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전라감영 선화당 내 기물과 의식구의 원형 고증 및 복원

        장경희 전북사학회 2020 전북사학 Vol.0 No.60

        This paper is intended to serve as a reference for future restoration by proving the original objects and rituals for Seonhwadang in Jeollagamye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I analyzed the photos taken by Pete in 1884, the diary, and the layout drawings, and analyzed the events of local officials painted on genr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to reveal the quantity of crafts and ceremonial instruments by type.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the artefact was proved through relics and photographs held in various museums. First, the inside and outside of Seonhwadang are decorated with a Dancheong patterns, and the pillars are painted with Stone wine pigment. Korean paper is applied on the lower part of the pillars, and a blue band is wrapped. A large square paper lantern hangs from the ceiling. Large sedgy mats are laid on the entire floor and a red lacquered chair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wall, a folding screen depicting a blue dragon and a white tiger is plac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ll, ceremonial tools such as a spear(Duk) and a fan are mounted on the pedestal. Second, in the Ondol room, there is a wide, low chair for the official to sit on, and on top of it, a sedgy mat and cushion are placed on it. A desk is placed in front of the wide chair, and two tables covered with red cloth are placed next to it. On each of the two tables, place a box with a seal on it. As such, I expect that the artifacts proven through this study will be placed in Seonhwadang and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전라도를 통치했던 관리가 머물던 관청인 감영의 중심 전각인 선화당을 대상으로 삼아 그곳에 배치할 기물이나 의식구의 원형을 고증하여, 향후 복원할 때 참고가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884년 피트가 찍은 사진과 관련 일지 및 배치도를 분석하였다. 다음 조선 후기에 지방을 통치한 관리들의 행사를 그린 풍속화를 분석하여 관련 기물의 종별 수량을 알아보았다. 자료에 의해 파악한 기물이나 의식구를 각급 박물관에 소장된 유물이나 사진자료를 통해 밝혀 보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것들을 재현 제작하여 선화당 내에 다음과 같은 기물을 복원하여 배치하기를 제안한다. 첫째, 건물에는 단청을 칠한다. 기둥에는 붉은 칠을 하고 아래쪽을 하얀 한지를 바르고 가장자리에 청색 띠를 두른다. 마루의 기둥에는 네모난 종이등을 매달고,, 바닥에는 돗자리를 깔고, 관리가 앉는 주칠 의자를 배치한다. 벽에는 청룡도와 백호도를 그린 병풍을 배치한다. 한쪽 벽에는 둑이나 부채와 같은 의식구를 받침대에 꽂아 세워둔다. 둘째 방안에는 평상을 넣고 그 위에 화문석과 방석을 깔아 관리가 앉을 수 있게 한다. 평상 앞에는 책상을 놓고, 그 옆에는 빨간 천을 덮은 탁자 2개를 놓고 관리의 도장 2개를 넣은 함을 각각 배치한다. 이처럼 건물 내부가 고증한대로 기물과 의식구가 원형대로 복원되어 지역사회의 역사의식이 높아지고 문화관광이 활성화되길 기대해본다.

