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소설의 낭만적 감수성

        임정연(Jung Yeon Lim) 한국현대소설학회 2011 현대소설연구 Vol.- No.48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the romantic imagination and sensibility of the novels of Dohyang Nah and Jayeong Noh, and make a close inquiry into the specialty of modern romantic novels by categorizing them. Both two writers express the romantic world view which takes the dual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reality and ideal, yearning and disillusion for main pathos. And based on that, they embody the roman description of deeds which the characters in solitary situation get establishing themselves with ``love``. Dohyang Nah embodies moral sensibility based on pathos of melancholy. The tragic pathos of his novels starts from the cognition which love is the absence, lack and impossible desire. But, he shows the ethical attitude which takes the desperateness and grief over love for precondition for ``true life`` and sublimates them to moral emotion. On the other hand, Jayeong Noh embodies the esthetic sensibility based on the romantic imagination. His novels imply yearning for esthetic pleasure that wants to accomplish the unity of nature and art beyond reality. So, the end of his novels aim for the desire-come-true romantic structure that overcomes the realistic obstacles and accomplishes love. The romantic sensibility of Jayeong Noh and Dohyang Nah can be called as the expression of impulse and desire in other ways which try to get out of modern order.

      • KCI등재

        민간 4차 산업혁명 선도인력 양성훈련 사례분석

        임정연(Jung-Yeon Lim),권정언(Jung-Eon Kwo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0

        본 연구는 급속하게 변화하는 미래사회 직업교육훈련의 방향과 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민간교육 훈련기관의 직업교육 운영사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시범운영으로 실시된 민간기관의 4차 산업혁명 선도인력 양성훈련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교육훈련 대상, 목표, 과정특징, 취업지원, 성과관리 항목을 설정하였으며, 분석자료는 홈페이지, HRD-net, 홍보자료 및 담당자 인터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도인력 양성훈련의 훈련분야는 정보보안, 빅데이터, IoT, 스마트팩토리 등 신기술 분야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둘째, 직업교육훈련을 위해 협․단체형, 기업형, 대학형의 민간교육기관은 각자가 지닌 자원과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교육훈련 목표는 전문가(기술자)양성으로 일반적인 직업교육훈련에 비해 높은 수준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교육과정은 기초-숙련-프로젝트 등 모듈형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합을 시도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업과 연계한 프로젝트 실습을 통해 교육생의 사고력과 복합적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이러한 사례분석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 직업교육훈련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 of the Leader Education and Training in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lot project in 2017. The criteria of analysis are subject for education, goal, curriculum, support for employment etc.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homepage, HRD-net, public relations materials and interviews with the staff memb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aining fields were related to the New Technology like Information Security, Internet of Things, Big Data, and Smart Manufacturing etc. Second,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making full use of their resources and strengths. Third, the goal of the Leader Education and Training was to be professional engineers and the level of the Leader Education and Training was very high. Fourth, the curriculums are modularized and try to combinate of the subject. Finally, the project tasks were focused to improve problem solving and complex thinking.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ed the direction and task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future.

      • KCI등재

        미래 융합기술사회에서 전자기업의 인재상 분석

        임정연,Lim, Jung-Yeon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17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alents required in electronic compan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 conducted a network analysis on the key talent of the companies presented in over 100 job announcements to companies in the electronics indust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ctronic companies showed the most favored creative talents, preferring collaborative talent and challenging talent. Second, looking at the core definitions of talent, change, response, problem solving, performance creation, communication, challenge, professionalism, enthusiasm, development, aggressiveness and spontaneity were used. In other words, key keywords emerging from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were being used continuously. Third, in the Centrality analysis, talented people who emphasize humanity also appeared. Based on the study, it suggested that manpower training of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융복합시대의 전자기업의 인재상을 분석하여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자산업 분야의 기업에 100여 곳의 채용공고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업의 인재상을 키워드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산업 기업은 창의적 인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력하는 인재와 도전적인 인재를 선호했다. 둘째, 인재상의 핵심정의를 살펴보면, 변화, 대응, 문제해결, 성과창출, 의사소통, 도전, 전문성, 열정, 발전, 적극, 자발 등 4차 산업혁명에서 대두되는 핵심키워드가 직접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연결중심성 분석결과, 창의, 열정, 협력, 도전 등의 전통적으로 강조되어 온 인재상도 지속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나, 학습형인재, 윤리적인 인재, 신뢰로운 인재 등 인간성을 강조하는 인재상도 대두되는 특성을 보였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미래 융합기술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전자분야 인력 양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순차분석을 활용한 베이비붐 세대의 직업이동 분석

