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동화 표상활동에 대한 지도방안 모색

        임영심 한국유아교육학회 1996 유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유아의 동화 표상활동에 대한 지도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표상활동을 증진시켜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요인은 연령, 이야기책의 특성, 동화 표상활동의 유형, 환경구성, 교사의 역할 등으로 분석되었다. 동화를 선정한 후 동화를 통한 표상활동을 실시하기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마다 이들의 요인을 강화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업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동화 표상활동 지도방안을 유치원현장에 적용시켜 본 다음 실제 수업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반응을 현상학적으로 조사하여 이 지도방안을 검증한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most effective ways for children to represent their understanding of fairy tales. I used the high-interest story back, 'Gloves', carried out literary representation activities with 30 kindergarten children,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This study finds that children can learn to represent their understanding of fairy tales in various ways such as movement, role play, art, story-retelling, and singing. This study also delineates effective methods for teaching representation activities.

      • KCI등재

        잘 짜여진 구조의 이야기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임영심 한국유아교육학회 1994 유아교육연구 Vol.14 No.2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well-structured story o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Thirty children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We told a well-structured story to one group and a poorly-structured story to another group, and we regarded the last group as a controlled group. The instruct strategies used i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directed listening, thinking activity and reflective discussion suggested by Morrow (1984).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 in literal(F=8.49 , p<.05)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F=5.61 , p<.05). The result shows that story comprehension improves when well-structured stories are continuously told to five-year-old children.

      • KCI등재후보
      • 유아를 위한 통합적 문학활동 교수모형의 효과 :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은상,임영심 안양대학교 人文科學硏究所 1995 人文科學硏究 Vol.3 No.1

        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effect on the child's understanding of story structure during young children's integrated literature Activity. 48 young children were chosen and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a comparison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engaged in a integrated literature Activity interacted with their teacher rather freely. The teacher organized the environment and encouraged metacommunication between children by allowing spontanous dramatic play. The comparision group children also participated in a integrated literature Activity but under the teacher's direction. They followed what thor teacher suggested doing after they listented to the story.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only heard the stories, which were the same as these of the comparision and the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12 weeks from June 16.1994 to Swmtember 2. The effects of the child-teacher interaction while children engaged in a integrated literature Activity were tested at the 4th,8th,and 12th week during the experiment. ANCOVA was employed for statistical treat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s ability to comprehend the story structure and their ability to infer was significantly improved.

      • KCI등재

        그림이야기책의 유우머에 대한 유아와 교사간 반응의 차이 -「고양순」「양초귀신」「수염할아버지」「손 큰할머니의 만두 만들기」-

        임영심 ( Young Sim L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그림이야기책의 유우머에 대한 유아와 교사간 반응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도구로는 우리나라 아동문학상을 수상한 유아용 그림이야기책 중에서 유우머가 풍부한 그림이야기책으로 평가되는(신혜선, 2002) 「고양순」 「양초귀신」 「수염할아버지」 「손 큰 할머니의 만두 만들기」의 4권을 선정하였으며, 30명의 유아와 30명의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그림이야기책의 유우머에 대한 유아와 교사 간 반응의 차이를 분석하고, 둘째, 유아와 교사가 모두 높게 반응하는 그림이야기책의 유우머 내용과 특성이 무엇인지 분석한다. 유아와 교사간의 반응의 차이가 나타난 장면을 분석한 결과, 유아들이 교사에 비해 의미 있게 민감한 반응을 나타낸 장면의 수가 교사의 경우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유아들이 반응한 유우머의 유형을 살펴보면 엉뚱함, 기대의 불일치, 리듬과 반복을 수반하는 과장, 재미있는 그림묘사, 고정관념의 탈피, 또는 창의적 변형, 재미있는 언어 등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소수의 장면에만 잘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내적 상상력을 필요로 하거나 이야기의 이면적 숨은 뜻을 이해할 때 발생되는 특성으로 나타났다. 이야기의 절정부분에 해당되는 장면에서는 유아와 교사는 모두 높은 반응을 보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umors of 4 picture story books, officially evaluated as having plenty humors, that 30 children had responded to. The conten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contents and elements of humors of the picture story books that the teachers and children has responded to, 2. The difference of responses to those humors between the teachers and children. After analyze the scenes with a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children, The quantity of scenes with a significant high response of the children is far more than that of the teachers. The type of humors that the children has responded to is proved to be extraordinaries, correspondence of expectation, exaggeration accompanied with a rhythm and repetition, interesting pictures, breaking from a fixed idea, creative transformation and interesting words and so on. The teachers responded to only few scenes, The characteristic of the scenes belong to a type of humors which requires inner imaginative power or understanding the hidden meanings behind the story. Both the teachers and children showed a high responses to the peak scenes of the story.