      • KCI등재

        관형사형 어미에 따른 한국어 추측 표현 {-을 것 같다}의 중국어 대응표현 연구

        장경희 한중인문학회 2018 한중인문학연구 Vol.59 No.-

        본고는 관형사형 어미에 따른 {-을 것 같다}의 중국어 대응표현을 살펴봄으로써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개연성 추측의 경우, ‘应该’는 [+근거]의 의미적 특성 때문에 추측 시 근거가 필수적이며 ‘会’는 추측의 근거에 대한 제약이 없기 때문에 자유롭게 대응할 수 있다. 특히, 공손성과 객관 적 추측을 나타내는 ‘-은/던/는 것 같다’에 대응되는 경우, ‘应该’는 ‘会’보다 더 적절한 대응표 현이라고 본다. ‘应该会’는 미래 지향성을 띄며 미래를 추측하는 ‘-을 것 같다’의 의미적 특성 과 잘 호응한다. 가능성 추측의 경우, ‘-은/던/는 것 같다’가 하는 추측은 ‘-을 것 같다’보다 높은 신뢰도에 기반한 추측이기에 객관성이 강한 추측을 할 때 ‘可能’이 더 많이 대응이 된다. 또한 의견이나 주장을 단언하지 않고 완곡하게 제시할 때에도 ‘可能’의 대응이 ‘-은/던/는 것 같다’의 의미적 특성을 더 잘 반영할 수 있다. ‘可能会’는 ‘가능성+미래성’으로 의미 해석이 되기 때문에 미래 의 일에 대한 추측을 하는 ‘-을 것 같다’에 가장 적절한 의미적 대응이 된다. 필연성 추측의 경우, 모든 양태 조동사가 ‘-을 것 같다’에만 대응되었다. ‘要’는 화자 자신의 심리 상태 추측에 대응되며, ‘肯定会’와 같은 필연성 양태 조동사 결합형은 관형사형 어미 ‘- 을’의 미래의 일에 대한 추측 의미와 가장 잘 부합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sponding expressions of Korean epistemic speculative {-ul kes kathta} to Mandarin Chinese followed by the adnominal endings. Based on this parallel corpus approach, the author found that both of the modal auxiliary verbs of ‘probability’ and ‘possibility’ takes a large proportion, however, the modal auxiliary verbs of ‘certainty’ only takes a very small proportion. Therefore, {-ul kes kathta} is more often used in showing speaker‘s prediction of the ’probability’ and ‘possibility’ of a proposition or an event. Although the Chinese modal auxiliary verbs corresponding to Korean speculative showed similar degrees of certainty, the study discerned differences in their usage followed by the change of adnominal endings as the former have unique semantic characteristics. So the author examined how are the modal auxiliary verbs corresponding to {-ul kes kathta} followed by the various adnominal endings. As a conclusion, ‘-ul kes kathta’ is corresponding with ‘Hui’ and ‘Yinggaihui’ of ‘probability’, ‘Kenenghui’ of ‘possibility’, ‘Yao’ and ‘Kendinghui’ of ‘certainty’. And ‘-eun/den/neun kes kathta’ is corresponding with ‘Hui’ of ‘probability’ of ‘Yinggai’ and ‘Keneng’ of ‘possibility’.

      • KCI등재

        유아의 접속어미 형태 습득에 관한 연구

        장경희,전은진,이우연,권미정 한국어의미학회 2009 한국어 의미학 Vol.30 No.-

        Chang, Kyung-hee. Jeon, Eun-jin. Lee, U-yeon. & Gweon, Mi-jeong. 2009. A Study on Infants' Acquisition of Connective Ending Forms. Korean Semantics, 30.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Infants' Acquisition of connective ending forms. There is an individual difference in language development, but significant similarity can be seen in the process. As basic research, we have surveyed of actual state of ending uses in terms of connective ending types, occurrence orders and frequency level. Depending on these results, we made an attempt to find the universality of the period and order of the acquisi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assumes that the connective ending form initially learned by infants, is ‘-go’ and followed by ‘-myeon’ and ‘-aseo’ and, the developmental stages of connective endings can be divided into four ones. The endings belonging to the first stage include ‘-go, -myeon, -aseo’ which are used by 6 infants. The second stage include ‘-ryeogo, -nikka, -daga and -neunde’, which are learned more or less during this period, even though individual differences exist. The third stage include ‘-ni, -ado, -myeonseo, -ryeo, and -reo’. And the fourth stage include ‘-aya, -ryeomyeon, -atja, -goseo, -deoni, and -jiman’, that these forms are learned by infants of three years and over.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we have concluded that the development of connective endings with children of 30 months and over reaches a stable stage and they use connective endings in a similar frequency to adult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