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S 특성과 의복쇼핑성향이 인스타그램 마켓에서의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연아,김한나 한국생활과학회 2019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NS characteristic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f female consumers on purchase intentions of fashion products in the Instagram market. For this purpos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targeting female consumers who had purchased fashion products through SNS during the recent year. Questionnaire data from 112 responses and in-depth interview data with 10 consumers enjoying shopping in the Instragram market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SPSS 24.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SNS characteristic consisted of four factors such as homogeneity, commonality, rapidness & reliability, and customization. Also,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consisted of five different orientations such as economic, convenience-oriented, conspicuous, leisure-oriented, and fashion-oriented shopping. Among four SNS characteristics, rapidness & reliability and homogeneit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in the Instagram market. Additionally, economic and fashion-oriented shopping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in the Instagram market.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시장에서 여성 소비자의 SNS 특성과 의류 쇼핑 방향이 패션 제품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최근 1년간 sns를 통해 패션상품을 구매한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정량적, 질적 연구가 모두 진행됐다. 이 연구에서는 112 응답의 설문지 데이터와 인스트그램 시장에서 쇼핑을 즐기는 10명의 소비자와의 심층 인터뷰 데이터를 분석했다. SPSS 24.0 프로그램은 주파수 분석, 요인 분석, 신뢰성 분석 및 다중 회귀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 결과 SNS의 특징은 동질성, 공통성, 신속성과 신뢰성, 맞춤화 등 4가지 요소로 구성됐다. 또한 의복쇼핑성향은 경제, 편의, 브랜드 지향, 레저 지향, 패션 지향 쇼핑 등 5가지로 구성되었다. 4가지 SNS 특성 중 신속성과 신뢰도, 동질성이 인스타그램 시장에서 구매 의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인스타그램 시장에서의 구매 의도에 있어 경제적이고 패션 지향적인 쇼핑이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웨딩관련 헤어디자인과 드레스디자인의 스타일 선호도 분석

        장연아,김혜균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3

        현대사회의 웨딩드레스와 웨딩헤어 연출은 메이크업과 함께 개성이 강조되고 트렌드에 부합하려는 노력이 더해지면서 토탈 코디네이션 영역으로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다. 설문조사는 총 200명의 신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조사 장소는 ‘G스튜디오’ 청주지점으로 2014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약 1년 간 예식을 진행한 웨딩 헤어 디자인 사진자료, 웨딩드레스 디자인 선택기록, 신부들의 계약서 등으로 자료수집에 참고하였다. 헤어와 드레스의 선호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롱 헤어스타일은 미니드레스 디자인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숏 헤어스타일은 벨, 미니 두개의 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뇽 헤어스타일은 벨, A, 미니 세 개의 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포니테일 헤어스타일은 벨, 머메이드, A, 미니드레스 네 개의 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당고머리 헤어스타일 벨, A 두개의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면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hen it comes to wedding gowns and wedding hair styles of these times, people are emphasizing originality and personality out of the gowns and hair styles as much as they are in relation to makeup. Moreover, as people work even harder to keep up with trends that would be loved the most at certain times, the wedding gowns and wedding hair styles of today are now being categorized as an important total coordination area. As for a survey, a total of 200 brid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survey was carried out in a branch of ‘G studio’ located in Cheongju. The study collected samples from the brides who got married over approximately one year from March of 2014 to February of 2015 and investigated their wedding hair design photographs, wedding gowns choice records, contracts and oth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hair and gown preference are presented as follows. Long hair style has an effect only on the mini dress design but, short hair style affects two designs which are the bell line and the mini dress. Add to that, in terms of chignon hair style, it influences the three designs including the bell line, the A line and the mini dress but as for these four designs which are the bell line, the mermaid line, the A line and the mini dress, they are affected by ponytail hair style. Last but not least,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brides prefer bun hair style which has influences on the two designs, the bell line and the A line.

