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트로봇을 위한 관람자와 오브제의 네트워크 상호작용

        장승은(Seungeun Jang),김용덕(Yongdug Kim),김바울(Paul Kim),김상욱(Sangwook Kim) 한국HCI학회 201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

        현대예술에서는 디지털매체를 이용한 상호작용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미디어는 시공간적 제약을 넘어 양방향간의 실시간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즉 네트워크통신을 통해 다른 공간에 있는 관람자와 오브제와의 상호작용 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소통을 위한 통신장치로 이 논문의 상호작용적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 연구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호작용아트 작품을 제작하고 이를 아트로봇에 활용하고자 한다. 관람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아트로봇이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연구이다. Interaction that uses digital media is being widely used in comtemporary art. Especially, network based digital media is going beyond the time-space limitations and making real-time communication possible. In other words, interaction between objet and the person at the different place is possible. In this paper, network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network communication on interactive relationship. This paper implements interactive art work using network and attempts to apply it on an art-robot. This research work focuses on making art-robot to act through user interaction.

      • 프로젝션 맵핑에 의한 미디어 파사드

        장승은(Seungeun Jang),김상욱(Sangwook Kim)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아트 작업 기법 중 하나인 프로젝션 맵핑의 전반적인 개념과 작업환경, 이를 바탕으로 구현된 작품을 통해 미디어 파사드로의 확장성을 연구하였다. 프로젝션 맵핑은 실재감과 입체감 등의 가상환경의 시각적 특성이 부각되는 아트 기법이다. 이러한 미디어아트의 기법에 소셜 인터랙션이 가능한 '파사드'를 생성하는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In this study, we study on expansion toward media facade through the artwork of Projection Mapping concepts, the environment and implemented based on this work. Projection Mapping is one of the media artwork techniques. it is highlight a sense of the reality and visual nature of virtual environment in the art technique. These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that is able 'facade' to social interaction in the media art technique.

      • KCI등재

        공공장소에서 관람자 인터랙티브 3D 프로젝션 매핑 디자인

        장승은(Jang, Seungeun),김상욱(Kim, Sangwook)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3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발달은 예술작품에 인터랙티브한 기능을 부여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최근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3D 프로젝션 매핑 작품은 아직까지 실외에서 다수의 관람자가 참여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한 요소가 부족하여 활용 폭이 제한되어 있다. 기존의 아트 표현도구로서는 한계성이 있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관람자 인터랙션 디자인은 기술적 형식미를 갖출 때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혼합현실로서의 3D 프로젝션 매핑기법의 표현적 특성과 스마트 미디어를 연동한 작품제작을 통해 확장된 관람자 인터랙션 환경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시공의 제약 없이 실외환경에서 프로젝션 매핑 영상을 대상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작품을 매개체로 다른 공간의 관람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인터랙션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마트 미디어를 인터랙션 매체로 하는 경우 물리적으로 떨어진 공간을 연결시켜주며 동시에 그것을 이용하는 관람자들을 연결시켜 관람환경에 있어 기존보다 확장된 소통환경을 형성해준다. 현대인의 주요 소통 매체인 스마트 미디어를 이용하여 미디어아트의 새로운 인터랙션 환경을 디자인하는 연구는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프로젝션 매핑아트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 공공영상예술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자 한다. In contemporary art, the Projection Mapping Technique has been using a lot. 3D Projection Mapping Technology is coated exquisitely with 3D image at the actual objects surface. It is perceived as cube like a real world. Represents a cubic effect and spatial depth because to project manufactured image based on actual data. Realize immersive environment through the virtual shape. Projection Mapping Technology can be variously utilize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physical device. This technique is appreciation method most effective by the visually. In this paper, the understand of 3D content-based Projection Mapping Technology. Analyze the case that 3D Projection Mapping Technology has been utilized in art. Through this, this study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Interactive Projection Mapping Art. Study for ways to apply to public visual art.