      • KCI등재
      • KCI등재

        그림이야기책의 유우머에 대한 유아의 반응

        임영심(Lim Youngsim),채미영(Chae Mi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유아가 반응하는 그림이야기책의 유우머 내용과 유우머의 요소가 무언지 분석함으로써 유우머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고자하는 현장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아동문학상을 수상한 유아용 그림이야기책 중에서 유우머가 풍부한 국내 그림이야기책으로 평가되는 4권을 도구로 선정하여 30명을 유아들을 대상으로 유우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들은 엉뚱함, 기대의 불일치, 리듬과 반복을 수반하는 과장, 재미있는 그림묘사, 고정관념의 탈피 또는 창의적 변형, 재미있는 언어의 요소가 내재해 있는 이야기 그림이나 내용에 대해 재미있는 반응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a suggestion to the teachers those are intending to utilize the humor educationally at the education spot, by analyzing both the contents and the nature of essential elements of humor included in picture story books on which the children are responding. To study this, Thirty children are organized as a subject, four kind of picture story books known as with plentiful humor scenes are selected as a tools for analyzing the contents and elements of humor responded. The story books selected are as follows: 「A story of Ko Yang-soon」(2001),「Making buns by grandma with big hands」(1998),「The candle ghosr」 (2000),「Bushy-bearded Grandpa」(2002). As a result, the children showed interesting responds on extroadinariness, rhythm. exaggeration, fantastic pictures, emergence from fixed ideas and creational changes, and other interesting words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교육적 이슈가 되는 그림이야기책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평가적 반응

        임영심(Lim Young sim),강은주(Kang Eun joo),김숙이(Kim sook y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 35명과 유치원 교사 17명을 대상으로 교육적으로 이슈가 되는 그림이야기 책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평가적 반응을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는 「검피아저씨의 뱃놀이」 「지각대장 존」 「괴물들이 사는 나라」 「깊은 밤 부엌에서」 「제랄다와 거인」 「세 강도」 등 6권의 그림이야기책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 유아와 교사가 그림이야기책의 동일한 본문이나 그림 장면에 대해 반응을 보이는 부분이 있는가 하면, 각각 다른 장면에 대하여 반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유아는 주로 자신의 욕구와 관련된 반응 유머나 재미와 관련되는 반용이 많았고 교사는 본문이나 그림의 교육적 가치 본문의 언어적 적절성어 관한 반응이 많았다. 그 외에도 유아들은 환상과 실제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하여 본문과 그림에 대해 의문을 갖는 경향성이 많았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analyze responsive types of 35 kindergarten children and 17 teachers by reading selected books with educational issues. As tools of study. six kind of picture books were selected which are 「Mr. Gumpy's Outing」, 「John Patrick Norman McHennessey: The Boy Who was Always Late」, 「Where the Wild Things are 」, 「In the Night Kitchen」, 「Zeralda's Ogre」, 「The Three Robber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designed for extracting estimable responses of them to the presented picture story books. In this research, it is discussed that how young children and teachers estimate the picture books for themselves and what differences are In estimable responses between two groups to the same and different scenes of these 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common parts of books where the children and teachers showed the evaluative response at the same time to the some(same?) text or pictures in the books. Most of them were the climax or final parts of each book. 2. The children and teachers showed the responses to the different scenes of each book. The children showed responses usually to the pictures sensitively, while the teachers to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text. 3. For the children there were lots of responses regarding their desires and wishes as well as their humors or interests. While for the teachers there were a lot of responses regarding the educational value of text or pictures or a linguistic pertinency of the text. 4. For the children there was tendency to have doubts about the text and pictures which they could not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a fantasy and a reality in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