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늦여름 서양종 꿀벌의 봉군 온도 조절에 관한 연구

        이훈복(Hoonbok Yi),정철의(Chuleui Jung) 한국양봉학회 2010 韓國養蜂學會誌 Vol.25 No.1

        Temperature regulation is an important trait of the honeybee for the expansion of its global distribution as well as for the local climate adaptati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neybee hive of italian Apis mellifera along with the ambient temperature were recorded for 20 days at 1 min interval during the late summer in Covallis, Oregon, Pacific North West of the United States. Brood temperatures were stable with average of 35.2±0.42 and 35.2±0.30℃ while the ambient temperatures were widely variable with average of 20.8±6.88 and 18.9±6.10℃. Inside the two story super hive, the temperature was higher in the brood area of the lower super (35.1℃) than in the honey storage area of the second story super (34.8℃).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soared over 38℃, the brood temperature increased to the maximum of 36.7, but not above 37℃. Mechanism and the benefit of the temperature regulation of honeybee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세종특별자치시 전역과 구도심 및 신도심에 따른 모기 밀도 비교 연구

        나수미,도지선,양영철,유성민,이훈복,Na, Sumi,Doh, Jiseon,Yang, Young Cheol,Ryu, Sungmin,Yi, Hoonbok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는 모기 매개체 감염병 예방을 위한 방역사업의 계획수립을 위하여 세종시의 모기 밀도 및 서식환경을 분석하여 방역 가이드라인 기초자료를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세종시 전반적인 모기분포 현황 조사를 위해 2019년 8월~10월까지 MOSHOLE과 유문등을 사용하여 일주일에 1회 1박2일 간의 모기 개체수를 조사하였으며, 구도심(조치원읍)과 신도심(보람동)의 밀도차 분석을 위해 2020년 4월~10월까지 DMS를 활용하여 매일의 모기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금남면에서 가장 많은 모기가 포집되었으며 서식하는 우점 모기 종은 큰검정들모기, 빨간집모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기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피복 유형은 산림지역과 초지지역으로 나타났다. 질병 매개 가능성이 있는 모기 종 분석 결과 연서면과 금남면에서 다수 발견되었으며, 흰줄숲모기, 얼룩날개모기류, 작은빨간집모기 순서로 확인되었다. 각각 CO<sub>2</sub>와 빛을 유인제로 사용하는 MOSHOLE과 유문등의 채집효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CO<sub>2</sub>의 유인률이 높아 모기 포집 효율성과 생태계 안정성 보존을 위해 CO<sub>2</sub>를 유인제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의 모기 개체수는 구도심이 신도심보다 약 2배 정도 개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는 구도심과 신도심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획일적인 방식으로는 눈에 띄는 방역 효과를 보기가 어려우며 효과적인 방역을 위해서는 방역의 차별성을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세종시의 통합적인 모기 방제 가이드라인의 기초작업으로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의 결과로 모기를 매개로 하는 질병 확산을 제어하고, 모기로부터의 피해를 줄이는 데 일조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mosquito distribution density and habitat in Sejong city for the prevention of mosquito-borne infectious diseases. The overall distribution of mosquitoes in the Sejong City was investigated, and the population density of mosquitoes in the old and new city was analyzed. Mosquito populations were determined using MOSHOLE and Blacklight traps once a week overnight. We also compared the mosquito population density of the old city and the new city, and the daily mosquito population was calculated using the data from the smart mosquito trap(DMS). Of all the study sites, Geumnam-myeon had the highest number of mosquitoes captur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Armigeres subalbatus and Culex pipienspallens. Mosquito species with the potential for transmitting diseases were mainly found in Yeonseo-myeon (106 individual), and Geumnam-myeon (101). Mosquito collection rates by MOSHOLE trap and Blacklight trap were 58.49% and 41.51%, respectively. We concluded that using CO<sub>2</sub> would be the most suitable approach for collecting mosquitoes. The mosquito population density in the old city (92.05±7.04) was approximately twice that of the new city(51.50±4.05). Since Sejong City is divided into old city and new city, it is difficult to spot remarkable effects in a standardized way. For effective quarantine, differentiation of quarantine must be established. This study results provide a basis for Sejong City's integrated mosquito control guidelines, and therefore effective control of which we believe will help control the spread of mosquito-borne diseases and reduce damage from mosquitoes.

