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기혼자의 관계적 동기와 만족도: 신경증의 조절효과

        이화령,신지은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5 No.2

        Marriage, as a major turning point in life, tends to place spouse and children at the center of individuals’ social networks. By focusing on relational motives of married individuals (i.e., mate retention, parenting), we examined their association with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potential moderating role of neuroticism. Studies have shown that strong motives can be maladaptive when actual-ideal discrepancies generate negative emotions. In line with this view, neuroticism, characterized by heightened sensitivity and reactivity to negative social cues, may reduce the benefits that come from strong relational motives. As predicted, two studies demonstrated that individuals’ mate retention (Study 1) and parenting (Study 2) motives positively predicted their relationship satisfaction, only among the less neurotic. Our findings suggest that hedonic benefits of relational motives may be contingent on the level of neuroticism. 결혼은 개인의 사회적 관계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전환점으로, 기혼자의 사회 관계망은 배우자와 자녀를 중심으로 재편되는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기혼자의 핵심 관계와 관련된 관계적 동기(배우자 유지, 자녀 양육)에 초점을 맞추고 각 동기가 해당 관계 만족도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그리고 이 관계가 개인의 신경증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들은 동기가 성취의 원동력이 되는 동시에 이상-실제 간극이 유발하는 부정 정서로 인해 역기능적일 수 있음을 보고해왔다. 따라서 신경증과 관련된 부정적 정보 민감성과 반응성은 관계적 동기가 관계 만족도로 이어지는 것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기혼자를 대상으로 두 개의 연구를 수행한 결과, 예상대로 높은 배우자 유지 동기(연구 1)와 높은 자녀 양육 동기(연구 2)는 신경증 수준이 낮을 때에만 관계 만족도를 긍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높은 관계적 동기가 해당 관계의 질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낮은 신경증이 수반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외향적 기질과 행동이 유발하는 정적 정서

        이화령,서은국,임낭연,류초롱,박수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2 No.1

        A strong link exists between trait extraversion and positive affect (Diener & Lucas, 1999). However, Fleeson, Malanos, & Achille (2002) have recently found that acting extravertedly can also boost positive effect even among dispositionally introverted individuals. Three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interactive influence of trait extraversion and extraverted behavior on positive affect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In Study 1, we found that people spontaneously choose personality congruent situations in everyday life settings, such as when they decide to appear as a participant on a TV program. Extraverted people were drawn more to a show program, whereas a quiz program attracted highly open individuals. In Study 2, consistent with Fleeson et al.(2002), behaving in an extraverted manner accentuated positive affect even among introverts. Finally, the amount of positive affect experienced when engaging in varying levels of extraverted actions depended on the person's trait extraversion leve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co-influence of the trait-level and behavioral expressions of extraversion on positive affect are discussed. 외향적 기질과 행동이 모두 정적 정서를 유발할 수 있다는 가설을 가지고 세 연구가 실시되었다. 연구 1에서는, 두 방송 프로그램 참가자의 성격 분석을 통해, 실제로 기질적 외향성이 높은 사람들이 일상의 구체적 선택 상황에서도 자신의 외향성 수준과 잘 맞는 상황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외향적인 사람들은 기존 연구들과 유사하게 정적 정서를 비롯한 주관적 안녕감 수준도 높은 경향을 보고했다. 연구 2에서는 선천적인 기질에 관계없이, 외향적 행동을 한 실험 참가자들에게서도 내향적으로 행동하는 경우보다 정적 정서가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3을 통해 외향적 행동으로 유발된 일시적 정적 정서는 각 개인별 기질적 외향성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외향적 행동 수준이 극단적이지 않을 경우 선천적 외향성과 정적 정서 간 정적 상관관계를 보임을 확인했다. 세 연구 결과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시사점과 논의, 한계점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기억 장애 환자에서 수면의 질과 인지기능과의 관련성

