사항 (47문항)에 관한 문항이 개발되었고, 각각의 문항은 성인학습자에 의해 그 중요도가 5점 척도로 평가되었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성인학습자는 서울 경기 소재 3 대학의 평생 (사회) 교육원에서 수강 중인 355명의 수강생이었다. 내용분석의 결과 개발된 문항들은 교수자 -학습자 관계, 교수자의 자질, 교수 -학습방법, 교수 -학습 분위기의 네 주제를 가리키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장 많은 문항수를 차지한 교수 -학습방법 주제에 속한 문항들을 요인 분석한 결과 실천사항과 금기사항에 대해 각 각 4개의 요인을 추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부설평생교육원에서 효과적인 성인 지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성인으로서 존중 받고, 학생으로서 관심 받고, 고객으로서 대우 받기를 원하는 학습자들의 요구를 교수자가 이해하고 그 바탕 밖에 지도가 이루어질 때 가능함을 시사한다. 특히 성인존중의 원리는 학습자의 문화적, 인지적, 환경적 요인과 함께 이해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논문의 말미에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 주제들이 제시된다. This paper is about a research study conducted to come up with practical strategies for teaching adults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University(LECU).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strategies addressed in 114 items: 67 sentences concerning what works and 47 addressing what does not work for teaching adults. The survey was administerd at three LECU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do; 355 adult learn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indicating the level of importance of each item to their learning. The data were analyzed in two ways: content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content analysis revealed four emerging subjects with regard to effective strategies for teaching adults: instructor-learner relationship, instructor qualification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eaching-learning atmosphere. The statistical analysis helped to weigh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item grouped to the four subjects. A complete lists of what works and what does not work for teaching adults are presented in the paper in accordance with the four subjects. In addition, a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plore underlying dimensions of the subject of teaching-learning method, generating four factors for dos and don'ts, respectively. To swn up, this study suggests that respecting learners as adults, caring adults as students, treating adults as customers be the keys to the suc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setting of LECU, and possibly in the domain of adult learning in general.

      • KCI등재
      • KCI등재

        읽기, 쓰기, 향유 체험을 중심으로 본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분석

        신나민(Shin, Namin),안화실(Ahn, Hwasi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8

        정보통신 미디어는 21세기 정보화 사회 청소년들의 학습과 생활 전반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기능한다. 본 연 구는 급격히 변모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미디어 수용 및 활용 경험을 중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이들의 미디어(메시 지) 읽기, 쓰기, 향유 체험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서울, 경기 지역 10개교에서 수집된 12-18 세 중고등학생 1,036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된다: 1) 청소년들의 일상적인 미디어 이 용은 핸드폰 사용, TV 보기, 인터넷 사용, mp3 플레이어듣기, 컴퓨터나 비디오 게임하기, 라디오 듣기, 비디오/DVD 보기 순으로 나타났다; 2) 미디어 활용에서의 성차 분석 결과 남학생은 인터넷 매체에서 그리고 여학생은 핸드폰, SNS 매체에서 더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웹 정보의 비판적 읽기 및 수용에 관해서는 성차는 발견 되지 않았고 중고생 간의 학교급별 차이는 유의미했다; 4) 온라인 컨텐츠 제작과 온라인을 통한 자기표현 및 사회적 참여 활동에 대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 미디어 향유 체험의 하루 평균 시간은 주말 게임, 주중 게임, TV 보기, 인터넷 사용 순으로 나타났고, 이 가운데 TV매체에 있어 서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그리고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올드 미디어와 뉴미디어 간의 컨버전스 현상과 청소년의 성별, 연령별 미디어 활용 행태에 관 한 통합적인 논의를 제시 한다.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adolescents' media literacy in terms of reading, writing, and enjoying media or messages. For the purpose, we analyzed the data garnered from 1,036 students enrolled in 5 middle and 5 high schools, respectively. The analyses of the data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bile phone was most widely used among others, followed by TV, the Internet, mp3 player, computer or video game, radio, a video or DVD in the order. Second, a gender effect was significant in terms of the variety of activities with the Internet, mobile, and SNS: boys were more active in the use of the Internet while girls carried out more activities with a mobile phone and SNS media. Thir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more critical attitude towards information on the Website than did the middle school students. Fourth, Girls than boys, and high schoolers than middle schoolers, tended to be more active in the production of contents, self-expression, as well as participating in social and political issues online. Fifth, for the enjoyment experiences, time spent for games took up the most of the students' leisure activities, followed by watching TV and the use of the Interne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light of media convergence, with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the youth.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입시 전형 AI 면접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신나민(Namin Shin),장세진(Sejin Ch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7

        본 연구는 대학 입시 전형의 일환으로 AI면접을 도입하는 것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파악하였다. 자료 수집은 경기도의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생 16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분석은 질적연구 방법의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으로 처리되었다. 연구 문제는 1) AI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2) AI 면접에 대한 인식, 3) AI와 사람 면접관 가운데 선택의 문제로 구성되었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AI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기술적, 부정적, 긍정적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내용은 대체로 ‘감정이 없으며, 분석이 빠르고, 정확하며, 객관적이고, 인간에게 편리한 로봇, 기계 혹은 프로그램’으로 요약되었다. 둘째, AI면접에 대해서는 다수 학생들이 부정적이었으며, 그 이유로는 AI가 사용하는 데이터에 대한 불신 그리고 감정, 인성 등의 정의적 평가에 기계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감정적 거부감 등이 언급되었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긴장감과 부담감이 없는 것, 공정한 평가 등이 언급되었다. 셋째, 16명의 학생 중 4명의 학생이 AI 면접을, 나머지 학생들은 사람 면접관을 선택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은 ‘면접’은 ‘사람’이 하는 평가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대체적으로 이 인식이 AI 면접이 줄 수 있는 잠재적 편의성과 공정성에 대한 인식에 비해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기술의 수용에는 그 기술이 제공하는 유용성과 용이성에 대한 검증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준비도와 인식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시도되었거나 시행이 거론되고 있는 대입 AI 면접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이 기술의 최종 사용자인 학생들이 갖는 다양한 관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per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terviews as a part of the university admission evaluation proces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eries of un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16 second graders of general high schools in Gyeonggi-do. The research questions consisted of 1) general perceptions of AI, 2) perceptions of AI interviews, and 3) selection between AI and a human interviewer.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viewed AI as a robot, machine, or a program that has no emotion, was fast, accurate, objective, and able to provide humans with convenience. Second, most of the students were negative about AI interviews, and the reasons included distrust about data used in the AI algorithm and emotional reactions about using machines for effective evaluations such as individual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n the positive side, the lack of tension and burden, and fair evaluation were mentioned. Third, out of 16 students, 4 students selected AI interviews as a preferred choice. In conclusion, th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an "interview" as a "people" business outweighed the potential benefits of participating in an AI interview.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field of education with the diverse voices of students before considering the application of AI interviews in high-risk evaluations such as university admission examina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