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스포츠대회의 엠블럼과 포스터에 나타난 상징요소의 연구

        이화세 ( Lee Hwa-sei ),최정인 ( Choi Jung-i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20 No.-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개최된 국제스포츠대회 중 6가지의 대회 - 1986서울아시안게임, 1988서울올림픽, 2002한·일월드컵, 2002부산아시안게임, 2003 대구유니버시아드, 2014 평창동계올림픽(미개최) - 로 한정하여, 각 대회에서 사용된 홍보물 중 스포츠 행사를 대표하는 포스터와 엠블럼을 중심으로 하여, 상징요소에 대해 표현과 사용된 색상 , 그리고 특징에 대한 것들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홍보물에 획일적으로 사용되었던 한국적 요소들로는 한국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현재성(현재이미지)을 반영하는 요소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홍보물에서 획일적으로 나오는 한정적 상징요소는 다각적인 관점에서 현재성을 반영하는 상징요소로 개발되어야 한다. This study shows the survey of the poster and the emblem in international sports games events such as 1986 Seoul Asian Games, 1988 Seoul Olympic Games, 2002 Korea Japan World Cup, 2002 Pusan Asian Games, 2003Daegu Universiade Games, 2014 Pyeong chang Winter Olympic Games(not-held). We study, in the presentation, colors, and properties point of view, the poster and the emblem used in related informative and promotional material of sports events. As a result, the elements of korea used uniformally in the informative and promotional material of sports events have the limits in the presentation of korea image. So, we know that those have to reflect the recent image of korea in the emblem and the poster. Therefore, the limited symbol elements used uniformally in related informative and promotional material of sports events have to develop the symbol elements which reflect the recent image of korea in the various point of view.

      • KCI등재

        한국영화예고편에 나타난 메인타이틀의 시간구성

        이경태 ( Lee Kyoung Tae ),박성호 ( Park Sung Ho ),이화세 ( Lee Hwa Se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9 No.-

        영화를 알리고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영상이 영화예고편이다. 예고편은 영화자체의 영상(Images)과 영화의 내용이나 부가적인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위한 타이포그래피(Typography), 그리고 음향(Sound)으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예고편 영상 재생 중에 나타나 영화의 내용이나 부가적인 정보의 전달 수단으로서 활용되는 타이포그래피의 등장 타이밍에 따른 관객 호기심 자극 및 영화 관람에 대한 유도효과는 괄목할만하다. 예고편에서 타이포그래피들은 그 특성에 따라 톱타이틀(Top Title), 메인타이틀(Main Title), 서브타이틀(Sub Title), 크레디트타이틀(Credit Title)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는 5년간(2005~2009)의 한국영화 흥행작 100편의 예고편을 대상으로 하여 영상에서 나타나는 타이포그래피의 시간위치를 파악하여 보았고, 그 중 영상에서 메인타이틀이 나타나는 시간(Time)을 주요 기준으로 하여 예고편 영상을 네 가지 시간구성(전구성, 후구성, 전후구성, 기타구성)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준에 따라 2005년부터 2009년까지의 한국영화 예고편 501편을 분류하여, 연도 및 장르별로 시간구성을 살펴보고 각 특성을 파악하였다. 일반적으로 예고편 영상에는 후구성 방식이 두드러졌으며 장르별로는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연도별 특성으로는 2007년 이후로 기타구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A Movie trailer is a video which is produced to announce and promote a movie. It is the composition of images, typography, and the sound. As typography is used to the methods that communicate movie contents and adscititious informations for the playing time of trailers, it plays an important role to stimulate curiosity and grab audiences` attention about the movie. We classified typography in movie trailers into Top Title, Main Title, Sub Title and Credit Title. One of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ime position of typography in movie trailers. The movie trailers of top-100 in box-office power of Korean movies in the last 5 years(2005~2009) were used as main objects of this study. First, we categorized them into four types of time compositions; the Start Composition, the End Composition, the Start-End Composition, and the Rest Composition. After that, we also analysed the chronological and genre characteristics of them. Many of the movie trailers generally show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End Composition, and had a little genre difference in time composition. From the chronological point of view, the rate of Rest Composition had been growing steadily since 2007.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 미장센 분석