        이화령,최수정,진주희,주은연 대한수면연구학회 2020 Journal of sleep medicine Vol.17 No.2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leep quality and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SMI), a self-perceived cognitive decline without o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and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 Methods: We enrolled 246 patients with memory impairment (126 with SMI and 120 with aMCI) who fulfilled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K), a standardized battery of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mood questionnaires. Based on the PSQI-K cutoff point of 5, patients were classified as good sleepers (GS) or poor sleepers (PS).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GS and PS between patients with SMI and aMCI [68 PS (54.0%) in SMI vs. 62 PS (51.7%) in aMCI, p>0.05]. Demographics did not differ between the SMI and aMCI groups. In both the SMI and aMCI groups, PS had worse sleep-wake parameters, such as sleep latency, total sleep time, and sleep efficiency, than GS and reported worse performance in all PSQIK subcomponents. Neuropsychological data were not different between GS and PS, except for the Stroop word test in patients with aMCI. Depressive scores were worse in PS than in GS in both the SMI and aMCI groups. Conclusions: We observed that cognitive func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S and PS in both the SMI and aMCI groups, except in the Stroop word test in the aMCI group, while PS had more depressive mood than GS in both groups. This suggests that subjective sleep quality may depend on mood disturbances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KCI등재

        양육 동기에 따른 자녀 관계 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

        이화령,신지은,서은국 한국감성과학회 2024 감성과학 Vol.27 No.1

        자녀는 부모 삶과 적응의 핵심적인 요소다. 그동안 많은 연구를 통해 사회적 관계가 행복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밝혀진 바 있지만, 부모-자녀 관계는 상대적으로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기혼자를 대상으로 이들의자녀 관계 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에 초점을 맞추고, 이 둘 간의 관련성이 양육 동기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하였다. 특정 영역에서의 성취나 긍정적 경험으로 인한 심리적 혜택이 해당 영역에 부여된 중요성에 좌우된다는 선행문헌들을 고려했을 때, 자녀와의 만족스러운 관계는 높은 양육 동기를 가진 부모의 주관적 안녕감을 더 강하게 예측할것으로 예상된다. 본 가설을 알아보기 위해 총 2개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상대로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와주관적 안녕감 간 정적 상관은 양육 동기가 높은 개인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양육 동기의 조절 효과는 한국인(연구1)과 미국인(연구 2) 모두에게서 일관되게 관찰되었으며, 문화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나 자녀의 성별, 나이 등을 통제하고서도 유효했으며, 특히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 요인 중 부정 정서에서 두드러지는 경향이 있었다. Children play a crucial role in the lives of parents, but research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has focused mainly on its impact on parents’ social relationships and happiness. This study explored how parenting motives affect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s’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and subjective well-being.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psychological benefits of achievement or positive experiences in specific life domains are dependent o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such domains. Thus, we hypothesized that a satisfying relationship with children can strongly predic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arents with elevated parenting motives. The study included Korean (Study 1) and American (Study 2) participants. Results of both studies demonstrated a pronounc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and subjective well-being in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parenting motives. This moderating effect persisted even after controlling for relevant covariates (e.g., gender, age, and Big 5 personality traits). Notably, this effect was particularly evident in sub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which is negative affect.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와 담합행위: 이사회를 중심으로