      • KCI등재

        계절에 따른 웨딩 메이크업 디자인 선호도 연구

        장연아,최문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2

        계절에 따른 웨딩 메이크업 디자인 선호도 연구를 위하여 조사 대상자는 대전 및 충청 지역에서 예식을 진행하는 205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200여부가 회수 되었고 조사 시기는 2014년 3월부터 2015년 2월 까지 약 1년 동안 예식을 진행한 신부들을 대상으로 웨딩메이크업 사진자료, 헤어 사진자료, 드레스 선택 기록 등을 자료수집에 참고하였다. 연구결과 아이섀도는 봄, 여름에는 피치섀도가 가을, 겨울에는 브라운섀도가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고, 볼터치는 4계절 내내 핑크볼터치가 높은 선호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립스틱은 4계절 내내 핑크립스틱이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고, 눈썹은 4계절 내내 회갈색눈썹과 갈색눈썹이 높은 선호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웨딩 메이크업은 선호도가 낮은 색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웨딩메이크업에서 가장 중요한 순서는 얼굴형고려 > 드레스고려 > 브랜드고려 > 가격고려 > 유행고려 라고 나타났다. 계절의 특성을 고려한 웨딩 메이크업에 대한 결정요인과 선호한 스타일을 파악하여 신부들이 더 만족 할 수 있는 웨딩 메이크업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하고 세분화 되어지는 웨딩스타일에 적합한 웨딩 토탈 코디네이션분야의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 목적을 둔다. For the research on the wedding makeup design preference according to season, 205 customers conducting ceremonie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 Korea,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 total of more than 2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brides for about a year, from March 2014 to February 2015; pictures of wedding makeup and hair and records of dress selection were consulted as materials. The results showed: as for eyeshadow, the peach shadow was highly preferred for spring and summer, while the brown shadow for autumn and winter; as for blusher, the pink blusher was highly preferred all year around; as for lipstick, the pink all year around; as for eyebrow, grayish-brown and brown eyebrows all year around. Dislike colors were clear in each wedding makeup. The importance order in the wedding makeup was found: considering face shape > dress > brand > price > fashion. This study analyzed wedding makeup more preferred by brides, by investigating determinants and preferred styles of it in the light of seasonal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this study aims to be basic data for the study on the wedding total coordination suitable for wedding styles that get more various and segmentalized.

      • KCI등재후보

        발 갈랜드의 메이크업 디자인 조형성 연구

        장연아,김혜균 한국니트디자인학회 2016 패션과 니트 Vol.14 No.1

        This research has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modern make-up and developing research on the professionalized make-up design patterns by analyzing the personal background and figurative features of make-up design patterns of make-up designs of Val Garland. The European make-up artist who are establishing unique world of their artworks, from various collections and fashion magazines. Val Garland’s figurative feature by color was very individualistic and exceptional, that was playful and lively and as for textural features, by bravely using glossy materials, creativity was expressed. Regarding the figurative feature by form, especially unique and creative change in lines was found. Overall, playful figurative features with strong individuality was expressed.

      • KCI등재

        에스티로더 브랜드 화장품 광고의 메이크업 디자인 조형성 연구 - 2010년부터 2015년을 중심으로 -

        장연아,김혜균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3

        화장품 광고는 그 시대 여성들의 사고를 가장 민감하게 반영하고 있는 만큼 그 역할은 매우 크다. 본 연구는 여성들의 메이크업 스타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에스티로더 화장품 광고 중 2010년에서 2015년까지의 메이크업 디자인 패턴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해 조형적 특성을 색상, 질감, 형태로 선정하였고, 각각 색조화장품, 스킨케어와 베이스제품, 아이메이크업 표현에 쓰인 제품의 광고 메이크업으로 분류하여 연구하고, 2010년부터 2015년까지의 대표적인 광고 이미지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에서 색에 의한 조형적 특징은 에스티로더만의 우아하면서도 여성스러운 색의 표현을 메이크업에서 엿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질감에 의한 조형적 특징은 완벽한 피부표현과 함께 깨끗한 이목구비를 표현해 줌으로써 고급스러운 제품의 질감이 느껴지도록 부각 시켜 주었다. 형태에 의한 조형적 특징은 에스티로더 화장품 광고의 메이크업만의 여성적인 눈썹과 아이라인의 흐름과 깊이 있는 속눈썹의 표현에서 세련된 여성미를 느낄 수 있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의 광고를 통해 최근 5~6년간의 화장품 광고 속 메이크업 디자인의 변화를 알 수 있었으며, 광고 속 메이크업 디자인을 통해 추구하는 메이크업의 이미지와 색상, 제품의 질감, 이목구비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메이크업 디자인 패턴의 조형적 특징들을 중심으로 작품의 독창성과 다양한 표현 기법을 이해하여 분석함으로써 현대 메이크업을 이해하고 나아가 전문화된 메이크업 디자인 패턴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makeup, the color, texture, and form were selected a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makeup design pattern of Estée Lauder cosmetics advertising having lots of influence on women's makeup styl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with color were analyzed through advertising of color cosmetics products such as eye-shadow and lipstick.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with texture were analyzed through advertising of skin care and base product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orm were studied based on advertising of products for eye-line, eyebrow, and eyelashe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akeup formativeness of product advertising in regards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with color, each product had diverse color themes, so that colors were well-balanced and also expressed its own elegant and feminine colors. In the expression of feminine eye brows and eye line, and rich/in-depth eyelashes of Estée Lauder cosmetics advertising, the sophisticated feminine beauty could be felt. It aims to understand the modern make-up b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diverse expression technique focused on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 of make-up design and contribute to the specialized research development of make-up design pattern through this research.

