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위프로빗모형을 이용한 전북지역 초.중.고교 학생들의 학교급식에 대한 만족도 분석

        임성수,양재성,Lim, Sung-Soo,Yang, Jae-Seong 한국유기농업학회 2013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1 No.4

        This study analys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program. To obtain the data, 5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Jeonbuk area were chosen for survey. A ordered probit model analysis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key explanatory variable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abou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Also, a ordered probit model is used to calculate marginal effects of several key variables. The study finds that key factors that affect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are rural area schools, elementary school's students, and education for school meals or food nutrition.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in urban and rural school's studen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lso,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abou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o do this, importance of school meals is to build up the safe agricultural supply system. For safe agricultural supply system, local agricultural products provided in school meals should be supplied based on GAP, HACCP certificated companies such as US FTS(Farm to School) program.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농업노동 재해위험에 대한 특성 분석

        임성수(Sung Soo Lim),양재성(Jae Seong Yang) 한국농촌사회학회 2012 農村社會 Vol.22 No.1

        근로자의 재해위험에 대한 사회보장제도로 산업재해보험이 존재하지만, 농업인은 근로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적용 받지 못해 노동재해 발생 시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더욱이 산재보험에 가입된 농업인의 재해율이 일반근로자보다 두 배 이상 높다는 통계가 확인되고 있으나, 실제 농업인의 경우 산재보험에 가입되지 못한 농업자영자와 가족종사자의 비중이 절대적이며 이들에 대해 공표된 재해실태 통계자료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업과 비농업 간의 노동재해 위험에 대한 인식도를 살펴보기 위해 가족종사자가 포함된 자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조사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농업자영자와 가족종사자가 비농업 부문 가족단위 자영자보다 노동재해위험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으며, 농업 내에서는 학력 및 경력이 낮을수록 재해위험에 대한 인식도가 높게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화 비율이 높고 상대적으로 학력이 낮은 농업인들이 인지하는 노동재해위험도가 높다는 점과 더불어 경력이 적은 신규영농인력의 농업부문 유입에서도 취약한 사회안전망으로 인한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의식을 시사한다. 따라서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농업노동에서 신규영농인력 유입 촉진을 위한 산업화 추진 정책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농업노동재해에 대한 사전예방책과 사회보장대책을 도입 · 확대하여 농업인에게 근로의욕을 고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At the moment that researching the accident rate in agriculture workplaces subscribing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and restructuring labor forces due to aging laborers in agriculture are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agribusiness, this study seeks to find the solutions by investigating the satisfaction of self-employed farmers with family workers and recogn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agricultural and all industry sector. It shows that farming workplaces are higher in terms of accident rate than other ones and working environment in agriculture businessmen is more dangerous than that in other industries. In addition, social safety net such as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is needed as the higher accident rate the smaller size is. Securing social safety net in agricultural sector is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recruit of laborers and agriculture development.

      • KCI등재

        산재근로자 직업복귀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 -요양종결 후 장해판정자를 중심으로-