        임정연(Jung-Yeon Lim),이영민(Young-mi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순차분석방법(Sequential analysis)을 적용하여 한국 베이비붐 세대 근로자의 최근 15년 동안의 직업이동 패턴과 유형의 특징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탐색은 한국 근로자의 후기 경력패턴을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인 퇴직 지원 전략을 탐색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직업이동 유형과 빈도분석, 직업별 변환확률분석, 유의도검사 등을 활용하여 근로자 직업이동 간의 관계를 제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노동패널의 15년차 직업력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 남성 근로자는 전문가 및 준전문가의 비중에 비해 단순 기술?기능 조립직의 종사자와 농업임업 및 어업 숙련종사자의 비중이 높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둘째, 베이비붐 여성근로자의 서비스종사자, 판매종사자, 기능 종사자 및 단순노무 근로비중이 상당히 높은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특징은 베이비붐 세대가 퇴직 후 귀농을 선택하거나, 단순노무직과 같은 낮은 일자리로의 직업이동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형태의 전직 및 퇴직지원 서비스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job mobility types and patterns of baby boomers over the past 15 years. Sequential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at were derived from Wave 1~15(1998~2013)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job mobility types and frequency, conversion analysis, probability, and significance ra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roportional rates of male baby boomer workers such as technical, functional, and agriculture work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professionals and semi-professionals, whereas in case of female baby boomer workers, proportional rate of office workers were lower than those of service and sales workers. It was showed that functional and labor worker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We found that after retiring, they left their job to search for farming job or choose to work in secondary labor markets. We suggested that the retirement support system and management system should be designed and conducted in a good manner.

      • KCI등재

        임노월 문학의 악마성과 탈근대성

        임정연 ( Lim Jung-yeo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0 국제어문 Vol.50 No.-

        유미주의 작가 임노월은 한국문학에서 생소했던 악 또는 악마성을 서사화한 독특한 작품세계를 연출하고 있다. 임노월 소설은 히스테리, 광기, 신경쇠약, 강박증 등의 정신 병리학적 특징들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는 병리적 주체들을 중심으로 서사가 추동된다. 그의 소설에서 병리성은 `경이(警異)`와 `비애`라는 심미적 감정을 경험하게 하는 예술의 모티프이자 창조의 원천으로 `상상력`이란 이름으로 옹호되고 있으며, 제도와 상식, 진리와 도덕을 넘어 현실을 전복시키는 악마성의 원리로 구현된다. 특히 <악마의 사랑> <악몽> <처염> 등의 후기 소설에서 병리적 주체의 상상력은 살인, 죽음과 같은 반사회적 행위로 현실화되면서 인물의 선악 개념을 전도시켜 새로운 가치체계를 창조하는 데까지 이르고 있다. 이렇게 하여 악마성은 상상력이란 잣대에 의해 인간 내부에 존재하는 본능이며 긍정적인 힘으로 재규정된다. 임노월 소설에서 악은 매혹적인 팜므파탈(femme fatale)형 여성 인물들을 통해 심미적으로 경험되기도 한다. 신비하고 비밀스러운 이 여성들은 실제로 어떤 행위를 한다기보다 이미지로 기능함으로써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남성의 `꿈`이나 `환영`속에 영원히 박제됨으로써 무한한 생명력을 부여받는다. 미지(未知)의 대상으로서 이들 여성은 남성들의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시켜 불안과 공포라는 심미적 파토스를, 나아가 죽음이라는 `궁극의 황홀미`를 구체적으로 체험하게 해준다. 이들에 대한 매혹은 남성들의 소유와 정복에의 욕망이 충족되지 않음으로 해서 지속되는 바, 남성들이 입는 `치명상(致命傷)`은 미지의 영역을 침해한 데 대한 필연적인 대가인 것이다. 따라서 팜므파탈형 여성 인물들은 미지(未知)에 대한 임노월의 매혹과 공포가 구현되어 있는 서사적 결정체라 할 수 있다. 임노월의 소설이 병리적 주체와 팜므파탈 여성의 조합을 통해 근대적 이성과 합리성으로 인식되지 않는 `틈` 혹은 `구멍`에 대한 공포를 매혹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미지라는 새로운 영역을 창조한 것은 근대의 환부를 건드리는 동시에 현실을 초월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의지를 담은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악마성은 도덕의 유무와 관련된 윤리적 차원에서 기인하는 것이라기보다 근대라는 역사적 조건을 기원으로 하여 발생한 것이면서, 계몽 지식과 근대적 욕망에 반발한 탈근대적 지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임노월의 문학은 근대적인 동시에 탈근대적이며, 우리 근대문학의 특수성에서 비롯되는 동시에 유래가 없이 돌출적인 것이라 할 만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Lim No-wol, the writer of aestheticism described the concept of `evil`. Heroes in his novels are pathological characters who show their pathological features such as hysteria, madness, nervous breakdown, etc. wholly. However, such pathology is embodied as the principle of devilishness that overthrow the reality beyond the common sense and morality under the protection of the name of `imagination.` In this time, the devilishness is an instinct inside the human, the true feeling and the power to overthrow the world. Moreover, the evil in his novels is sometimes experienced through femme fatale type heroines aesthetically. Mysterious and secret women paralyze the reason and moral sense of men to give them mortal wounds as the existence to destroy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Such women characters are the descriptive crystallization in which fascination and fear of Lim No-wol on the unknown are realized. Accordingly, the devilishness in his novel includes the ultimate will to rise above the world while touching affected parts of the modern time according to exposure of refracted desires of people who are caught in the order of reality. In such sense, the devilishness of Lim No-wol includes post-modern direction against modern reason and rationality.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융합기술 연구동향 분석

