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인식과 신념이 수학동화 활용정도에 미치는 영향: 유치원 고경력 교사를 중심으로

        임혜성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cognitions and beliefs on the frequency of reading math story books in preschool classrooms. The participants were 139 experienced preschool teachers in Seoul, South Korea. The results from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ndicated that the experiences in math-relate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s’ cognition on the benefit of reading math storybooks, and teachers’ beliefs in teaching math predicted the frequency of reading math story books after controlling for all covariates. The implication for supporting experienced teachers’ cognition and beliefs on the benefit of using math storybooks for early math education was discussed. 본 연구는 교사의 인식과 신념이 수학동화 활용정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경력 5년 이상의 139명의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교사의 배경변인, 수학동화에 대한 인식,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신념은 경력교사의 수학동화 활용정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의 배경변인 중에는 수학 관련 교사 연수 여부가, 교사의 인식변인 중에는 수학동화 활용에 대한 장점 인식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교사의 신념변인 중에는 교육목표와 관련된 신념과 수학교수 능력에 대한 신념이 유치원 경력교사의 수학동화 활용정도를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수학동화를 통한 수학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아교사가 수학동화하고 수학 교수 능력에 대한 신념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증거기반 코칭모델과 한국 유아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 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을 중심으로

        임혜성 한국육아지원학회 2019 육아지원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미국의 증거기반 코칭의 이론적 배경과 현황을 살펴보고, 그 함의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테네시 주에서 교실평가척도체계(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 CLASS) 훈련을 받고 있는 교사 교육자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8명의 교사 교육자와의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증거기반 코칭은 CLASS에 의한 교실관찰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고 있었다. 증거기반 코칭은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적 지원을 받고있었으며, 다수의 유아교사가 코칭을 받을 수 있도록 체계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어 코칭이 전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증거기반 코칭 시스템이 한국의 유아 교사교육 및 전문성 향상에 대해 가지는 함의로는 첫째,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대한 객관적인 준거 확립과 평가도구의 개발, 둘째,기관평가와 교사 전문성 발달을 연계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 셋째, 교사교육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전문 인력 확충을 위한 체계적・정책적 노력, 넷째, 한국의 맥락에 맞는 적용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vidence-based coaching using Classroom Assesment Scoring System (CLAS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40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who attended in the regional CLASS training in U.S. Additionally, eight 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several times of focused group interview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teacher educators found that CLASS framework helped them to be reflective about their practices based on the classroom observation data. Also, the government provided systematic support to individual teachers to build infrastructure for coaching. Specifically, the organization invested their time and money to raise the capacity in multiplying professionals with expertise in evidence-based coaching. The implication for applying evidence-based coaching in Korean contex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tandardized scale to evaluat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orean contexts. Second, the government needs to develop an integrated system for quality rat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ird, systematic efforts to raise teacher educators’ capacity is needed. Finally, the application of evidence-based coaching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s is suggested.

      • KCI등재

        유아의 수학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유아의 반응 수준에 미치는 영향

        임혜성,최진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reschool teachers’ feedback strategies on young children’s level of responses. A total of thirteen preschool teachers and their 219 children (mean age consisted of 60 months, with minimum 49 and maximum 77 months, respective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classroom observations, this study categorized preschool teachers' feedback strategies (i.e., information-seeking feedback versus cognitively demanding feedback) and young children’s responses (auxiliary-fronted responses, single-word answers, and expression of critical thinking). The result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eachers’ types of feedback strategies were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children’s responses. On the one hand, information-seeking feedback was associated with children’s single word answers after controlling for child variables (i.e., sex and age) and teacher variables (i.e., degree a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cognitively demanding feedback was associated with children’s expression of critical thinking after controlling for the covariates.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methods which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ould utilize, cognitively demanding feedback strategies in the classrooms.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그림책을 읽는 동안 유아 교사가 제공하는 피드백 유형이 유아의 사고 촉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13개의 유치원 교실의 선생님과 219명의 유아(m=60개월, 최소 42개월~ 최대 77개월)가 참여하였다. 수학 그림책을 읽고 이루어진 수학활 동에서 교사의 피드백 유형(정보확인형 피드백, 인지촉진형 피드백)이 유아의 반응(기계적 응답, 단답형 응답, 생각을 표현하는 응답)에 미치는 영향력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 과, 유아변인과 교사변인을 통제한 후, 교사의 정보확인형 피드백(i.e., 반복하기, 확장하기, 명료 화하기, 구체적으로 묘사하기)이 유아의 기계적 응답과 단답형 응답만을 예측하였으며, 유아의 사고표현 응답은 예측하지 못하였다. 반면에 교사의 인지촉진형 피드백(i.e, 비계설정, 질문-대답 주고받기, 후속질문, 사고과정 설명 요구하기)은 유아변인과 교사변인을 통제한 후, 유아의 사고 표현 응답을 유일하게 예측하는 피드백 유형이었다. 논의에서는 교사가 유아의 사고표현을 촉진 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교사 전문성 지원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Influencing Factors and Interactions among the Skin Microbiomes in Affecting Detrimental Bacteria

        임혜성,임학태,조창익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2022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and interactions among beneficial bacteria, commensal bacteria, and acne bacteria, which are factors in the skin microbiomes, on detrimental bacteria by 289 people, who are 20 to 49 years old among Korean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models using bio big data of skin microbiomes, when the difference in skin microbiomes according to the sex and age of the subjects was controlled, the beneficial bacteria showed a negative (-) effect on the detrimental bacteria, while the commensal and acne bacteria showed a positive (+) effect. Particularly, the negative (-) effect of beneficial bacteria on detrimental bacteria was different through interaction with acne bacteria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mensal bacteria.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ctivation of beneficial bacteria inhibits detrimental bacteria, and the effect of skin microbiomes on detrimental bacteria is balanced with skin microbiomes through interaction with independent influen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when studying skin microbiomes products to help the proliferation of beneficial bacteria and to create a skin environment that inhibits detrimental bacteria in the personalized cosmetics manufacturing industr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dependent effects and interactions among skin microbiome factors together.

      •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창의융합 예비유아교사 교육 사례

        임혜성,김성애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2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육용 로봇을 활용하여 유아교육을 할 수 있도록 예비교사교육 사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이 로봇을 활용한 교육과정에 10주 동안 참여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5권의 전래동화 속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레고 스파이크 이센셜을 활용하여 로봇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창작하였으며, 전문가의 피드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모델을 개선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로봇을 활용한 유아교육 활동의 전 과정을 순환적 모델에 기반하여 참여하기, 탐색하기, 만들고 설명하기, 평가하기, 확장하기의 순으로 계획하는 경험을 하였다. 결론에서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창의융합 예비유아교사 교육이 예비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