        양재성 ( Jae Seong Yang ),오순복 ( Soon Bok Oh ),임성수 ( Sung Soo Lim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2 사회보장연구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 2011년 상반기 신규 산재장해인 취업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산재장해인의 요양종결 후 직업복귀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직업복귀의 형태는 원직복귀, 재취업, 자영업으로 구분되며 분석결과를 통하여 직업복귀율 제고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경제활동 가능 연령인 15세에서 60세까지로 한정하였다. 분석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그리고 요양기간이 길수록 원직복귀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복귀에 대한 지역별 차이에 있어서는 부산, 경인지역 관내에서 원직복귀 확률이 높았던 반면, 광주와 대전지역 관내에서는 자영업에 종사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사례관리대상자의 경우 원직복귀보다는 자영업이나 재취업 형태에 복귀 확률이 높게 제시되었다. 외국인 근로자의 경우 점포지원 등의 제도적 한계로 인하여 자영업으로 복귀할 확률은 낮았으며, 원직복귀보다는 재취업 경향이 뚜렷하였다. 따라서 산재장해인 직업복귀율 제고를 위해서는 재해발생 시점부터 사례관리서비스(내일찾기서비스) 제공으로 원직복귀와 자영업 및 재취업 가능자를 분류하여 집중치료제 등을 통한 요양관리, 의료기관과 연계한 개인별 맞춤형 직업복귀 계획수립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또한 연령대별, 지역별, 장해정도, 사례관리대상자별 차등적 정책 접근으로 획일적 재활정책에서 벗어나 산재근로자의 사회복귀 및 직업복귀 촉진을 위한 방향 설정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of return-to-work types & regional charactertics using survey data of new occupationally disabled workers in the first half of 2011. The return-to-work type is are three types, ``job retention``, ``re-employment``, ``Self-employ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target differential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to serve information for setting the policy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The empirical results shows that younger age, shorter treatment duration is quite practicable return to work and foreign is quite practicable reemployment. Case management for participants were presented rather higher the probability of self-employed or re-employment than job retention. We also find that job retention is higher In Busan, Incheon area than in Seoul area. The other hand, Self-employed is higher in Gwangju, Daejeon area. Therefore return to work of occupationally disabled workers policy is required to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regional, age, case management.

      • KCI등재

        복수 개의 광파장에 대한 상대적 흡광 특성을 이용한 글루코스 농도 측정

        김기도,손근식,임성수,이상신,Kim, Ki-Do,Son, Geun-Sik,Lim, Seong-Soo,Lee, Sang-Shin 한국광학회 2008 한국광학회지 Vol.19 No.6

        본 논문에서는 복수 개의 측정 광파장 대역에서의 글루코스 수용액의 상대적인 흡광 특성을 이용한 글루코스 농도 예측 방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각 측정 파장에서의 상대적인 흡광도는 기준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기준하여 얻어진다. 선정된 기준 파장(1310 nm)과 네 개의 측정 파장(1064, 1550, 1685, 1798 nm) 대역에서는 글루코스에 대한 흡광도가 서로 반대의 부호를 갖도록 하였으며, 이 특성은 측정 정확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최종적인 글루코스 수용액의 예측 농도는 각 측정 파장에서 얻어진 예측 값의 평균으로 결정된다. 5 mm의 광경로와 $0{\sim}1000mg/dL$ 농도 범위에서 실제로 측정된 글루코스의 흡광도를 살펴보면, 기준 파장 1310 nm에서는 $-1.42{\times}10^{-6}\;AU$/(mg/dL), 측정 파장 1685 nm에서는 $+8.12{\times}10^{-6}\;AU$/(mg/dL)로 최대였다. 그리고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글루코스 용액의 농도를 예측할 경우 얻어진 표준예측오차(SEP: standard error of prediction)는 ${\sim}28\;mg/dL$였다. 또한, 온도와 지방층이 글루코스 농도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26{\sim}40^{\circ}C$ 온도 범위에서 측정된 흡수량 변화율은 기준 파장 1310 nm에서 $-9.1{\times}10^{-5}\;AU/^{\circ}C$였고, 측정 파장 1550 nm에서 $-2.08{\times}10^{-2}\;AU/^{\circ}C$였다. 그리고 글루코스 수용액에 존재하는 지방층 두께에 따른 흡수량 변화율은 1685 nm 파장 대역에서 +1.093 AU/mm로 측정되었다. A scheme for predicting the concentration of a glucose solution based on its relative optical absorbance at multiple probe wavelengths was proposed and verified. The relative absorbance at each of the probe wavelength was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absorbance at a reference wavelength. The single reference wavelength (1310 nm) and a group of four different probe wavelengths (1064, 1550, 1685, 1798 nm) were selected to exhibit the glucose absorbance with opposite signs, thereby enhancing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The final glucose concentration was estimated by taking the average of the predicted values provided by the four probe wavelengths. The absorbance of the glucose solution for the path length of 5 mm was $-1.42{\times}10^{-6}\;AU$/(mg/dL) at the reference wavelength of 1310 nm and peaked at $+8.12{\times}10^{-6}\;AU$/(mg/dL) at 1685 nm. The concentration of the glucose solution was decently predicted by means of the proposed scheme with the standard error of prediction of ${\sim}28\;mg/dL$.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the ambient temperature and the fat thickness upon the prediction of the glucose concentration was examined. The absorption change with the temperature was $-9.1{\times}10^{-5}\;AU/^{\circ}C$ in the temperature range of $26{\sim}40^{\circ}C$ at the reference wavelength, and $-2.08{\times}10^{-2}\;AU/^{\circ}C$ at 1550 nm. And the absorption change with respect to the fat thickness was +1.093 AU/mm at the probe wavelength of 1685 nm.

