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내염의 한방 치료에 대한 문헌 고찰

        임유라,정호준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23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36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atments of Stomatitis in Korean medicine. Methods : We reviewed domestic journals through databases on RISS, KISS, OASIS, KISTI to search case reports and follow-up studies about ‘Stomatitis’ and ‘口瘡’ using the terms with ‘Korean medicine’ or ‘Korean medicine treatment’. Also, we used CNKI to f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s) from Chinese journals by using the term ‘口腔炎’. Results : A total of 16 articles were searched. Those of 7 are case report, 2 are follow-up study, 7 are RCTs. The way to treat stomatitis were through using herb medicine,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herbal acupuncture, external preparation, indirect moxibustion and so on. All papers reported that after Korean medicine treatment, symptoms of stomatitis are relieved.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se journals, Korean medicine is helpful to treat Stomatitis. In the future, more clinical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Korean medicine to treat stomatitis.

      • ‘제3의 장소’로서 문화예술공간의 생활예술 매개 기능 : 프랑스 폐산업시설 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임유라,이종오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예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폐산업시설 재생에 주목하여 문화예술공간이 가지는 ‘제3의 장소’로서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프랑스 파리 ‘상카트르’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개인적, 도시적 차원의 문화역량을 높이는 공간의 특성에 관해 고찰해 보는 것이다. 폐산업시설 재생 공간은 그 자체로 예술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영감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민을 대상으로 생활예술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적합하다. 또한 장르를 한정 짓지 않고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즉, 이러한 특징을 지닌 폐산업시설 재생공간은 생활예술을 통해 재생된 공간은 레이 올덴버그(Ray Oldenburg)가 제시한 ‘제3의 장소’의 특성들을 가질 수 있기에, 지역민들의 개인적 차원과 도시의 사회적 차원에서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폐산업시설 활용 문화예술공간인 ‘상카트르’ 사례를 통해 ‘제3의 장소’로서 기능하고 있는 문화예술공간의 기능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Spatial Analysis of PM10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임유라,배현주,임윤희,유승도,김근배,조용성 환경독성보건학회 2014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29 No.-

        Objectives Numerous studies have revealed the adverse health effects of acute andchronic exposure to particulate matter less than 10 μm in aerodynamic diameter (PM10).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M10 concentrationsand cardiovascular mortality and to investigate the spatial correlation betweenPM10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using spatial scan statistic (SaTScan) and a regressionmodel. Methods From 2008 to 2010,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M10 in the Seoul metropolitanarea was examined via kriging. In addition, a group of cardiovascular mortality caseswas analyzed using SaTScan-based cluster exploration.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GWR)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M10 concentrations andcardiovascular mortality. Results An examination of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cardiovascular mortality washigher in provincial districts (gu) belonging to Incheon and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dothan in other regions. In a comparison of PM10 concentrations and mortality cluster(MC) regions, all those belonging to MC 1 and MC 2 were found to belong to particulatematter (PM) 1 and PM 2 with high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In addition, the GWRshowed that PM10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to cardiovascular mortality. Conclusion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air pollution and health impact, spatialanalyses can be utilized based on kriging, cluster exploration, and GWR for a more systematicand quantitative analysis. It has been proven that cardiovascular mortality isspatially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f PM10.

      • 문화민주주의적 관점에서의 문화예술공간 조성에 관한 연구 : 프랑스 폐산업시설 재생 사례 ‘상카트르’를 중심으로

        임유라,이종오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 문화정책 기조의 흐름을 살펴보고 그 중 ‘문화민주주의’적 관점에서 문화예술공간 조성과 운영에 관하여 고찰해 보는 것이다. 프랑스는 국가 주도 문화정책 분야의 선도적 역할을 하는 국가로, 이는 크게 ‘문화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적 관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한편 문화예술공간 조성은 크게 물리적 공간 조성까지의 과정과 그 후 운영에 관한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문화민주주의’적 관점에 기반한 문화예술공간의 특징을 살펴본 후 공간의 조성 및 운영에 관하여 프랑스 파리 ‘상카트르’의 사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비화재보 시나리오 기반 일산화탄소 센서 감지 실효성 분석