      • KCI등재

        3D 인쇄방법으로 제작된 치과용 다이 모델의 정확도 평가연구

        장연,Jang, Yeon 대한치과기공학회 2019 대한치과기공학회지 Vol.41 No.4

        Purpose: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3D printed die models and to investigate its clinical applicability. Methods: Stone die models were fabricated from conventional impressions(stone die model; SDM, n=7). 3D virtual models obtained from the digital impressions were manufactured as a 3D printed die models using a 3D printer(3D printed die models;3DM, n=7). Reference model, stone die models and 3D printed die models were scanned with a reference scanner. All dies model dataset were superimposed with the reference model file by the "Best fit alignment" method using 3D analysis softwar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and 2-way ANOVA (α=.05). Results: The RMS value of the 3D printed die model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RMS value of the stone die model (P<.001). As a result of 2-way ANOVA,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model group (P<.001) and the part (P<.001), and their interaction effects (P<.001). Conclusion: The 3D printed die model showed lower accuracy than the stone die mod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urther improve the performance of 3D printer in order to apply the 3D printed model in prosthodontics.

      • KCI등재

        중국 영상관광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장연,단지위,이혁진 한국문화산업학회 2019 문화산업연구 Vol.19 No.1

        The importance of film-induced Tourism is generally increasing while the movie-induced tourism as an influence of regional economies’ revitalization and image improving via regional movie industry and video culture’s development because of video shooting and tourists attracting. In China, there are more than 30 movie locations and it is appearing that focusing on investment attracting of large movie locations positively in more than 20 movie locations, so the potential is infinite. However, the film-induced tourism of China has not been vitalized when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pose measures by studying tourists attracting, national image raising and re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ies about the film-induced tourism of China which likes as other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at proposing revitalization of film-induced tourism in China via examples analysis about movie-induced tourism of America, Korea, England and News land. Problems about film-induced tourism in China from results of analysis, firstly, there are overlapping investments. Secondly, derivatives of movies and TV dramas develop inadequacy. Thirdly, movies and TV dramas lack of exhibition. Fourthly, tourists’ participation degree are insufficient. As revitalization measure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do exhaustive planning activities and structure of complex clusters. Secondly, it is advised that should develope contents of various derived commodities. Thirdly,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trategic and systemic tourism marketing. Fourthly, it is suggested that improve tourists’ participation degree. Final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operation bo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영상관광은 영상물촬영 및 관광객 유치로 인한 지역영상산업 및 영상문화의 발전을 통해 지역 경제의 활성화 및 이미지 제고 등의 영향으로 그 중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중국은 30여개의 영상촬영지와 20여개에 달하는 대형영상촬영지의 투자유치 등 이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나타내고 있어 그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 그러나 중국의 영상관광은 다른 나라에 비해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의 영상관광은 다른 나라들처럼 관광객 유치, 국가이미지 제고,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미국, 한국, 영국, 뉴질랜드 등의 영상관광 사례분석을 통해 중국의 영상관광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중국 영상관광의 문제점은 첫째, 중복 투자. 둘째, 영화 및 드라마 파생상품의 개발 부족. 셋째, 영화 및 드라마의 흥행 부족. 넷째, 관광객 참여도의 부족. 활성화 방안으로는 첫째, 철저한 시전기획과 복합 클러스터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파생상품의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관광 마케팅이 필요하다. 넷째, 관광객의 참여도를 제고해야 한다. 끝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 KCI등재