      • KCI등재

        출퇴근재해제도의 도입 시나리오에 관한 연구 - 재정부담 설정을 중심으로 -

        양재성 ( Jae Seong Yang ),오순복 ( Soon Bok Oh ),임성수 ( Sung Soo Lim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4 社會 保障 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근로자의 출퇴근재해 도입 시 재정부담 주체 및 요율 설정 방안을 모색하고, 예상되는 요율 수준을 계측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재정부담 주체 및 요율설정방안은 이론적 배경 및 해외 주요국가 사례를 분석의 틀로 구성하였으며 요율수준은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제시하였다. 첫째, 출퇴근재해가 산재보험제도에 포함되거나 유사 제도로 도입될 경우, 업무의 연속성 관점에서 재정부담은 사업주가 될 가능성이 높다. 다 만, 출퇴근 범위는 사업주 지배관리 영역이 아니라는 점에서 재해에 대한 법률적 책임은 업무재해와 차별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별도의 제도로 도입될 경우에는 사업 주, 근로자, 정부 등 사회구성원의 분담 방안 검토가 가능하다. 둘째, 보험료율은 업무재 해 급여총액에 포함하여 사업종류별로 설정하되 개별요율에는 포함하지 않는 독일방식과 별도의 재해부담률을 구성 요소로 설정하여 추가하는 프랑스, 일본 방식의 도입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2013년 예상 소요비용을 중심으로 산재보험료율 산정방법에 따라 부담률을 산정한 결과, 출퇴근재해 도입 시 근로자 보수총액의 0.2~0.24% 수준의 요율이 추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만, 제도설계 및 구상권 행사 비중에 따라 변화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find the methods of setting financial burden and premium rates by anticipating the level of premium rate, resulting from introducing commuting accident compensation. The methods of financial burden and premium rate are analyzed, based on several foreign cases, and the level of premium rate is measured by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es. First, if commuting accident is included in the current WCI or is introduced as similar system, all financial burden is attributed to businessmen, considering the present system. However, the legal responsibility is different from the occupation disaster, since commuting is not under the area of employers` management. Besides, if commuting accident compensation is introduced as a separate system, the method of distributing burden among businessmen, labors, the government, etc can be considered. Second, the study suggests the two methods to set the premium rate. One is set with business type as in Germany by adding commuting accident benefits to work-related ones but not including them in the individual premium rate of a workplace. The other is used in France, Japan, and is that the commuting accident benefits are separated with work-related ones but are added to the workplace`s premium rate. Third, by calculating the premium rate based on the expected expenses in 2013, the commuting accident can increase 2~2.5‰ of the premuim rate on average. But this estimation can be changed by the system designing and the extent of exercising the right to indemnity.

