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성능 리튬 이온전지를 위한 폴리머-세라믹 복합 겔 고분자 전해질

        장소현,김재광,Jang, So-Hyun,Kim, Jae-Kwang 한국전기화학회 2016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9 No.4

        In this study,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HFP)-based gel polymer electrolyte incorporating nano-size $Al_2O_3$ ceramic particle was prepared by electrospinning. The gel polymer electrolyte (GPE) incorporated with $Al_2O_3$ ceramic particle showed higher ionic conductivity of $9.5{\times}10^{-2}Scm^{-1}$ than pure PVdF-HFP GPE without ceramic particle and improved the electrochemical stability up to 5.2 V. The GPEs were assembled with $LiNi_{1/3}Mn_{1/3}Co_{1/3}O_2$ (NMC) cathode for electrochemical test. The GPE batteries at 0.1 C-rate delivered $168.2mAh\;g^{-1}$ for pure GPE and $189.6mAh\;g^{-1}$ for hybrid GPE, respectively. Therefore, the incorporation of high dielectric constant ceramic particle will be good strategy to enhance the stability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thium ion gel polymer batteries. 본 연구에서는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HFP)를 나노 크기의 $Al_2O_3$ 세라믹입자와 혼합하여 전기방사법으로 복합 겔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Al_2O_3$ 세라믹입자를 혼합한 복합 겔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9.5{\times}10^{-2}Scm^{-1}$로, 순수한 PVdF-HFP 겔 고분자 전해질보다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내며 전기화학적 안정성도 5.2 V까지 개선하였다. 전기화학적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서 $LiNi_{1/3}Mn_{1/3}Co_{1/3}O_2$ (NMC)양극과 함께 전지로 제작되었으며 순수 겔 고분자 전해질과 복합 겔 고분자 전해질 셀은 0.1C-rate에서 각각 $168.2mAh\;g^{-1}$과 $189.6mAh\;g^{-1}$의 방전 용량을 가지며 우수한 수명 특성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고유전율 세라믹 입자의 복합화는 리튬 이온 겔 고분자 전지의 안정성과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BLDC 모터의 토크리플을 줄이기 위한 외란 관측기 기반 제어기 설계에 관한 연구

        장소현(So-Hyun Jang),조남훈(Nam-Hoon Jo) 대한전기학회 2015 전기학회논문지 Vol.64 No.8

        In this paper, we study the problem of torque ripple minimization in Brushless DC Motors (BLDC) and proposes a disturbance observer (DOB) based controller in order to efficiently reduce the torque ripple. In the DOB based control system, an equivalent disturbance (plant disturbance and effect of modelling error) is cancelled by its estimate. When the DOB controller is applied to BLDC motors, the effect of inverter switching is considered as an equivalent disturbance and to be cancelled by the DOB controller.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it is show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DOB controller is superio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PI controller. In the case where the numerical values of resistance and inductance are not known exactly,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DOB controller achieve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PI controller.

      • BLDC 모터의 토크리플을 줄이기 위한 전류 제어기 설계에 관한 연구

        장소현(So-Hyun Jang),전찬영(Chan-Young Jeon),장경민(Kyung-Min Jang),조남훈(Nam-Hoon Jo) 대한전자공학회 2015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6

        BLDC motors require the operation at high switching frequency in order to reduce the torque ripple from inverter. However there are problems to increase the switching frequency because of many reasons. In addition, there is the back-EMF as disturbances. In this paper, we study a disturbance observer (DOB) based controller for BLDC motors at low frequency. The compute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torque ripple reduction performance of the proposed DOB controller is superio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PI controller.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수줍은 기질과 활동적 기질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장소현(Jang, So-Hyun),어성애(Aun, Seong-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수줍은 기질과 활동적 기질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4∼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3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과 AMOS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수줍은 기질은 정서조절능력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부부갈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유아의 활동적 기질은 정서조절능력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부부갈등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부부갈등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수줍은 기질과 부부갈등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완전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활동적 기질과 부부갈등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부분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유아의 기질과 부부갈등을 매개하는 주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hyness temperament and activity temperament with marital conflict. For this study, 342 mothers of children aged between 4 to and 5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SPSS 17.0 and AMOS 1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hyness tempera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but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hyness temperament and marital conflict. Also,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activity tempera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but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activity temperament and marital conflict. Moreover,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marital conflict. Secon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had a perfect significant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hyness temperament and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was found to be a partial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ctivity temperament and marital conflic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ct as a mediator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marital conflict.