        이태구(Lee Tae-Gu),이화세(Lee Hwa-Sei)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8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3

        이 논문에서는 영화의 미장센 이론을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미장센을 분석하였다. 애니메이션의 미장센은 영화에서와 달리 그 활용범위가 굉장히 넓다. 이는 실사영화와 합성되어 영화의 장르를 발전시킨 계기가 되었으며 디지털기술의 빠른 성장은 영화의 미장센이론을 다시 정의 하도록 강요하고 있다. 초창기 사실주의 감독들의 미장센 이론이 애니메이션 기법의 도입으로 더욱더 확장되어 디지털 영화에서의 미장센이론이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 몽타주이론의 편집에 의한 영상 미학이 아닌 한 프레임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모든 요소들을 담고 있는 미장센은 애니메이션만의 차별화된 미학으로 발전되어야 하며, 국내 애니메이션의 문제점인 연출력 부재의 현상황을 미장센에 의한 연출력으로 극복되어 야 할 것이다. This paper show that we analyze the mise en scene of animation based on the theory of mise en scene in film. The mise en scene of animation has a large range of utilization in contrast to film. This affects the development of film synthesized with an actuality film. The theory of mise en scene of early realistic film director is extended by the animation techniques. And the theory of mise en scene in digital film is raised newly. The mise en scene in animation has the property that all elements is represented in one frame. And then this has a success in different aesthetics. The problems of in-country animation - the absence of production in the present condition - is to be achieved by the production using mise en scene.

      • KCI등재

        이동환경에서 연속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협력적인 프록시 캐슁

        이승원,이화세,박성호,정기동,Lee Seung-Won,Lee Hwa-Sei,Park Seong-Ho,Chung Ki-D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1 No.6

        본 연구는 이동환경에서 연속 미디어 객체에 대한 사용자 요구들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자원을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이동성 정보를 반영하는 협력적 프록시 캐슁 정책을 제안한다. 제안된 정책은 담당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요구들을 참조함으로서 캐슁하는 기존의 프록시 캐슁정책과는 다르게 인접한 영역의 많은 사용자 요구 정보들을 이용하여 캐슁 객체를 선택함으로써 이동환경에서 발생하는 사용자들의 랜덤 액세스 요구들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안된 캐슁 정책을 위해서 각 프록시에서 발생한 요구 정보의 가중치와 재생량을 기반으로 하는 재배치 기법을 제안한다. 그래서 객체단위와 세그먼트 단위로 재배치 기법을 수행하여 결과를 평가하고 캐슁 정책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동환경에서 적절한 사용자의 이동성 비율이 협력적 캐슁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알았다. This paper proposes a user's mobility based cooperative proxy caching policy for effective resource management of continuous media objects in mobile environments. This policy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oxy caching policies in terms of how to exploit users' mobility. In other words, existing caching policies 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objects by referring to user's requests within a specified domain whereas the proposed caching policy runs by utilizing a number of user's requests across several domains. So, the proposed policy is applicable to random requests in mobile environments Moreover, we also propose a replacement policy based on weights and playback time. To check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caching policy, the proposed replacement policy is run with different size of caching unit object or segment. The result of performance analyze tells what a ratio of user's mobility is are major factor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cooperative caching.

      • KCI등재

        머티리얼 디자인의 원칙에 따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김종희 ( Jong-hee Kim ),이화세 ( Hwa-sei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1

