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농구 레이업-슛 동작의 착지 유형이 잠재적인 하지상해에 미치는 영향

        임희성,박상헌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9 스포츠사이언스 Vol.37 No.1

        본 연구는 농구 레이업-슛 동작 시, 착지 유형에 따른 수직 지면반력을 분석하고 그 차이를 규명하여 농구 레이업-슛착지 로 인한 상해를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10명(age: 23.3±1.3 yrs., height: 179.2±2.9 cm, weight: 71.9±5.1 kg, career: 7.7±1.6 yrs.)의 아마추어 농구 선수가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신체에 마커를 부착하고 3가지 유형의 착지 동작(DLL, JLL, OLL)을 각각 수행하였다. 대상자들의 동작을 분석하기 위하여 8대의 적외선 카메라와 2대의 지면반력기를 사용하였으며 이때 샘플링(sampling rate)는 100 Hz, 1000 Hz로 설정하였다. 통계처리는 Windows용 SPSS 21.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반복측정변량분석(ANOVA with repeated measure)가 수행되었으며, 사후 검정은 Bonferroni correction를 수행하였다. 유의수준(significant level)은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DLL의 최대 지면반력 값은 JLL과 OLL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p<.05). 또한, 수직부하율과 수직강성 모두 DLL이 JLL과 OLL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작은 수치를 나타냈다(p<.05). 결론적으로, 양발착지(DLL)은 한발착지(JLL, OLL)보다 더 작의 상해 위험률을 가지고있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JLL은 OLL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는 경향이 보였는데 이는 JLL이 OLL보다 농구의 움직임에 있어서 더 자연스러운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낮은 위험율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농구의움직임에 따른 특유한 동작이므로 농구 외 일상생활에서 수행되는 움직임과 연관 짓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among the three landing types of the lay-up shoot in the basketball. Ten male amateur basketball players (age: 23.3±1.3 yrs., height: 179.2±2.9 cm, weight: 71.9±5.1 kg, career: 7.7±1.6 y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o perform three types of the lay-up shoot landing (Double leg landing [DLL], Jump leg landing [JLL], Opposite leg landing [OLL]), five times for each. And, eight infrared cameras (100 Hz) and two force plate (1000 Hz) were used to measure the landing performances. The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variables, which are Maximum vertical GRF (kFz), vertical loading rate (kGz) and vertical stiffness (kSz), were calculated to compare between lay-up shoot landing movements in this study. A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ere performed for this study and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05. Findings were as follows: 1. DLL showed lower maximum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kFz) than JLL and OLL, which are single leg landing (p<.01) 2. DLL showed lower vertical loading rate (kGz) than JLL and OLL (p<.01) 3. DLL showed lower vertical stiffness (kSz) than JLL and OLL (p<.01) In conclusion, injury risk factors of double leg landing are lower than single leg landing in basketball lay-up shoot. Specially, injury risk factors of jump leg landing tended to be less than opposite leg landing. This movements are peculiar characteristic in basketball compared with general motion.

      • KCI등재

        국립대 및 사립대의 현실과 개혁과제

        임희성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09 동향과 전망 Vol.- No.77

        Our nation’s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been expanded rapidly since 1945, but they have not developed qualitatively. From 2003, the entrance quota of our colleges and universities far exceeds the number of high-school graduates, while the educational and financial conditions are still below the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thesis’ aim is to analyse the educational realities of our nation’s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then to suggest the reform plans for private universities and national universities separately. The reform plans for private universities are the control of the monopolistic rights of the founders and the boards of directors and the decreasing the ratio of dependence on student’s tuition fees. The reform plans for national universities are the maintaining the public service of them against the recent restructuring plan and the increasing of national universities students number. 우리나라 대학은 해방 이후 사학을 중심으로 급격한 양적 성장을 이뤘다. 대학의 양적 성장은 고등교육 수혜에 대한 국민적 요구를 수용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으나 인력수급의 불균형과 대학의 질적 낙후의 원인을 제공했다. 실제로 우리나라 대학은 2003년을 기점으로 대학입학 정원이 고교 졸업자 수를 초과하는 상태에 접어들었으며, 교육여건 및 재정규모는 열악한 상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대학의 양적 팽창은 사학의 팽창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고등교육의 사학의존도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편에 속하며, 이는 등록금 고액인상이라는 고질적인 사회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교육 현실을 짚어보고, 국립대와 사립대로 구분하여 개혁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국립대는 국가가 설치·운영하는 고등교육기관으로, 저렴한 등록금을 통해 고등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데 큰 공헌을 해 왔으나 최근 들어 국립대 운영의 자율성과 효율성 증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국립대 재정·회계법(안)」과 국립대 통·폐합 등 국립대 구조조정이 적극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국립대 운영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정부의 처방을 진단하고 국립대 개혁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대학의 85.7%를 차지하는 사립대학은 과도한 양적팽창 이외에도 사학 설립·운영자의 독점적 권한, 높은 등록금 의존율, 대학운영의 투명성·공개성 미흡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정부는 ‘자율과 경쟁’ 논리를 통해 부실사학 퇴출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사학운영자들과 사립학교법 폐지로 자율의 극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사립대 운영실태를 구체적으로 진단하고 사립대 개혁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추출된 파라미터 기반의 확장칼만필터를 이용한 리튬인산철 배터리의 SOC추정

