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적성에 맞는 진로선택과 부모의 진로선택 지지, 진로선택 역경극복 의지가 학업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임선아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2 미래청소년학회지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which drives powers and directions toward careers via making a career choice based on the knowledge of self-aptitude, having a support from his/her parents about the career choice, and having a will to overcome the career barriers against his/her parents. Data for this study were 286 high school students and Hotelling's T2 was used to test for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from the Hotelling's T2 indica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students making versus students no making career choices based on the knowledge of self-aptitude) for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flow. Similar pattern was also seen in students who have the support from their parents about the career choices. In addition, students who have the will to overcome the career barriers against their parents tend to have a higher mastery-approach goal and learning flow compared to students who have not. 본 연구는 청소년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를 선택하는지, 부모님이 자녀의 진로선택을 지지하는지, 부모님이 진로선택을 반대하는 갈등상황에서 청소년이 갈등위기를 극복하려는 의지가 있는지에 따라 진로를 향해 나아가는 데 방향과 힘을 제공하는 중요한 심리적 학업성취 동기요인들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적성과 진로선택이 일치하는 청소년은 숙달접근목표지향성이 높게 나타났고 학습몰입 정도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님이 자녀의 진로선택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숙달접근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이 높게 나타났고 학습몰입도 높게 나타났다. 부모님과 진로선택이 불일치하더라도 자신의 진로선택을 유지 및 도전하고자 하는 청소년들도 숙달접근목표지향성과 학습몰입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진로선택 교육 및 상담 시 청소년의 적성에 기초한 진로선택 뿐만 아니라, 부모가 자녀의 적성을 이해하고 적성에 기초한 진로선택을 하도록 지지해줄 수 있도록 부모의 참여와 교육이 병행된 진로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일부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의 구강건강신념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 요인

        임선아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beliefs of some high school third graders o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fter the oral health education on November 21, 2017, 160 students who explained and agreed on the study purpose and method were final analyzed. Oral health belief and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with t-test, one-way ANOVA, and the correlation with Pearson's correlation test. The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promotion were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promotion were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ral health belief was the highest with 3.61 points, with 4.06 points of benefit, while oral health promotion with 3.25 points.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improvement were shown as susceptibility(β=-0.210), salienece(β=0.396), seriousness(β=0.306), and barrier(β=-0.170). To explore ways to change the oral health belief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chool district health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nd various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to promote oral health promotion should be developed. 일부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의 구강건강신념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요인 연구로서 2017년 11월 21일 구강보건교육 후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동의한 학생 160명을 최종분석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증진행위는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test로 분석하였으며,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강건강신념은 3.61점으로 유익성 4.0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강건강증진행위는 3.25점이었다.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요인은 중요성(β=0.396), 심각성(β=0.306), 장애성(β=-0.170), 감수성(β=-0.210)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의 구강건강신념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학교구강보건교육이 매우 중요하며,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위한 다양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 알코올의존이 우울을 매개하여 자살생각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검증

        임선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1 No.-

        본 연구는 알코올의존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KOWEPS)의 2014년부터 2017년의 4차년 차수에 모두 응답한 6,056명의 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RCL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이전 시점의 알코올의존, 우울, 자살생각은 이후 시점의 알코올의존, 우울, 자살생각 각각에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전 시점의 알코올의존은 이후 시점인 우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전 시점의 우울은 이후 시점의 자살생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전 시점의 알코올의존과 이후 시점의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우울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전 시점에서 알코올의존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아지고, 이전 시점에서 우울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에서 자살생각을 생각한 적이 많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종단데이타를 사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알코올의존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알코올의존-우울-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일부 대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임선아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S대학교 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10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조사하여 최종 29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구강건강지식은 11.46점, 5점 척도인 구강건강 중요성은 1.71점, 구강건강 상태 2.78점, 구강건강 관심 2.52점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경험유무에서 구강건강지식과 구강건강중요성, 구강건강 관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S대학 학생들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 요인은 구강 건강상태(β=-0.188), 구강건강관심(β=-0.265)이었다.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심이 높을수록 결국 구강건강증진 행위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건강지식을 높이고 구강건강에 관심을 갖게 하여 행동과 태도의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behavior of oral health improvement perceived by the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perception factors in some college student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April 10, 2017 to April 30, 2013 for 300 students at S university and the and the 290 final data were used.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importance measured by 5-point,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interest are 11.46, 1.71, 2.78, 2.52 respective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importance, oral health interest have been observed. The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acts of oral health promotion were oral health status(β=-0.188) and oral health interest(β=-0.265) the higer th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interest, the better acts of oral health promotion. Therefore, effectiv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oral health knowledge and interest in oral health and to change behavior and attitude.

      • KCI등재

        청소년의 구강건강요인과 식습관 교육 경험과의 관련성

        임선아,Lim, Sun-A 한국치위생학회 2022 한국치위생학회지 Vol.22 No.5

        Objectives: In this study 54,848 peopl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factors and eating habits education experiences of adolescents using raw data from the 17th (2021) online survey on adolescent health behavio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1.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A multi-sample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on the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factors affecting the eating habits education experience. Results: Eating breakfast and consuming fruits was more frequent among eating habits (p<0.001). Regarding factors influencing dietary habits education, in the case of eating habits education experience, sealant was 1.23 times higher (p<0.001), and tingling & throbbing were 0.93 times lower (p<0.01). Conclusions: Educating adolescents on correct eating habits is related to oral health, hence a school base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eating habits is necessary for adolescents.

      • KCI등재

        한국 노인의 미충족 치과의료 관련 요인

        임선아 한국치위생학회 2023 한국치위생학회지 Vol.23 No.3

        Objectives: To analyz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dental care needs among the older adults in Korea, raw data from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used, with a total of 2,494 participants. Methods: Using IBM SPSS Statistics 21.0, a cross-analysis was conducted for general and oral health characteristics, and complex sampl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factors related to unmet dental care needs. Results: Regarding factors related to unmet dental care needs, oral health was bad at 1.905 and usually 1.280 times. Unmet dental care needs were high, with an experience of toothache of 1.311 times and chewing difficulty of 2.693 times. Unmet dental care needs were low in dental clinics (0.156) and implants (0.726). Conclusion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establish plans and goals to improve the unmet dental care needs of the older adults and developing and utilizing a customized oral health management program for the older adults are necessary.

      • KCI등재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또래상호작용의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임선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peer play interac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usage of smart-media and early behavioral problems.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hether the usage of smart-media would influence the children’s early behavioral problems, through mediation of peer play interactions longitudinally. To test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438 children, gathered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2012-2014) by utiliz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CL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ior usage of smart-media, peer play interactions, and early behavioral problem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usage of smart-media, peer play interactions, and early behavioral problems in the following next year, stably and continuously. Second, the prior usage of smart-media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subsequent peer play interactions, which in turn contributed to posterior behavioral problems. 본 연구는 스마트미디어가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 필요함에 따라, 스마트미디어의 사용이 또래 아이들과 놀이를 통한 관계형성을 방해하고, 또래상호작용의 감소가 문제행동의 발생을 야기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데이타 5-7차년도 종단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전 시점의 유아의 스마트미디어의 사용, 또래놀이상호작용, 문제행동은 이후 시점의 스마트미디어의 사용, 또래놀이상호작용, 문제행동 각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전 시점에서 스마트미디어의 사용을 많이 하는 유아일수록 또래상호작용이 감소하고, 또래상호작용의 감소는 이후 시점의 문제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