        중국 문화 관광자원의 선택 요인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영화 촬영지를 중심으로-

        장연,장몽택,이규창 한국문화산업학회 2019 문화산업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tourism resources of Chinese cinematography sites, such as trait, event, serviceability, and traffic, affect the local economy through the parameters of visiting the cinematographic site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Chinese tourists who visited cultural tourism resources of Chinese movie shooting sites from March 10 to March 20, 2017, and a total of 36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ll were collected. Of these, 15 defective questionnaires were removed and 350 sampl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ll four factors of selection of cinematographic loc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degree of visit to the filming site. This is because Chinese tourists visiting the filming sites have a great interest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ing sites, eventfulness, serviceability and traffic. Second, the visits to film sites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the local economy. It can be said that Chinese tourist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ocal economy of the shooting location through a lot of visits to movie shooting places. Third, we demonst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ourist attraction between the tourism resource selection factor and the local economy.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영화 촬영지의 문화 관광자원 선택요인인 특색성, 이벤트성, 서비스성, 교통성이 영화 촬영지의 방문도라는 매개변수를 거쳐서 지역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2017년 3월 10일부터 3월20일까지 10일 동안에 중국 영화 촬영지의 문화 관광자원에 방문한 중국 관광객들 대상으로 총 365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그 중에 불성실한 설문지 15부를 제거하고 350부의 표본을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첫째, 영화 촬영지의 선택요인 4가지 요인이 모두 촬영지 방문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촬영지에 방문한 중국 관광객들이 촬영지의 특색성, 이벤트성, 서비스성, 교통성에 대한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둘째, 영화 촬영지의 방문도는 지역 경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 관광객들이 영화 촬영지에 많은 방문을 통해서 촬영지의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관광자원 선택요인과 지역 경제 사이에서 촬영지 방문도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똘이 장군〉에 반영된 반공적 이데올로기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장연이(Jang Yeon-Yi)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5

        이념 정책의 한 방편으로 나타났던 문화 정책은 영화와 애니메이션에 많은 변화를 주었다. 1970년대 전후반, 반공 이데올로기 작품들의 등장은 한 때 만화영화로 불리며 아이들의 전유물로 인식되었던 한국 애니메이션에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데올로기라는 주제를 내세운 애니메이션의 등장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특이성은 아니었지만 한국전과 전쟁 이후 분단이라는 특수성은 사회, 교육과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친 영화법의 개정은 영화 및 애니메이션에 큰 영향을 주었고 반공에 대한 의식을 다지는 수단이 되었다. 특히, 1978년 상영된 김청기 감독의 작품〈똘이 장군 - 제 3땅굴편〉은 반공을 주제로 한 첫 극장용 장편애니메이션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반공 애니메이션에 표현된 반공 이데올로기와〈똘이 장군〉에 반영된 이데올로기 이미지 표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1960년-1970년 대 영화관련 문화정책과 사회 문화적 배경이 반공 애니메이션의 등장에 끼친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이러한 배경 하에 제작된〈똘이 장군〉에 나타난 반공 이데올로기의 전달을 위해 표현된 애니메이션 이미지가 갖는 특성의 연구를 통해 반공 애니메이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Cultural policy, a part of ideological policy has affected remarkable changes in movie and animation. Korean animation was called cartoon movie and popular only among children, but works dealing with anti-communism ideology have been introduced in Korea since before/after 1970s. Animation focusing on ideology is not unique in Korea, but division of two Koreas after Korean War made great influence on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aspects of the nation. Moreover, modification in movie-related laws and regulations made in 1960s - 1970s affected movie and animation significantly and is a means of strengthening anti-communism. In particular, Director Cheong-gi Kim’s〈Ttori Janggun ? The Third Tunnel〉released in 1978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long piece of animation movie. In this study, I clarify anticommunistic ideology reflected on the anticommunistic animations and the imageable expression of ideology reflected on〈Ttori Janggun〉. Most of all, I emphasize on clarifying how the cultural policies and social & cultural background influence on the advent of anticommunistic animation in 1960~1970. Also, to communicate anticommunistic ideology reflected on〈Tori Janggun〉produced under the social & cultural background, I clarify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 which the image of animation h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