        임희성,이상혁,이교범 대한전기학회 2023 전기학회논문지 Vol.72 No.11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estimate SOC(State of charge) by extracting parameters for each circuit element of an LFP(LiFePO4) battery equivalent circuit model and combining the Extended Kalman Filter and coulomb counting method. A lithium battery cell is generally modeled using an equivalent circuit, and parameters for each circuit element of the battery model can be extracted using pulse charging and discharging curves. Those curves are collected experimentally to characterize battery performance at various operating points. Numerical optimization algorithms are repeatedly performed in computer simulation to minimize errors in battery models and experimental data. SOC is estimated using extracted parameters and the Extended Kalman Filter algorithm.

      • KCI등재

        백색소음을 이용한 청각 자극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앉았다 일어서기 및 서있기 동작 시 안정성과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

        임희성,박상헌,김주년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0 체육과학연구 Vol.3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uditory stimulus using white noise on stability and balance during sit-to-stand and standing tasks of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Eighteen chronic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asked to perform the tasks of sit-to-stand, standing with eyes open and standing with eyes closed before and after listening to white noise. Eight infrared cameras and one force plate were used to evaluate the stability and balance before and after the white noise stimulus during each task.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white noise stimulus in all tasks. On the other hand, the anteroposterior range of Co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white noise stimulus in standing with eyes-closed (p<.05), and the sagittal angle of CoP-Co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white noise stimulus in standing with eyes-open and eyes-closed (p<.05). [Conclusion] Auditory stimulus using white noise improves the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Therefore it is thought to be helpful for the independent daily life of chronic stroke patient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백색 소음을 이용한 청각 자극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앉았다 일어서기(sit-to-stand) 및 서있기(standing) 과제 시 안정성과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만성 뇌졸중 환자 18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백색소음을 청취하기 전·후로 앉았다 일어서기와 눈뜨고 서있기, 눈감고 서있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각 과제 수행 시, 백색소음 자극 전·후 안정성 및 균형성을 평가하기 위해, 적외선 카메라 8대와 지면반력기 1대를 사용하였다. [결과] 모든 과제에서 백색소음 자극 전·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눈감고 서있기 과제 시 백색소음 자극 후 CoP의 전·후 이동범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눈뜨고 서있기와 눈감고 서있기 과제 시 CoP-CoM의 시상면 각도가 백색소음 자극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결론] 백색소음을 사용한 청각 자극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뇌졸중 환자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Prediction of pollution loads in the Geum River upstream using the recurrent neural network algorithm

        임희성,안현욱,김해도,이재주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9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4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water quality using the RNN (recurrent neutral network) and LSTM (long short-term memory). These are advanced forms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at are better suited for time series learning compared to artificial neural networks; however, they have not been investigated before for water quality prediction. Three water quality indexes, the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COD (chemical oxygen demand), and SS (suspended solids) are predicted by the RNN and LSTM. TensorFlow, an open source library developed by Google, was used to implement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The Okcheon observation point in the Geum River basin in the Republic of Korea was selected as the target point for the prediction of the water quality. Ten years of daily observed meteorological (daily temperature and daily wind speed) and hydrological (water level and flow discharge) data were used as the inputs, and irregularly observed water quality (BOD, COD, and SS) data were used as the learning materials. The irregularly observed water quality data were converted into daily data with the linear interpolation method. The water quality after one day was predicted by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it was found that a water quality prediction is possible with high accuracy compared to existing physical modeling results in the prediction of the BOD, COD, and SS, which are very non-linear. The sequence length and iteration were changed to compare the performances of the algorith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