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하악 제2대구치에서 치근의 이개도에 따른 치조골의 면적에 관한 연구

        임동진,임성빈,정진형,홍기석,Rim, Dong-Jin,Lim, Sung-Bin,Chung, Chin-Hyung,Hong, Ki-Seok 대한치주과학회 2004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lveolar bone surface following root separation angle in the mandibular second molars. The fifty mandibular second molars(which were extracted) were selected, and the alveolar bone surface following root separation angle of the selected teeth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root separation angle of fifty mandibular second mola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group(10-20^{\circ})$ was made up of ten teeth, the second $group(20-30^{\circ})$ was made up of fifteen teeth, and the third group(30-40$^{\circ}$) was made up of twenty-five teeth. 2. The mean root separation angle was $28.1^{\circ}$. The mean alveolar bone rate on the mesial surface of the mesial root was 44.27%, on the distal surface of the mesial root was 36.52%, on the mesial surface of the distal root was 33.45%, and on the distal surface of the distal root was 25.28%. 3. The mean alveolar bone rate on the distal surface of the mesial root, which composed the root separation area, was 32.95% in the first group, 36.06% in the second group, and 38.22% in the third group. The mean alveolar bone rate in the mesial surface of the distal root was 31.40% in the first group, 31.93% in the second group, and 35.18% in the third group. 4.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root separation angle and the alveolar bone rate in the root separation area.(P<0.05) Although the mandibular second molar is a very important tooth in the oral cavity, its treatment and diagnosis is very difficult due to the variation of its root form. When periodontal disease involves the mandibular second molar, the result of this study assists in its treatment and diagnosis.

      • KCI등재

        공공갈등관리제도의 운영평가 및 갈등해결 방안연구

        임동진 ( Dong Jin Lim ) 한국정책학회 2011 韓國政策學會報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무원과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들이 관리하고 있는 공공갈등의 발생수준, 공공갈등관리제도의 운영평가, 공공갈등해결의 영향요인 등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갈등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유형별 분석결과(5점 척도 기준) 입지갈등 4.01, 환경갈등, 이념갈등 각각 3.98, 교육갈등 3.93, 노사갈등 3.75, 계층갈등이 3.68의 순으로 심각하다고 인식하였다. 갈등성격별로는 이해갈등 3.98, 복합갈등 3.78, 가치갈등 3.58 순으로 나타났고, 현재보다 미래에는 갈등범위, 갈등강도, 갈등횟수 측면에서 확대, 강화,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둘째, 공공갈등의 예방과 해결을 위해 정부가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공갈등관리제도는 전반적으로 운영이 잘 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현 공공갈등관리제도는 갈등예방과 해결에 기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갈등관리 규정의 강제성이 없는 선언적 규정 21.4%, 실질적인 갈등예방과 해결에 대한 구체성 결여 20.7%, 갈등관리 중요성에 대한 인식부족 20.0%, 갈등관리 현실을 반영하지 못해서 17.9%, 부처에서 갈등업무를 부가적인 업무로 인식해서 11.7%,갈등규정 외에 개별법령에서 갈등관리 가능이 8.3%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른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갈등관리에 있어서 선택과 집중을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공갈등의 예방과 해결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셋째, 현재의 공공갈등관리제도 운영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현재의 공공갈등관리제도의 법 개정이나 제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공공갈등 해결을 위한 각종 인프라 및 여러 방안들을 장·단기로 구분하여 점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requency of the public conflicts which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is managing, to evaluate the conflict management system in government, to figure out the factors of conflict resolutions, and to suggest to effective conflict resolutions based upon civil servants and experts'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conflict type, public conflicts are seriously recognized by civil servants and conflict experts in the following order(Likert 5-point scales): locational conflict 4.01, environmental conflict 3.98, ideological conflict 3.98, educational conflict 3.93, labor-management conflict 3.75, social class conflict 3.68. In view of the character of conflict interest conflict 3.98, mixed conflict 3.78, value conflict 3.58 are listed in order. Both civil servants and experts expect that the scope, intensity, and frequency of conflict will be expanded, enlarged and increased in the future rather than the present.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play a positive role in conflict management in order to prevent and resolve public conflicts. Third, the conflict management system in government does not work well generally. Fourth, the contribution of the conflict management system is lower in terms of the prevention and resolution of conflict. The reasons of lower contribution of the system are as following: the symbolic code of the conflict law 21.4%, the lack of concreteness 20.7%, the lower recognition of conflict management 20.0%, the lower application of conflict resolution 17.9%, the unimportant recognition in the work of conflict management 11.7%, higher application of other laws rather than the conflict law 8.3%.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manage public conflicts choosingly and intensively. Second, the government has to involve in the prevention and resolution of conflicts pushfully. Third,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onflict management system. Fourth, the revision and enactment of the conflict law are needed. Finally, the government should gradually establish the infrastructures of conflict prevention and the resolutions based upon long-term and short-term targets.