        임유리(You Ri Lim),신영민(Young Min Shin),김봉준(Bong Jun Kim),김황진(Hwang Jin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연기감지기는 열감지기보다 상대적으로 조기에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감지 특성상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 이외에도 생활 먼지, 수증기, 조리 시 발생하는 연기에도 반응하고 특히 습도가 높은 장마철이나 건축물 내⋅외부 결로가 발생하는 겨울철에도 많이 발생하는 등 환경적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로 인한 비화재보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공동주택, 숙박시설, 의료시설 등의 거실에 연기감지기를 필수로 설치(’15.5.)하도록 화재안전기준이 강화되면서 공동주택에서 가장 많은 비화재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빈번한 오인출동은 소방력의 손실로 이어지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해외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UL 268(Smoke Detectors for Fire Alarm Systems, 7th Edition)에서는 연기감지기 형식승인 기준을 강화하여 화재연기와 조리 시 발생하는 연기를 구분하는 시험 기준을 도입(’20.05)하여 시행 중이고 NFPA 72(National Fire Alarm and Signaling Code)에서는 화재 연기와 일상에서 발생하는 연기의 구분이 가능한 연기감지기 성능 기준을 도입하여 시행할 예정이다. 또한 여러 감지기 제조업체에서는 연기감지기의 비화재보 발생을 저감하기 위해 일산화탄소 센서 등 여러 교차 감지 센서를 도입하여 개발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 환경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비화재보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연기감지기와 일산화탄소 센서의 동작 특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주거 시설과 유사한 시험장을 구축하여 총 4개의 연기감지기와 일산화탄소 분석기를 천장에 부착하여 실험하였으며, 인덕션과 버너를 이용하여 국을 조리하는 상황, 프라이팬에 음식을 조리하는 상황, 전기주전자로 물을 끓여 수증기가 발생하는 상황 등 실제 비화재보가 발생하는 상황을 모사하여 연기감지기와 일산화탄소 농도 변화를 관측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조건에서 연기감지기는 동작하였으며, 버너를 활용한 두 가지 실험조건에서는 일산화탄소가 소량(4~20) ppm 검출되었다. 일산화탄소 센서의 비화재보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는 이미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제도적으로 감지 효과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다양한 화재 조건과 비화재 조건에서의 일산화탄소 감지 농도 데이터를 확보하고 실제 화재 조건에서 일산화탄소 농도가 어느 정도 발생할 때 명확하게 화재로 인식하여야 할지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아두이노를 활용한 스마트 식물 재배기 구현

        임유,임은별,김태우,Lim, Yu-Lee,Lim, Eun-Byeol,Kim, Tai-Woo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16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2 No.2

        요즘 많은 사람들이 건강한 식생활에 관심이 많다.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유기농 야채를 구입하거나 직접 기르기를 원한다. 하지만 신선한 채소를 직접 기르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직접 식물을 재배하는 스마트 식물재배기를 제안한다. 본 스마트 식물재배기는 사용자가 자세한 식물 생장 환경에 대해 알 필요가 없으며,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적의 환경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 식물재배기의 온라인 활동을 통하여 식물재배의 재미를 느낄 수 있으며, 건강한 식생활에 이바지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se days,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healthy eating. They want to buy organic fruits and organic vegetables for their wellbeing life or to grow the plants themselves. However, if you buy the organic fruits or vegetables carrying costs a lot of money, it would be difficult to bring the plants directl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mart Plant Growth Chamber to grow plants directly at home. Through proposed the Smart Plant Growth Chamber, users can grow the plants with minimum effort in optimized environment without need to know detailed information about to grow the plants. Also, users can feel fun of growing plants through online activities of the smart plant growth chamber, it is believed to contribute to a health eating.

      • KCI등재

        주기적 지정제도와 직권 지정제도가 회계 보수주의에 미치는 영향

        임유,김종일,염승훈 글로벌경영학회 202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20 No.6

        본 연구에서는 2020년도에 시행된 주기적 지정제도와 강화된 직권 지정제도가 회계 보수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新 외감법에 의해 신설된 주기적 지정제도와 기존 지정제도에 조항을 추가한 직권 지정제도는 회계감사 업무에서 감사인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회계감사 업무의 산출물인 감사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목표로 도입되었다. 선행연구에서는 지정제도가 보수주의에 미치는 영향이 분석되었던 바, 본 연구에서는 신설된 주기적 지정제도와 강화된 직권 지정제도가 회계 보수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주기적 지정제도는 회계 보수주의를 강화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권 지정제도는 두 종류의 회계 보수주의 분석모형에서 회계 보수주의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주기적 지정제도와 직권 지정제도가 보수주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은 주기적 지정제도와 직권 지정제도는 모두 감사인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새로이 도입된 제도이나 그 작동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주기적 지정제도는 6년 이상 자유수임으로 감사인을 선임한 회사가 2020년도 이후 3년간은 증권선물위원회에서 지정하는 감사인으로부터 지정 감사를 받는 제도이다. 그렇지만 직권 지정제도는 그동안 존속해 온 감사인 지정제도를 계승하고 기존 지정사유에 신규 지정 사유를 추가하여 증권선물위원회가 감사인을 지정해주는 제도로, 회계기준을 위반해 제재를 받았거나 관리종목 등 투자자 보호를 위해 더욱 공정한 감사가 필요한 기업에 적용된다. 그러므로, 이처럼 각각의 제도가 회계 보수주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연구결과를 통해서 각 제도의 특성을 반영한 제도의 활용 방법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 the effect of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and the direct designation system on accounting conservatism.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newly established by the New External Audit Act and the direct designation system with provisions added to the existing designation system were introduced with the goal of securing the independence of auditors in the auditing work and improving the audit quality, which is the output of the auditing work.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did not reinforce accounting conservatism, but the direct designation system was found to reinforce accounting conservatism. The reason that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and the direct designation system have different effects on conservatism is because their operation methods are different.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is a system in which a company that has appointed an auditor voluntarily for more than six years receives a designated audit by an auditor designated by the Securities and Futures Commission for three years after 2020. However, the direct designation system is a system in which the Securities and Futures Commission designates auditors by inheriting the existing auditor designation system and adding a new designation reason to the existing designation reasons.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the audit risk arising from the company's specific factor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uditor's conservat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