      • KCI등재

        형광단백질 발현 유전자변형 누에(Bombyx mori )의 환경위해성 평가연구

        김현정,정철의,구태원,이훈복,Kim, Hyunjung,Jung, Chuleui,Goo, Taewon,Yi, Hoonbo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3

        곤충(초파리, 모기, 누에)은 해충방제, 유용물질생산, 의학연구 등을 위해 유전자변형 곤충으로 개발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유전자변형 곤충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가 등이 거의 실시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유전자변형 누에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3가지 항목(이동성, 생존능력, 산란 및 부화율)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기본 사육 절차에서의 탈출가능성(이동성), 둘째, 사육환경으로부터 탈출시 생존 가능성(8개의 극한 환경조건; 고온, 저온, 건조, 습함, 먹이의 유무), 셋째, 비유전자변형 누에♀ ${\times}$ 비유전자변형 누에♂, 비유전자변형 누에♀ ${\times}$ 유전자변형 누에♂, 유전자변형 누에♀ ${\times}$ 비유전자변형 누에♂, 유전자변형 누에♀ ${\times}$ 유전자변형 누에♂으로부터 나온 산란 및 부화율을 비교 하였다. 유전자변형 누에와 비유전자변형 누에의 이동성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산란 및 부화율 또한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다만, 비유전자 변형 암수쌍에서 산란된 알의 부화율보다 유전자변형 누에♀와 비유전자변형 누에♂에서 산란된 알의 부화율이 통계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극한환경에서의 생존율 실험에서 상대적으로 유전자변형 누에가 비유전자변형 누에보다 생존율이 낮았으며, 특히 고온조건의 환경에서 통계적으로 생존율이 낮은 결과를 보였다. 저온 조건의 경우 누에 유충의 동면으로 인해 실험결과를 명확하게 얻을 수 없었다. 유전자변형 누에와 비 유전자변형 누에가 일부의 차이를 보였으나 모든 실험에서 유전자변형 누에의 값이 비유전자변형 누에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결과적으로 이번 연구에서는 유전자변형 누에의 위해성은 비유전자변형 누에보다 적었다. It is true that the prope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s for many GM (Genetically Modified) insects almost have not been executed in Korea. Therefore, we tested th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about GM silkworms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GM silkworms and non-GM silkworms by the following three measurements. First, we measured their mobility in the breeding environment conditions with food and without food. Secondly, we measured their viability at the artificial extreme environmental conditions (low and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absent/present of foods,) after escaping from their breeding environments. Thirdly, we observed the number of laying eggs and their hatchability between GM silkworms and non-GM silkworms with four different pair experiments. The mobility of GM silkworms and non-GM silkworms statistically did not differ, and the egg productivity and hatchability were not also different. The hatchability by couple of GM female silkworms and non-GM male silkworms was lower than by non-GM male and female couple between the GM silkworms and non-GM silkworms, and there was statistically different. Relatively, the viability of GM silkworms was lower than non-GM silkworms. We could not exactly test for viability of silkworms in low temperature conditions because of their hibernating. Although there was any difference in viability and hatchability between GM silkworms and non-GM silkworms, all ability of GM silkworms was lower than non-GM silkworms. Conclusively, the environmental risk of GM silkworm was relatively lower than non-GM silkworm in this study.

      • 도시 근교 조림지인 리기다소나무림과 이차림인 신갈나무림에서 곤충 군집 구조 비교

        정운경,이은선,원희진,김현정,이훈복,Jung, Un-Kyung,Lee, Eun-Sun,Won, Hee-Jin,Kim, Hyun-Jung,Yi, Hoonbok 응용생태공학회 2015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2 No.4

