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好’의 문법화 및 용법 간의 상관성 연구 - 조동사, 접속사, 관련부사 용법을 중심으로

        임소정 중국학연구회 2018 중국학연구 Vol.- No.85

        Modern Chinese ‘Hao’ is a commonly used vocabulary in various types of parts such as adjectives, degree adverbs, relative adverbs, and subordinates.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Hao’ in terms of grammaticalization and analyzes its correlation with other usages in order to clarify the origin of ‘Hao’. In additi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se is explained in light of the principle of grammaticalization which is a universal phenomenon.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when we look at the path of grammaticalization developed by ‘Hao’, ‘Hao’ was used as an idiom, a verb, and a predicate. In Six Dynasties, ‘好+V+O’ appeared in many forms, and the use of auxiliary verbs came into being. In the same way, there was a way to use conjunctive expressions that appeared during the Song Dynasty, and the relative adverb expressions appeared in the Ming Dynasty. Conjunctions and relative adverbs ‘Hao’ indicate such objective relations that the contents follows afterwards act as the purpose of the ones that precedes. Second, in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the use of auxiliary verbs, which is the immediate stage of the conjunction ‘Hao’, is a result of reanalysis of the fact that ‘Hao’ was used as a predicate in the subject-predicate constructions. The auxiliary verb ‘Hao’ came about as a restructuring in the same way as [X好]Y → X [好Y]. Third, ‘Hao’ auxiliary verbs, conjunctions, and relative adverbs are closely related to resultative complement usage. They are quite similar in terms of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eding and the following. All the result states of the predecessor continue to influence and work until the next action occurs. 현대중국어 ‘好’는 형용사, 정도부사, 관련부사, 조동사 등 다양한 품사 유형으로 사용되는 상용 어휘로서 여러 가지 용법을 지니고 있다. 이 논문은 그 가운데 동사 앞에 사용되는 ‘好’의 조동사, 접속사, 관련부사 용법의 유래를 규명하기 위하여 문법화 관점에서 ‘好’가 발전해온 과정을 고찰하고 또 다른 용법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好’가 발전해온 문법화 경로를 살펴보면, 한대 이전에 ‘好’는 형용사로서 주로 관형어, 빈어, 술어로 사용되었다. 육조시기에 ‘好+V+O’ 형식이 소수 발견되기 시작하였고, 당대에는 ‘好+V+O’ 형식이 다수 사용되었다. 또한 당대에는 ‘O+好+V’ 구조가 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조동사 용법이 생겨나게 되었다. 당말과 송대에 이르러 복문에 출현하는 접속사 용법이 생겼으며, 명대에 가서는 ‘好’가 후속절 중간에 출현하는 관련부사 용법이 탄생한다. 접속사, 관련부사 ‘好’는 후행절의 내용이 선행절 내용의 목적이 되는 그런 목적 관계를 나타내게 된다. 둘째, 문법화 과정 속에서 접속사 ‘好’의 직전 단계인 조동사 용법은 ‘好’가 주술구에서 술어로 사용되던 것이 재분석되면서 생겨난 용법이다. ‘好+V’ 형식 앞에 주어가 출현하여 ‘好’와 함께 주술구조를 이루면 ‘재분석’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조동사 ‘好’는 [X好술어]Y → X[好조동사Y]와 같은 방식으로 재구조화되면서 생겨났다. 셋째, ‘好’의 조동사, 접속사, 관련부사 용법은 ‘好’의 보어 용법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이들은 선행절과 후행절이 맺고 있는 논리적 관계에 있어서 상당히 유사하다. 모두 선행절의 결과상태가 후속동작이 발생할 때까지 지속되어 영향을 미치고 유리하게 작용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수술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과 소진의 관계에서 간호조직문화의 조절효과

        임소정,신수진 한국성인간호학회 2022 성인간호학회지 Vol.3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improving working environments for operating room nurses as well as the quality of surgical nursing.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95 operating room nurses with at least three months of work experience in general and tertiary hospitals in S and G province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21 to November 2021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nts’ burnout were verbal violence (β=.23, p=.007), the self-perceived health status “not healthy” (β=.21, p=.009), and job satisfaction: “dissatisfied” (β=.34, p<.001) and “moderate” (β=.44, p<.001). Work-oriente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β=.26, p=.007)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erbal violence and burnout.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verbal violence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affected their burnout, and work-oriente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cted as a moderating variable. Therefore, a hospital’s organizational efforts to reduce verbal violence in the operating room and develop a well-balance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must be aimed at lowering nurse burnout.

      • KCI등재

        중국어 한정 성분의 화용적 속성

        임소정,이슬기 중국어문논역학회 2024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4

        일부 학자들은 중국어에 ‘한정사’가 분명히 존재한다고 믿는다. 본고는 이른바 ‘한정사’의 공기 현상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통사적 해석의 어려움을 논하고, 나아가 두 가지 뚜렷한 경향을 주목할 만하다고 지적하였다. 첫째, 인칭대명사는 언제나 다른 한정 성분 앞에 위치한다. 둘째, 인칭대명사는 항상 어떤 화용적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발견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일관된 해석을 도출할 수 있다. 인칭대명사는 화자의 ‘감정이입’ 방향을 나타낸다. 즉, 화자는 인칭대명사가 지시하는 사람이 말하거나 인식하는 입장에 대해 자신의 감정을 이입한다. 또한, 인칭대명사 뒤의 지시 성분과 비한정 성분의 주요 기능도 종종 주관적 의미를 반영한다. 본고의 결론은 중국어에 한정사와 유사한 문법 성분이 존재하는데 이는 종종 화용적 목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From the four types of co-occurrence patterns of so-called determiners in Chinese a couple of tendencies can be observed. 1) A person pronoun always precedes other determiners in an NP; 2) A person pronoun usually has some pragmatic interpretation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nature of the person pronoun determiner in Chinese NPs is to express “sympathy”. In using it the speaker identifies his own stand or viewpoint with the person denoted by the pronoun in the utterance. Moreover demonstrative sand indefinite nouns following the person pronouns are used to express subjectivity. This indicates that “determiners” in Chinese are more pragmatic than syntactic in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