        임정연,Lim, Jung-Yeon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18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4 No.1

        본 연구는 국내 융합기술 관련 연구물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연구특성과 구조, 현황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난 13년(2005년~2018년)동안 연구명에 '융합기술' 단어를 사용한 학술지 177편의 저자키워드 653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융합기술 연구는 지난 13년 동안 꾸준히 수행되어 왔으며 주로 융합, 디지털, 기술, 예술디자인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다. 둘째, 검색어 빈도분석 결과, '융합기술', '기술융합', '융합', '디자인', '융합교육', 'STEAM', '융합연구', '4차 산업혁명', '특허분석' 등이 융합기술의 주요 키워드로 사용되었다. 셋째, 커뮤니티 분석결과, 5개의 커뮤니티가 분류되었고, 검색어의 특성을 반영해 '나홀로 IT', '융합콘텐츠를 활용한 문화산업', '기술혁신과 연구분석', '융합교육', '기술융합과 특허개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미래사회 융합기술교육 연구의 과제와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2005 to 2018 revised 'convergence technology research'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using NetMiner4.0 program.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keyword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of 653 authors' keyword from 177 journ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Converging Technology has been studied steadily over the past 13 years in Department of Industry Convergence. Second, the results of the search term frequency analysis show that the 'convergence technology', 'technology convergence', 'convergence', 'design', 'convergence education', 'STEAM', 'convergence research' were used as the main keywords of convergence technology research. Third, Community analysis results show that five communities have been classified fiv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rch terms 'only IT', 'Cultural industry utilizing Convergence contents', 'Technology innovation and research analysis' And patent develop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the future directions of convergence technology research.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직장여성 관련 연구동향 분석

        임정연(Lim, Jung-yeon),윤지영(Yoon, Jiyou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8 아시아여성연구 Vol.57 No.1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국내 직장여성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여성인적자원개발 연구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2017년 까지 “여성”, “직장” 조합어를 제목에 사용한 연구물 647편의 키워드(node) 1,900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직장여성 관련 연구는 취업모, 맞벌이여성, 경력단절여성, 고학력여성, 장애여성, 결혼이주여성 등 결혼여부, 학력, 나이, 인종, 경력 등을 기준으로 다양한 집단대상 연구가 이루지고 있었으며, 심리․정신건강에서부터 결혼, 출산, 가족, 일, 젠더 이슈 등 통합적 주제를 다루고 있었다. 둘째, 키워드 중심성 분석결과, “일-가정 갈등”의 연결중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직장여성이 경험하는 가장 중요한 이슈는 직장과 가정에서의 갈등문제임을 예측할 수 있다. 셋째, 커뮤니티 분석결과, 총 5개의 연구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여성심리와 정서, 양성평등가족정책, 출산과 다중역할, 결혼과 삶, 여성인력과 경력개발 관련 연구가 세부 연구주제를 이루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직장여성의 하위 대상별 핵심 이슈를 분석한 결과, 대상별 관심 연구주제가 차별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여성인력활용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방향과 정책연계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s and issues in research on working women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research on working women in the future. A total of 647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Korea from 2000 to 2017 were selected, with 1,900 keyword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various groups of research topics based on marital status, academic background, age, race, and career. And the research papers dealt with a range of integrated issues such as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th, marriage, childbirth, family, work, and gender issues. Second, the most important issue experienced by working women was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Third, five research themes were derived from community analysis. The main concerns were research on women’s psychology, emotions, gender equality, family policy, childbirth and multiple roles, marriage and life, female workforce, and career development. Finally, the research subjects of interest were differentiated by sub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link women’s research with policy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기억의 토포스, 존재의 아토포스