        본 연구에서는 서울 근교 산림에서 1960년대 조림한 조림지의 생태적 기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조림지와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이차림에서 곤충 군집 구조를 비교하였다. 2014년 9월 2일부터 11월 6일까지 약 3개월 동안 리기다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에서 5개의 함정 트랩 (pitfall trap)을 이용하여 격주로 곤충을 채집하였다. 리기다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에서 곤충 군집 구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종풍부도는 리기다소나무림에서 약간 높았고 종균등도는 신갈나무림에서 더 높았으며 종풍부도와 종다양도는 두 산림에서 비슷하였다. 두 지역의 곤충에 대한 군집 분석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조림 후 40-50년이 경과한 리기다소나무 조림지는 곤충 서식지로서의 생태적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insect community structures between a plantation of Pinus rigida and a secondary forest of Quercus monglica were compared to find out one of the ecological roles of a forest planted in 1960s in a suburban area of Seoul, Korea. We collected the insect samples biweekly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2014 by using 5 pitfall traps in both forest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mmunity structure index of insects in both forests of P. rigida and Q. Mongolica showed that the species richness was a little higher and species evenness was a little lower in P. rigida plantation, and species diversity and dominance were similar in the two forests. The analysis results of insect community structure at the two fores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We conclude that the plantation of P. rigida over 40-50 years could sufficiently perform an ecological function as an insect habitat.

      • KCI등재

        국내 자생하는 환경부 지정 적색목록 호랑가시나무 (Ilex cornuta)의 꽃에 대한 재래꿀벌 (Apis cerana)과 양봉꿀벌 (Apis mellifera)의 선호도 비교

        권순호(Sunho Kwon),장현정(Hyenjeong Jang),이훈복(Hoonbok Yi),정철의(Chuleui Jung) 한국양봉학회 2024 韓國養蜂學會誌 Vol.39 No.1

        Bees rely on color and scents to locate blooming flowers. Flowering plants actively emit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eliciting behavioral responses in bees. Horned holly (Ilex cornuta) is evergreen shrub attracting pollinators with its dioecy flower blooming from April to May. Based on the observation that the horned holly blossom was more visited by Apis cerana and apple blossom nearby was more visited by A. mellifera. We hypothesized that the native honey bee i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native horned holly flower than the alien species of honeybee. Laboratory assessment evaluated the preference of each pollinator (A. cerana and A. mellifera to horned holly and apple using Y-Tube Olfactometer in choice and no-choice tests. Subsequently, VOCs from I. cornuta flower were analyzed using GC-MS. In no-choice Y-Tube tests, both A. cerana and A. mellifera exhibited a stronger preference for the horned holly compared to the control. In choice test, A. mellifera did not show different preference, but A. cerana showed significant preference to the horned holly over apple. Analysis of VOCs of I. cornuta revealed that 1,4-Dimethoxybenzene, 3-Methylpentanol, (Z)-3-Hexenol, Methyl Alcohol and (E)-2-Hexenal were the major components. As the horned holly has limited distribution and is register in the red list, pollination by A. cerana can be important component for the conservation program.

      • KCI등재

        환경구배처리에 따른 떡갈나무의 생육 반응

        Sang-Kyoung Lee(이상경),Young-Han You(유영한),Hoonbok Yi(이훈복)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4

        떡갈나무는 우리나라의 건조한 석회암 지역에 서식하는 주요한 교목이다. 본 연구는 떡갈나무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생육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광, 수분 그리고 유기물 등의 환경요인을 각각 4구배로 하여 온실에서 유식물에 처리하여 생육반응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광 구배에서 지상부, 지하부 그리고 식물체 무게는 높은 조건에서 잘 자랐고, 낮은 조건에서 못 자랐다. 지하부/지상부 비는 가장 높은 조건에서 제일 높았다. 수분구배에서 모든 측정 항목에서 구배에 따른 생육의 차이가 없었다. 유기물 구배에서 지상부, 지하부 그리고 식물체무게는 약간 높은 조건에서 잘 자랐고, 이보나 낮거나 높은 조건에서 못 자랐다. 이상으로 볼 때 떡갈나무의 생육은 수분 조건보다는 광 조건과 유기물 조건에 의하여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Quercus dentata (Thunb. ex Murray) is a major tree found in dry habitats such as limestone areas of Korea.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ecological traits of Q. dentata, we treated Q. dentata saplings under four gradient levels of major environment factors such as light, soil moisture and nutrients for 5 months in a glass house. We then measured and analyzed growth differences among them. Regarding light, aboveground, below ground and plant biomass were highest at a high gradient and lowest at a low one. The root/shoot ratio was highest at the highest light gradient. Regarding moisture, no measured item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moisture gradient. Regarding nutrients, aboveground, belowground and plant biomass were the highest at a slightly high gradient and the lowest at a gradient lower or higher than this. The root/shoot ratio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nutrient gradient. From these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growth of Q. dentata was more affected by light and nutrients in the environment than moisture.