      • 모바일 행위인지 센서로서 개발

        임동진(Lim DongJin),김형일(Kim HyungIl),안재윤(An JaeYoon),정찬민(Jung ChanMin),허태호(Heo TaeHo),이성호(Lee SungHo),한만형(Han ManHyung),구교호(Ku KyoHo),김우영(Kim WooYong),진현목(Jin HyunMok),임예준(Lim YeJoon),이승룡(Lee SungYong)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2B

        MEMS 및 대용량 저장 장치의 소형화 및 저가격 추세는 다양한 개인용 응용서비스 확산의 계기가 되었으면 이로 인하여 이동형 휴먼라이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이같은 서비스가 용이하게 제공 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일상 생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저장할 수 있는 센싱 기술이 필요하다. 기존의 관련된 기술의 대부분은 특정 센서를 사용자 신체의 여러 부위에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사용자의 정확한 행위 센싱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인체를 많이 구속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센서를 한 모듈로 통합하여 사용자의 신체구속을 적게 하면서도 일상 생활에서 행위 인지를 위한 센싱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는 멀티센서 기반 모바일 행위인지 센서로거(MASoL : Mobile Activity Sensor Logger) 개발에 관한 경험을 기술 한다.

      • KCI우수등재

        공공갈등관리의 실태 및 갈등해결 요인분석

        임동진 ( Dong Jin Lim ) 한국행정학회 2011 韓國行政學報 Vol.4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앙정부의 공공갈등 관리현황 및 갈등특성, 갈등의 원인 및 관리실태, 갈등관리 및 해결요인 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갈등관리 및 갈등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9년 9월 현재 공공갈등의 총수는 94개이고, 갈등해결률은 20.3%, 갈등지속률은 79.6%, 신규 갈등발생률은 12.7%로 나타났다. 갈등유형별로는 이익갈등 44.7%, 입지갈등 19.1%, 정책갈등 18.1%, 노사갈등 10.6%, 개발갈등 7.4%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공갈등의 원인으로는 경제적 이익관계 24.7%, 정부의 일방적인 공공정책 추진 16.5%, 정부불신 등 사회신뢰 부족 15.5%, 가치관·인식·이념의 차이 12.4% 순으로 나타났다. 공공갈등관리가 잘 되지 않은 이유로는 갈등이슈의 복잡화 30.8%, 갈등관리규정이 도움 안 됨 14.2%, 공무원들의 갈등관리 인식부족 14.2%, 이해당사자 간비협조적인 태도 12.5%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의 공공갈등 해결방식으로는 협상 36.6%, 조정 23.7%, 법원 판결 10.8%, 행정집행 10.3% 순으로 나타난 반면, 미래의 공공갈등 해결방식으로는 협상이 61.3%로 압도적으로 높고, 다음으로 조정 19.6%, 중재 9.8%, 주민투표 5.2% 순으로 나타났다. 공공갈등의 해결에 있어 가장 기여할 수 있는 주체로는 직접적 이해당사자가 50.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갈등조정위원회 18.6%,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10.8%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공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합리적인 보상체계 구축, 공청회 등 의사소통절차 강화, 공무원의 갈등교육 강화, 이해관계자의 적극 참여 유도, 자율적 사전협의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장기적으로는 상호신뢰 등 사회적 자본 축적, 소통문화 정착 유도, 다양한 가치를 인정하는 사회적 풍토조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effective methods of public conflict management and resolution by analyzing causes of public conflict, the status quo of conflict management, and factors influencing conflict management and resolution in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t the time of this study (September 2009), there were 94 kinds of conflict in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recorded conflicts, 20.3% were resolved and 79.6% continued. Interest-related-conflict (44.7%) is the most common type, and economic interests (24.7%) are the most common precipitator of conflict. The primary reason for the unsuccessful management of public conflict is revealed to be the complication of conflict issues (30.8%). Negotiation (36.6%) i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conflict resolution and is also the most popular (61.3%) upcoming method of conflict resolution. Direct stakeholders (50.0%) are the most influential contributors to the resolution of public conflict.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wo approaches to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resolution of public conflict in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short term, reinforcement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e.g., the establishment of a reasonable compensatory system and public hearings), intensification of conflict management education for public servants, inducement of active participation by stakeholders, and strengthening of preliminary and voluntary consultation are needed. In the long term,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e.g., mutual trust),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cative culture, and the cultivation of a social atmosphere that permits diverse values are needed.