        연구배경 모바일 뱅킹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을 설계할 때 UI 디자인의 사용자 경험 통일을 위해 앱 내 일관성 유지가 요구되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모바일 운영체제의 아이콘을 가이드라인에 따라 비교 분석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필요하다. 연구방법 선행 연구를 통해 머티리얼 디자인에서 내비게이션 디자인 아이콘을 설계할 때 필요한 제작 지침을 항목별로 파악하였다. 그중 안드로이드의 애플리케이션 제작과 관련 없는 항목을 제외한 후 설계 원칙, 그리드 및 키라인 모양, 시스템 아이콘 구조, 컬러로 구분하여 세부지침에 따른 수치를 측정했다. 그래서 대상 아이콘에 대한 측정 수치가 머티리얼 디자인의 시스템 아이콘제작 지침과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설계 원칙에서 지침에 부합하는 대상과 그렇지 않은 대상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그리드 및 키라인 모양에서 사이즈 항목이 모두 일치하지 않으나 레이아웃, 키라인, 선명도는 모두 일치하였다. 시스템 아이콘 구조에서는 모서리 반경이 모두 일치하지 않았고, 선은 대부분 일치하지 않았다. 복합적 형태는 대부분 일치하고, 여백은 모두 일치하였다. 컬러는 원칙에 부합하는 대상이 없었다. 결론 본 연구는 안드로이드의 모바일 뱅킹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할 때 머티리얼 디자인 제작 지침에 따라 아이콘을 설계하고 보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내의 아이콘 디자인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Background When designing a mobile banking application, it is required to maintain consistency within the app to unify the user experience of the UI design, and in oorder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application, basic data are need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icons of the mobile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guidelines. Methods Through prior research, we identified the necessary production guidelines for each item when designing a navigation design icon for Material Design. Among these items, several items not related to Android application creation were excluded. Based on the derived material design icon creation guidelines, the icons of the target application's Bottom Navigation Bar were classified into design principles, grid and keyline shapes, system icon structures, and colors, and measured values according to detailed guidelines. Then, we checked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measurement values for the target icon compared to the material design system icon creation guidelines. Result In the design principle, the proportions of those who meet the guidelines and those who do not appear similar. In the shape of the grid and the key line, the size items did not all match, but the layout, key line, and sharpness all matched. In the system icon structure, all corner radii did not coincide, and most of the lines did not coincide. Most of the complex forms coincide, and all the margins coincide. There was no object in color that met the principle.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o design and supplement icons according to the material design production guidelines when designing Android mobile banking applications. This will help to identify and improve icon design problems within the application.

      • 영화예고편에 나타난 타이틀의 시간구조에 관한 연구

        이경태(Kyoung-Tae Lee),권효정(Hyo-Jeong Kwon),이화세(Hwa-Sei Lee)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9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9 No.2

        오늘날 주변에서 다양한 영화예고편을 쉽게 접하고 있으나 영화예고편의 구조직 형식에 관한 체계적인 분석과 자료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시간 이용해 영화예고편에 나타난 타이틀의 시간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래서 영화 타이틀을 기준으로 시간위치를 분석하여 네 가지 구조로 분류하였다. 이것을 활용하여 최근 3년간 한국영화예고편을 메인타이틀 기준으로 분류하였고, 영화 장르별로 영화예고편 시간구조를 분석 하였다.

      • KCI등재

        반응형 웹 그리드의 시지각 원리에 따른 시각중심

        김종희 ( Jong-hee Kim ),이화세 ( Hwa-sei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6 No.-