      • KCI등재후보

        수락산에 서식하는 계곡산개구리(Rana huanrensis Fei, Ye & Huang, 1991) 유생의 서식지 면적에 따른 생장률 연구

        나수미(Sumi Na),엄예원(Yewon Um),김현정(Hyun-jung Kim),안치경(Chi-Kyung An),이훈복(Hoonbok Yi) 응용생태공학회 2017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4 No.2

        본서식지의 면적이 계곡산개구리 (Rana huarenensis)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노원구 상계동에 위치한 수락산 일대 계곡에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계곡을 계곡산개구리 서식지의 면적의 크기에 따라 가장 좁은 면적의 S1(3.91m²), 중간 면적의 S2(4.42m²), 가장 넓은 면적의 S3(38.37m²), 3곳으로 나눈 후 각 조사지역에서 3월부터 6월까지 주 2회 15개체의 계곡산개구리 유생을 무작위로 포획하여 개체의 길이를 측정하였으며, 계곡의 습도, 기온, 수온을 측정하였다. 부화율은 S2지점에서 세 개의 난괴를 채집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구별 서식지의 면적을 측정한 결과, 실험기간 중 강우량이 적었기때문에 모든 실험구의 서식지 면적이 감소하였으며, S2지점은 눈에 띄게 줄어 들지 않았으나, S1은 원래 서식지의 4분의 1이 줄어들었으며 S3지점은 2분의 1이 감소하였다. 실험구별 평균대기습도와, 실험구별 평균기온, 실험구별 평균수온은 F-test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부화율을 분석한 결과, 평균 부화율은 76.84 ± 18.23%으로 확인되었다. 실험구별 유생 개체의 길이를 측정 한 결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서식지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개체의 길이가 증가하였다 (F-test p< 0.05). 발생기간을 측정한 결과, 서식지의 면적이 넓을수록 개체의 발생속도가 빨라짐을 확인하였다. 실험구별 아성체 개체의 평균길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개체의 길이는 S1, S3, S2순서로 증가하였다. 서식지 면적 변화가 없었던 S2의 개체의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보아 본 연구를 통해 계곡산개구리의 서식지 면적의 민감성을 알 수 있었다 (F-test p<0.05). 추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도의 차이가 계곡산개구리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다면 계곡산개구리 개체군의 서식환경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executed to know the effect of the habitat size on huanren brown frog (Rana huanrensis) larvae’s growth. We’ve conducted the study on Mt. Surak in Sanggye-dong, Nowon-gu, Seoul. Our study site was discriminated the huanren brown frog larvae’s habitat into the three different areas, such as small area (S1, 3.91 m²), middle area (S2, 4.42 m²), and large area (S3, 38.37m²) in the same water channel. We measured two times per a week the 15 huanren brown frog larvae’s body length, and developmental stages (foreleg, hind leg, tail length) includ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humidity, air temperature and water temperature) of the study site from March 30 to June 28 in 2016. The only hatching rate was measured for the three egg sacs at the S2 study site. We found that the average hatching rate was 76.84 ± 18.23 (%) at S2. Generally, because of less precipitation during our study periods, all habitat areas for our study site were gradually decreased. The middle area, S2, was not reduced, the small area, S1, was reduced more than a fourth, and the largest area, S3, was drastically reduced more than half from initial area.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among the three study sites for the three environmental factors (average humidity, average air temperature, and average water temperature) by F-test,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site for the larvae’s body length (F-test p< 0.05). Therefore, the larger of habitat areas, the larger of the larvae length as well as the faster of the larvae’s developmental stages. When we measured the body lengths of immature huanren brown frogs, the immature frog of S1 was smallest, the immature frog of S3 was middle lenght, and the immature frog of S2 was largest.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the three study sites for the immature huanren brown frogs (F-test, p< 0.05). Because the S2 study site was relatively stable without rarely changing the study area, it meant that huanren brown frog was sensitive to habitat area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we study on the effect of the altitude on the growth rate of huanren brown frog, it must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habitat environment of the population of huanren brown fro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