      • KCI우수등재

        국내 미등록 이주 아동에 관한 언론 보도 동향 분석

        장소현(So Hyun Jang) 한국아동학회 2024 아동학회지 Vol.45 No.2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media coverage on the public perceptions of undocumented migrant children in South Korea, highlighting their societal exclusion due to their undocumented status. Thise research explores how media shapes the awareness of these vulnerable minors, which is crucial for both their development and societal progress. Methods: We analyzed 302 articles from BIGKinds, a news service of the Korea Press Foundation, published from 1990 to 2023. These articles contained terms related to ‘undocumented migrant children,’ totaling 69,278 keyword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 4.3.1 with packages such as wordcloud2 and ggplot2 to assess keyword frequency and trends over the decades. Results: From the analysis, 69,240 keywords were identified, with the most common being “children, arrest, parents, foreigner, illegal, resident, rights, protection, birth, offspring, support, school”. Media trends have evolved, with an overall increase in coverage, particularly during significant societal events. Conclusion: Media portrayals have shifted from viewing these children merely as dependents of foreign workers to recognizing them as individuals. Residency remained a persistent theme, highlighting it as an unresolved issue. This study highlights the critical role of the media in informing the public about marginalized individuals and influencing societal engagement and perceptions.

      • KCI등재

        건강보험제도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경승구(Seung-Ku Kyoung),장소현(So-Hyun Jang),이용갑(Yong-Gab Lee) 한국보건사회학회 2021 보건과 사회과학 Vol.- No.56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고객지향적 관리운영차원에서 가입자인 국민의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인식과요구, 만족 실태를 모니터링하고자 2004년 이후 거의 매년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가입자인 국민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단위에서 건강보험 가입자 약 2,000명을 표본 추출하여 설문조사방식으로 분석한‘2019년 건강보험제도 국민인식조사’의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국민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각 요인의 영향력 크기를 순서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태도,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인식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건강보험제도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먼저,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경우 기혼자, 중소도시 거주자, 대학교 졸업 이상인 사람, 의료기관 이용 유경험자, 현재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사람, 현재 건강관리를 하지 않는 사람이 건강보험제도에 상대적으로더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건강보험제도 인식의 경우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관심이 낮은사람, 건강보험에 대한 신뢰가 높은 사람, 건강보험에 대한 필요도를 더 높게 인식하는 사람, 건강보험에 대한 보다 많은 자부심을 느끼는 사람이 건강보험제도에 상대적으로 더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건강보험제도 태도의 경우 매월 납부하는 보험료수준이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제공되는 급여의 범위와 수준이 충분히 보장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사람, 건강보험 관련 행정의 질에 만족하는 사람이 건강보험제도에 상대적으로 더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건강보험제도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영향력 크기를 순서대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행정의 질, 보험료 적정성, 건강보험 신뢰도, 건강보험 관심도, 급여의 보장수준, 학력, 건강보험 필요도, 현재 건강상태, 건강보험 자부심, 결혼여부, 건강관리 여부, 거주지역 규모 중 중소도시, 의료기관 이용경험 순서로 건강보험제도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고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분석한 설문조사결과는 패널조사가 아니기 때문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그영향력의 크기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지는 못한다는 것과 조사대상에서 의료급여 수급자가 제외되기때문에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저소득계층의 인식과 만족도를 확인할 수 없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라고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the health insurance system by using the survey data of the 2019 Health Insurance System National Awareness Survey . We tried to check the size of influence in order.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satisfaction of the health insurance system in three dimensions of the survey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ttitude toward the health insurance system, and perception of the health insurance system. First of all, in terms of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those who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health insurance system were married people, resident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people with graduates from university or higher, people who have experience using medical institutions, people who are currently in poor health status, and people who are not currently in health care. Second, in the case of awareness of the health insurance system, the people who are more satisfied with the health insurance system are those with low interest in the health insurance system, those with high trust, those who perceive the need higher, and those who feel self-esteem. Third, in terms of the attitude of the health insurance system, those who are more satisfied with the health insurance system are those who think that the monthly premium level is appropriate, and those who recognize that the scope and level of benefits provided are sufficiently guaranteed. And it appeared as a person who was satisfied with the quality of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is stud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in order. As a result, administrative quality, insurance premium adequacy, health insurance reliability, health insurance interest, salary coverage etc., it was confirmed that i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the health insurance syst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