        연구배경 최근 다양한 디바이스의 스크린 환경에서 해상도 및 레이아웃 등이 유동적으로 변환되어 최적화될수 있도록 제작하는 반응형 웹이 사용되고 있다. 반응형 웹에서 이러한 가변적 레이아웃의 요소들을 조화롭게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그리드의 체계적 구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방법 반응형 웹의 그리드 설계시에 레이아웃 요소를 조화롭게 시각화시키기 위해서 시각 중심을 고려하여 디자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그리드의 유형과 패턴에 대해 살펴본 후, 이론적 시각중심과 실제 시각 중심에 대한 관계를 정립하여 반응형 웹에서 시각 중심을 도출할 수 있는 수식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수식을 바탕으로 반응형으로 제작된 웹사이트들의 실제 중심점의 좌표값을 미디어 쿼리의 변환 시점별로 도출하였다. 그 결괏값이 이론적 시각 중심점과 비교하여 얼마나 적합하게 제작이 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비교한 웹 사이트들의 실제 시각 중심점들은 왼쪽 상단으로 위치해야 한다는 이론적 시각 중심점들과 일치되지 않았다. 그래서 그 차이 값이 가장 작도록 반응형 웹을 구축하면 시지각 이론의 시각 중심점에 맞게 설계된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렇게 하면 사용자의 시선과 주목성을 만족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본 연구는 반응형 웹 디자인 설계시 이러한 레이아웃에 시각 중심점의 원리를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을 올바르게 유도하여 혼돈을 주지 않는 인터페이스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Background Recently, Responsive Web is being used to ensure that the resolution and layout of a variety of devices are converted and optimized in a wide variety of devices. Research on the composition of the grid is needed to coordinate and visualize the elements of these variable layouts in the responsive web. Methods In the design of the responsive Web Grid, we wanted to propose a way to design a visual center in order to visualize the layout of the layout elements. We looked at the types and patterns of the grid and, then establ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oretical visual centers and the actual visual center, and set the formula to derive the visual center coordinates. Based on the set formulas, we calculated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actual visual centers of the web sites according to the conversion times of Media Query, and compared them to see how well the final values were produced in the theoretical visual center. Result The actual visual centers of websites compared to the above were not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visual centres that should be located in the upper left-hand corner. Thus, deigning a reponsive web site to the smallest of the values will be designed to match the visual center of visual perception theory, which will satisfy the user`s gaze and attentio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how to apply the principle of visual center to this layout in designing Responsive Web design and by doing so, it will be possible to design an interface that guides the user`s gaze correctly and does not cause confusion.

      • KCI등재
      • KCI등재

        반응형 웹 매거진의 디자인 요소 분석 - 패션·시사 잡지를 중심으로 -

        김종희 ( Kim Jong-hee ),이화세 ( Lee Hwa-se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7 No.-

        모바일 인터넷의 발전으로 웹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또한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유동적인 형태로 진화되었다. 지속적으로 쏟아져 나오는 새로운 디바이스들의 인터페이스에 유연하게 서비스 가능한 웹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웹 매거진에서 서비스의 개선은 물론이고 제작 단계에서의 효율성을 높이고, 동일한 사용자 경험과 최적화된 서비스 제공하는 반응형 웹 제작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웹 매거진의 유형을 비주얼 리딩형과 텍스트 리딩형으로 분류하고, 패션잡지와 시사잡지를 중심으로 웹 매거진의 디자인 요소와 멀티미디어 요소를 살펴보고 각 세부 요소의 반응 형태를 비교하였다. 비주얼 리딩형 웹 매거진은 이미지 중심의 콘텐츠와 단순한 그리드의 변화를 보였고, 텍스트 리딩형은 많은 디자인 요소, 많은 양의 콘텐츠들이 한꺼번에 노출되고 변환이 되는 방식을 띄고 있어 다소 혼란스러운 구조를 보였다. 공통적으로 나타난 현상은 두 유형의 반응형 웹 매거진에서는 멀티미디어 요소가 제대로 활용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실무에서 웹 매거진 디자인, 개발 설계 시 다양한 디바이스들의 특징을 파악하여 설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creasing the growth of mobile Internet, the method of use in Web Services have evolved into the floating form which various smart devices use. Web design services to flexibly correspond to interfaces of new devices pouring into a market are being demanded. A Responsive Web production technique i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services and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in web magazines. And it is also required to the provision of identical user experiences and optimal services in each of various smart devices. 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We classify the type of web magazine into the visual reading type and the text reading type. And then focused on the Fashion·Current-affairs Magazines, we examine the design components and multimedia components, and compare the reactions of each sub-category. Visual reading type in web magazines presented a image-focused contents and a simple change of grids. And text reading type in web magazines have a complex structure of this method to expose and convert many design factors and contents at a time. The both types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which the multi-media factors have not been properly used by the Responsive Web Magazines of the two types. This study believes that the findings above help the working-level to figure out features of different devices and draw up designs when they try to create web magazines and make development pl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