        이화령 한국산업조직학회 2018 産業組織硏究 Vol.26 No.1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market competition with a focus on collusion. To do so, a unique data set is collected on cartel case details, board composition and activiti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outside directors and CEOs in 155 listed Korean companies in 2007-2012. The social ties between the CEO and outside directors are more prevalent in collusive firms. Although dissenting votes are very rare, we find it is more so in collusive firms than in competitive firms. Moreover, dissenting directors face a higher risk of being replaced, far more at collusive firms. Overall, the results imply that either collusive firms prefer weak governance or weak governance induces collusion. 상품시장에서의 경쟁전략은 경영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시장경쟁 상황은 경영진의 의사결정 과정을 구속하는 기업지배구조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본 연구는 담합기업의 이사회에 주목하여 상품시장경쟁과 기업지배구조의 관계에 대한 함의를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담합사건정보와155개 상장 대기업의 이사회 관련 공시 수준, 개별 사외이사의 이사회 참여 행태와 인적·사회적 특성, 최고경영자와의 연고관계 등에 대한 6년(’07-’12)간의 자료를 구축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담합기업은 비담합기업에 비해 사외이사가 최고경영자와 지연 또는 학연으로 연결된 경우가흔해 실질적 독립성이 낮고, 사외이사의 반대의결이 매우 드물며, 반대를 한다면 교체될 위험이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사회의 독립성이 낮은 기업이 담합에 취약하거나담합을 유지하기 용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 of the Internet on Fares in the U.S. Airline Industry

        이화령 한국개발연구원 2015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37 No.1

        A reduction in search costs is generally believed to make markets more competitive. However, the effect may be mitigated or amplified if consumers must pay costs for switching products. This paper investigates how search costs affect prices in the presence of switching costs using U.S. domestic airfare data for 2000–2010. The airline industry experienced a dramatic decrease in search costs with increasing Internet use in the 2000s. At the same time, the industry is known for its frequent flyer programs (FFPs), which increase switching costs for consumers. We use the average network size of airlines in a market as a proxy for switching costs related to FFPs and Internet usage as a proxy for (the inverse of) search costs. The results show that increasing Internet usage lowers airfares but that the effect is smaller for markets with a larger average network size.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가 가중평균자본비용과 조세회피간의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령(Lee Hwa Ryeong),김진섭(Kim Jin Seop)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강건한 기업지배구조가 조세회피와 가중평균자본비용 간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것이다. 표본은 2012년부터 2014년 3개년사이에 거래소 상장기업 중 금융업에 속하지 않은 12월 결산법인 716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지배구조는 가중평균자본비용에 음(-)의 유의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주주지분율과 외국인지분율이 높을수록 해당기업의 회계정보에 대하여 신뢰를 갖고 투자자들의 정보위험이 감소하며 요구수익률이 감소하여 기업은 낮은 자본비용을 부담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조세회피는 가중평균자본비용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조세회피를 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의 회계정보의 질을 낮게 평가할 것이다. 이에 따라 정보위험이 증가하고 그 영향으로 요구수익률이 높아지면 자본비용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기업지배구조와 조세회피 간 상호작용은 가중평균자본비용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지배구조는 조세회피와 가중 평균자본비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강건한 기업지배구조는 조세회피에 감소영향을 준다. 또한 자본시장에서 기업이 지불해야할 가중평균자본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strong corporate governance for listed companies in accessing capital market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Results found that corporate governa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to the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and implies that the higher shareholder ownership and foreign ownership have confidence in the financial information of the company, and therefore, risk is reduced for investors. This results in lower expected rates of return and companies will pay a lower cost of capital. Second, tax eva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The low quality of corporate accounting inform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tax avoidance. Accordingly, this results in increased risk. If the required rate of return is high in its impact,it leads to increased capital costs. In addition, corporate governance and tax avoidance factors showed a negative affect (-) on the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Corporate govern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ax avoidance and the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and strong corporate governance reducesthe impact on tax avoidance. In addition, the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in capital markets showed the reducing effect.

      • KCI등재

        삶의 만족도와 정서적 안녕감에 대한 영역 만족도의 상대적 예측력: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 비교 연구