      • KCI등재

        미디어파사드 환경에서 다중 관람자에 의한 인터랙션 확장가능성

        장승은(Seungeun Jang),김상욱(Sangwook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9

        현대 예술에서는 디지털매체를 이용한 상호작용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미디어는 시공의 구애 없이 양방향 실시간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네트워크는 확장된 관계의 효과적이고 의미 있는 소통과 그 연결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3D 매핑 영상에 스마트기기를 연동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미디어파사드와의 새로운 인터랙션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연동하는 연구는 다수의 관람자가 인터랙션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3D 영상 컨텐츠와 인터랙션이 가능한 ‘파사드’를 생성하는 연구는 예술적으로 가치를 지닌다. The interaction using digital media has been widely utilized in modern art. In particular, network based digital media enables two-way and real-time communication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Network is possible to connect to effective and meaningful communication of extended relationship. This study proposes novel human-MediaFacade interaction method through a mechanism on interworking between 3D mapping technology and social media, smart devices. This study has an important meaning which can be set multi-user interaction. And a study of creating ‘Facade’ which interaction has high artistic value.

      • KCI등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다중 관람자 참여형 프로젝션 파사드 및 게임 시스템

        장승은(Seungeun Jang),탕지아메이(Jiamei Tang),김상욱(Sangwook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7

        실외에서 프로젝터 장치로 영상을 매핑 하는 형태의 미디어 파사드는 광고, 퍼포먼스 도구로 그 활용도가 한정되어 있으며, 인터랙티브한 요소가 부족하다. 특히 실외에서 다수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랙션 시스템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다수의 관람자가 개인 스마트 기기로 미디어 파사드에 투사된 영상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랙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한 파사드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여러 개의 파사드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스마트기기를 통해 미디어 파사드의 영상을 컨트롤하고, 단일 혹은 복수로 게임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적용한 작품을 통해 시스템의 효과성을 테스트하였으며, 사용자 단말기로 인터랙션이 가능한 프로젝션 파사드 시스템의 선행 연구로서 실용적 방안을 제시하였음에 연구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프로젝션 파사드 인터랙션 시스템에 있어 기초 모듈로 사용될 수 있으며, 공연, 게임, 교육 분야 등 융합형 콘텐츠 개발 및 다양한 응용 서비스에 활용 가능하다. As yet the use of 3D projection mapping facade has been limited to advertising and performance in the outside. And interactive elements are lacking. In this paper, propose a interaction system which control of projection mapping facade for multi-audience participation using smart devices. The system can be interaction for the multi-facade. And single or multiple can participate in the game. A user test based on the result confirmed an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This research showed a practical method in which interaction of projection facade system can be used to user de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e module for projection facade interaction system. In addition, It can be utilized for converged content development such as performances, games, education and various applications services.

      • KCI등재

        공정서 수재 의약품의 정량법 개선에 관한 연구

        송재용,장진섭,장승은,김선회,김인규,이길봉,이제만,김용희,Song, JaeYong,Jang, JinSeob,Jang, SeungEun,Kim, SunHoi,Kim, InKyu,Lee, GilBong,Lee, JeaMan,Kim, YongHee 대한약학회 2012 약학회지 Vol.56 No.5

        The aim of the paper is to ameliorate old research methods of Korean Pharmaceutical Codex to adjust the newest scientistic level which is necessary to maintain quality of medical supplies effectively. After reviewing result of Establishment of Dissolution Specifications for Generic Drugs in Korea Pharmaceutical Codex Monograph, there are two items chosen for the methods - Establishment of Dissolution Specifications for Generic Drugs in Korea Pharmaceutical Codex Monograph which KFDA researched in 2010, arranged new measuring standard by having an experiment to set measuring method after obtaining each item. According to the result, The experiment includes a measuring method of two items; Nafronyl Oxalate Capsules, and Ticlopidine Hydrochloride Tablets. The research is ameliorated by research methods through several experiments such as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validation, preparing items, implement of trial-experiment and authentic experiment, and experiment on measuring method of regulations of Korea Pharmaceutical Codex. The experiments are taken opinions of experts in KFDA into consideration and wrote out a report of the new measuring method on each last item. The report is combined as each two experiment sections of analyzing method to maintain the quality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in 2010 on setting of dissolution specifications for oral solid dosage forms. The result of measuring method of medical supplies through modernizing trial method of oral solid dosage forms is available to be accurate. In conclusion,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promotion of public health by organizing a basis for safe and high quality of medical supplies in domestic marke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