        임정연(Lim, Jung-Yeon)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2

        이 글은 전혜린의 글쓰기에 나타난 독일 토포필리아의 양상에 주목해 독일이라는 장소와 장소기억이 전혜린이라는 개인이 세계 내에서 자신의 존재 좌표를 설정하는데 어떻게 관여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전혜린의 글쓰기가 지니는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한다. 뮌헨 ‘슈바빙’이라는 장소는 전혜린의 기억과 글쓰기의 근원적인 토포스(topos)를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전혜린의 글쓰기는 슈바빙에 ‘대한’ 기록이 아니라 슈바빙으로부터의 말하기, 슈바빙이 가능하게 했던 실존의 기록이라 할 수 있다. 전혜린의 독일행이 내면에 자리잡은 실향(失鄕)의식과 관련이 있다고 할 때, 슈바빙은 ‘먼 데에 대한 그리움’이 구현된 장소로서 존재의 토포스로 기능한다. 그곳에서 전혜린은 반속물주의를 지향하는 ‘대학생’에게서 ‘슈바빙적인 것’과 슈바빙의 정신을 발견하고, 자아의 이념형(Idea-blid)으로 동일시한다. 그러나 ‘귀향’이 불가능성을 전제로 고향을 찾아가는 행위라 할 때 어떤 장소에서도 존재의 완전한 정주는 불가능하다. 전혜린의 글에서 발견되는 일상에 대한 낯설음, 권태와 광기, 반항과 방황 등은 바로 이 같은 고향 상실의 징후들로서, 이 상실감은 근본적으로 자기와 참 자기 사이의 실존적 거리감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전혜린은 기억속에서 슈바빙을 끊임없이 소환함으로써 ‘슈바빙적인 것’과 유기적으로 관계 맺으면서 존재 망각에 저항하고자 했다. 전혜린의 글쓰기는 권태와 상실에 대항해 자신의 실존적 고향(topos)을 재탈환하려는 분투의 흔적인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전혜린의 독일행은 고향을 찾아나서는 근원적 충동의 여로였고, 독일이라는 장소를 소환하는 글쓰기는 자아의 동일성을 회복하려는 ‘귀향’의 글쓰기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aspect of German topophilia in Jeon, hyerin’s writing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lace, German, and Jeon, hyerin. Jeon, hyerin’s writing is a text to remember the place, ‘Schwabing’ of Munich, Germany. In her writing, Schwabing makes the fundamental topos of every memory. Her studying in Germany was driven with the consciousness of loss of hometown, which is ‘longing for a distant place’, accordingly, Schwabing was a place where German word ‘Fernweh’ was realized. She discovers the spirit of Schwabing in Munich University students’ antisnobbery, identifying as an ideal type of the self. However, simultaneously, Jeon, hyerin’s writing expresses the symptoms of loss of hometown such as unfamiliarity to daily lifew, weariness and madness, disobedience and wandering, etc. This sense of loss is generated from existential distance between the self and true self. Jeon, hyerin intended to resist the existence forgetting and sense of loss by remembering and recording Schwabing. Therefore, Jeon, hyerin’s writing is a trace of a struggle to retake her existential hometown(topos) by resisting weariness and loss. That is, Jeon, hyerin’s depart for Germany was a journey of fundamental impulse to search her hometown, and her writing was that of ‘going home’ to fill hunger of spir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