        김현지,이화령,서은국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6 No.3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omain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However,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satisfaction with multiple domains and their relative contributions to life satisfaction and hedonic balance are missing in the literature. And most studies were conducted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and only a few cross-cultu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current research, we compared Korean and European Canadian university students to examine how domain satisfactions (satisfaction with healthy lifestyles, family relationships, appearance, financial situation, academic performance) are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nd hedonic balance. We then examined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people’s satisfaction ratings on the life domains to their life satisfaction and hedonic balance.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satisfaction with each of the five life domains, and life satisfaction and hedonic balance across the two cultural groups. Interestingly, satisfactions with healthy lifestyles was the dominant predictor of Koreans’ life satisfaction and hedonic balance.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was the dominant predictor of European Canadians’ life satisfaction and hedonic balance followed by satisfaction with healthy lifestyles.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common life domains that contribute to subjective well-being and that there are specific life domains that may contribute more to subjective well-being depending on the culture. 영역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다양한 영역 만족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 영역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 및 정서적 안녕감 각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게다가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서구 문화권에서 진행되어 왔으며 문화비교 연구는 많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영역 만족도(건강한 라이프스타일, 가족관계, 외모, 재정상황, 학업성적에 대한 만족도)가 개인의 삶의 만족도 및 정서적 안녕감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봄과 동시에, 문화별로 어떤 특정 영역이 삶의 만족도와 정서적 안녕감을 더 잘 예측하는지 한국과 캐나다 두 문화권의 대학생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두 문화에서 다섯 영역의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 및 정서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흥미롭게도, 다섯 영역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문화별로 삶의 만족도와 정서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들에 차이가 있었다. 한국인의 경우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이 삶의 만족도와 정서적 안녕감을 가장 잘 설명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럽계 캐나다인의 경우 외모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와 정서적 안녕감 모두를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만족도가 행복 요소들을 가장 잘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개인의 주관적 안녕감의 예측에 있어, 문화 공통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삶의 영역이 있으며, 더불어 문화의 특성에 따라 더 좋은 예측력을 가지는 삶의 영역도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림프종에 의한 내경정맥혈전증의 추적 초음파영상

        임진희,이화령,김혜원,김광현,박중현 대한신경과학회 2016 대한신경과학회지 Vol.34 No.3

        Internal jugular vein (IJV) thrombosis is a form of deep vein thrombosis that has a potentially fatal outcome associated with its intracranial propagation. Computed tomography and ultrasonography are useful diagnostic tools. We report a case of IJV thrombosis associated with lymphoma that was detected by carotid ultrasonography and had disappeared in follow up ultrasonography.

      • KCI등재

        한국에서의 Diener의 삶의 만족 척도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사용 연구 개관

        임낭연,이화령,서은국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1

        There is a recent upsurge of subjective well-being research in Korea, requiring psychometric evaluations of this construct's key measure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Diener, Emmons, Larsen, & Griffin, 1985), which measures the cognitive judgment of overall life satisfaction, has been translated and used widely in Korea without a thorough review. This review article evaluat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measured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found relevant data from 19 studies performed between 2003 to 2008, including a total of 4,342 Korean respondents. In short, SWLS displayed strong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and revealed a one-factor structure, equivalent with the previous American findings. In addition, significant and adequat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SWLS and related variables, demonstrating that the SWLS ha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research on subjective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in Korea.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are discussed. 최근 한국에서도 전 세계적인 조류와 함께 행복, 주관적 안녕(subjective well-being)과 관련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국내에서 이루어진 주관적 안녕감 연구들에 대한 조명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주관적 안녕감의 인지적 요소인 삶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Diener의 ‘삶의 만족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는 아직 한국에서 체계적이고 총체적인 개관이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Diener의 삶의 만족 척도를 사용한 연구들의 문헌조사를 통해 지금까지 국내에서 본 척도를 사용한 주관적 안녕감 연구들을 정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08년 사이에 이루어진 19개 연구의 저자들로부터 4,342명의 응답을 제공받아 삶의 만족 척도의 기술통계적, 심리측정적 속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에서 측정된 삶의 만족 척도는 기존 척도의 개관에서 나타난 것과 유사하게, 적절한 요인구조와 신뢰도를 보임으로써, 심리측정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관련 변인들과의 적절한 상관을 가짐으로 공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만족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앞으로 국내의 주관적 안녕감 및 삶의 만족 연구를 위한 좋은 정보가 될 것이며,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