      • KCI등재

        오지체험활동 잠재방문객의 방문동기 유형별 인식 분석

        김범수(Kim, Bum-Soo),임성수(Lim, Sung-Soo),이성철(Lee, Seong-Cheol) 한국산림휴양학회 2017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국내 오지체험마을 잠재방문객의 방문동기가 실제 방문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잠재방문객인 도시민을 대상으로 방문동기를 문화학습체험, 새로운 경험에 대한 기대, 비일상적 체험, 자아실현형의 4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방문동기 유형별로 체험장소, 체험형태, 체험숙박, 동반자와 같은 방문의사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문동기에 따른 오지체험장소의 선호유형 결과, 산지인 산과 숲에 대한 선호가 바다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방문동기에 따른 오지체험행태의 선호유형 분석에서는 스포츠 및 동적 행태의 체험보다는 오지문화체험과 같은 정신적가치를 추구하는 정적 체험의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동기에 따른 오지체험 숙박형태는 전반적으로 문화적 체험을 위한 숙박형태로 전통가옥의 선호를 제외하곤 전체 방문동기에서 캠핑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방문동기에 대한 오지체험 참가그룹 즉 동반자와 관련된 분석 결과, 혼자서 방문하는 경우는 문화적 체험과 자아실현 및 비일상적 체험 등의 다양한 동기유형과 관련성이 높았으며, 다른 그룹의 참가 형태는 무차별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potential visitors to the backcountry experience villages in Korea and analyzed the impact of their motivation of visit to actual wills to visit. To this end, the motivation elements of visit were identified from the city dwellers, the potential visitors to backcountry experience villages and the impact of their motivation of visit on actual wills to visit including place and type of experience, accommodation for experience, and preferred companions. The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below.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 the motivation elements of potential visitors to visit backcountry experience villages, 4 kinds of motivation elements were identified; ‘cultural learning experience’, ‘expectation on new experience’, ‘unusual experience’ and ‘self-realiz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n the preferred places for backcountry experience depending on the motivation of visit, the mountain area was the most preferred place for backcountry experience. The preference on mountains(highlands) and forest was relatively high. The analysis on the preferred backcountry experience types depending on the motivation of visit pointed out that the static experience type pursuing psychological value including backcountry culture experience was preferred more than sports or dynamic experience type. For the preferred accommodation type for backcountry experience depending on the motivation of visit, the preference on camping was relatively higher in general in all kinds of motivation of visit except the preference of traditional houses as the accommodation for cultural experience. In the analysis on the preferred group to participate for backcountry experience depending on the motivation of visit, individual visit was highly correlated to a variety of motivation types including cultural experience, self-realization and unusual experience and other types of group participation showed different types of preference.

      • KCI등재

        비자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뇌신경세포 보호효과 연구

        이숭인,최찬헌,김정상,임성수,정현우,Lee, Soong-In,Choi, Chan-Hun,Kim, Jeong-Sang,Lim, Seong-Soo,Jung, Hyun-Woo 대한본초학회 2017 大韓本草學會誌 Vol.32 No.6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imate the anti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Torreyae Semen hot water extracts (TS). Methods : Torreyae Semen was extracted by hot water for 2 hours with a temperature of 105 degrees. Polyphenols and total flavonoid were measured and LC-MS/MS was used to certificate anticipated antioxidative compound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S were measured as scavenging effect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Nitrite Oxides (NO). Cell viability and proliferation rate was measured MTT assay. The toxicities to thymocytes and splenocytes were evaluated by the proliferation rate of primary cultured cells of 7 weeks, male Balb/c mic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S on C6 mouse glioma cells were measured by the analysis of total glutathione contents variation. The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es were measured by MTT assay. Results : Polyphenols of TS was $92.00{\pm}1.24{\mu}g/mg$, and total flavonoids was $0.36{\pm}0.14{\mu}g/mg$. TS includes gallo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ocatechin gallate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TS included gallo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ocatechin gallate, epigallocatechin gallate. TS showed DPPH and NO scavenging effects as dose-dependent manner at the concentrations of $0-10mg/m{\ell}$. In MTT assay, TS shows no significant toxicity to C6 cells, primary cultured thymocytes and splenocytes of Balb/c mice. TS increased the level of total glutathiones. TS increased cell viabilities of C6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es such as $H_2O_2$, sodium nitroprusside (SNP), Rotenone at the concentrations of $0-0.063mg/m{\ell}$. Conclusions : TS shows the antioxidant and neuroprotecitive effects in these experi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