      • KCI등재

        중앙행정기관 성과관리제도의 운영실태 및 만족요인 분석

        임동진(Dong-Jin Lim),윤수재(Su-Jae Yoon)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0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by analyzing the overall operation, problems, and satisfactory factors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257 public employees who were responsible for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each department in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n the overall operation of performance management shows that the connections between strategic and performance targets and between personal and organizational goals do work well, but that the acceptancy of the person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results and the utilization of performance information for priorities for organizational decision-making do not work so well. Second, as problems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system,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performance measurement including performance indicators, performance rewards and incentives,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 lack of personnel and organization, distrust, top managers' indifference, applicability and lack of autonomy. Third, as alternatives for improvement,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strengthening autonomy and responsibility in each department, emphasizing the policy performances rather than the process and rules, feedbacking evaluation results into policy, personnel, organization and finance, and enlarging the connection between performances and rewards. Finally,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s affect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the acceptance of performance result, target-setting for highest goal, specific action plan, and the reception of performance information of achieving organizational goal.

      • KCI우수등재

        DEA 를 통한 지방정부의 생산성 측정 - 인력 재정과 공공서비스 관계를 중심으로 -

        임동진(Dong Jin Lim),김상호(Sang Ho Kim) 한국행정학회 2000 韓國行政學報 Vol.34 No.4

        이 연구는 지방정부의 생산성은 분석한 것이다. 우리 나라 1998년 기준 71개 중소 도시정부를 대상으로 하여 3개의 투입변수 9개의 산출변수에 대해 자료포락분석법(Data Envelopment Analysis : DEA)을 시도하여 정부생산성을 분석하였다. 정부생산성 측정은 기술, 분배, 규모, 비용효율성의 4차원으로 구분하였으며, DEA모형 중 CRS, VRS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술, 비용, 규모 효율성이 높을 도시의 특성으로는 재정자립도가 높고 인구규모가 크고 1인당세출규모는 적고 공무원 1인당 인구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정부 생산성이 높은 도시로 분석되었다. 기술효율성 높은 도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규모가 50만 嶺도의 도시, 재정자립도가 90%이상의 도시, 1인당 세출액이 400∼600천원 수준인 도시, 공무원 1인당 인구가 300∼350명 수준의 도시로 분석되었다. 비효율성이 가장 높은 도시군으로는 인구 50만 정도의 도시, 재정자립도가 90%이상인 도시, 1인당 세출액이 800∼1000천원 수준인 도시, 공무원 1인당 인구수가 250∼300명 수준의 도시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정부 간 수자원관리 실태 및 효율적인 관리방안 연구: 수자원관리 담당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임동진 ( Dong Jin Lim ),안혁근 ( Hyug Keun Ahn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3 地方行政硏究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정부 간 수자원관리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자원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중앙부처, 광역지방자치단체, 기초지방자치단체 공무원 3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행정구역 단위의 수자원관리체계가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자원관리 단위를 행정구역에서 유역단위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역단위로 전환하면 수자원갈등이 상당부분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자원관리 법체계는 분산 관리되고 있어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수자원관리를 위해서는 가칭 ‘물관리기본법’ 제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자원관리 조직체계는 복잡하고 다원화되어 있고 체계적·종합적 관리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 간 수자원의 분산관리의 개선이 매우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간 수자원관리 협력을 위해서는 주체 간 원활한 협력활동, 주체 간 수자원관리 조직의 개선, 주체별 재정(예산)확보, 주체 간 신속한 명령체계 작동의 순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자원관리에 있어서 구성원의 참여가 미흡하고, 정부 간 지휘체계, 의사소통, 협력 정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수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조사는 수자원관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재의 기초조사의 수준이 낮고, 기초조사 관련 정보도 공유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부 간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물관리기본법 제정이 필요하고, 다음으로 수자원관리를 행정단위에서 유역단위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the intergovernmental relations(IGRs) and to suggest efficient methods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South Korea. In order to do this, this paper conducted a survey for 305 civil servants working for the central government,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unit of water resource management is based upon an administrative district, it is very inefficient.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unit of water resource management should be changed into watershed managemen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changing into watershed management may resolve many water resource conflicts. Second, the legal system of water resource management is dispersed and inefficient. In order to manage water resource efficiently, a new water fundamental law is required. Third, the organization system of water resource management is very complicated and dispersed. It makes difficult the systematic and general management. Therefore, the dispersed management system in the IGRs should be ameliorated. For the better collaboration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the IGRs, it is needed that collaboration activities in IGRs, amelioration of organization, securing public finance, and good command system. Fourth, stakeholder`s participation in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is inactive, the command system, communications and collaboration in the IGRs are much lower level. Fifth, the basic investigation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is very helpful to manag water resource. But the present basic investigation is very low level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sic investigation is not shared. Finally, in order to manage water resource efficiently in IGRs, a new water fundamental law is most needed, the next important thing is that administrative district as a unit of water resource management is changed into watershed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