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ultural differences in emotion: differences in emotional arousal level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임낭연 한국한의학연구원 2016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Vol.5 No.2

        Whether emotion is universal or social is a recurrent issue in the history of emotion study among psychologists. Some researchers view emotion as a universal construct, and that a large part of emotional experience is biologically based. However, emotion is not only biologically determined, but is also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Therefore, cultural differences exist in some aspects of emotions, one such important aspect of emotion being emotional arousal level. All affective states are systematically represented as two bipolar dimensions, valence and arousal. Arousal level of actual and ideal emotions has consistently been found to have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Western or individualist culture, high arousal emotions are valued and promoted more than low arousal emotions. Moreover, Westerners experience high arousal emotions more than low arousal emotions. By contrast, in Eastern or collectivist culture, low arousal emotions are valued more than high arousal emotions. Moreover, people in the East actually experience and prefer to experience low arousal emotions more than high arousal emotions. Mechanism of these cross-cultural differences and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한국에서의 Diener의 삶의 만족 척도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사용 연구 개관

        임낭연,이화령,서은국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1

        There is a recent upsurge of subjective well-being research in Korea, requiring psychometric evaluations of this construct's key measure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Diener, Emmons, Larsen, & Griffin, 1985), which measures the cognitive judgment of overall life satisfaction, has been translated and used widely in Korea without a thorough review. This review article evaluat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measured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found relevant data from 19 studies performed between 2003 to 2008, including a total of 4,342 Korean respondents. In short, SWLS displayed strong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and revealed a one-factor structure, equivalent with the previous American findings. In addition, significant and adequat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SWLS and related variables, demonstrating that the SWLS ha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research on subjective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in Korea.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are discussed. 최근 한국에서도 전 세계적인 조류와 함께 행복, 주관적 안녕(subjective well-being)과 관련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국내에서 이루어진 주관적 안녕감 연구들에 대한 조명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주관적 안녕감의 인지적 요소인 삶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Diener의 ‘삶의 만족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는 아직 한국에서 체계적이고 총체적인 개관이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Diener의 삶의 만족 척도를 사용한 연구들의 문헌조사를 통해 지금까지 국내에서 본 척도를 사용한 주관적 안녕감 연구들을 정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08년 사이에 이루어진 19개 연구의 저자들로부터 4,342명의 응답을 제공받아 삶의 만족 척도의 기술통계적, 심리측정적 속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에서 측정된 삶의 만족 척도는 기존 척도의 개관에서 나타난 것과 유사하게, 적절한 요인구조와 신뢰도를 보임으로써, 심리측정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관련 변인들과의 적절한 상관을 가짐으로 공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만족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앞으로 국내의 주관적 안녕감 및 삶의 만족 연구를 위한 좋은 정보가 될 것이며,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피해자 보호업무 담당 경찰관의 업무만족과 성격 및 행복감 간의 상호관계

        임낭연,김재민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9 치안정책연구 Vol.33 No.2

        In this article,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that predict the job satisfaction of police working for victim protection affairs (PVPA) are suggested. 131 PVPA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nd 105 answ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PVPAs experienced more happiness than hardships from conducting their duties. However, when PVPAs felts hardships, general job satisfaction of the PVPAs was negatively affected by the hardships from dissatisfactions, complaints, or agonies of crime victims, but hardships from bureaucratic processes or lack of coworkers’ cooperations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decreased general job satisfaction. Those with high subjective well-being level showed greater satisfaction toward their jobs than those with a lowe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Among Big five personality traits,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nd conscientiousness significantly predicted job satisfaction, but neuroticism and agreeableness did not. Extraversion and openness to experience had a buffering effect from the drop of PVPA’s job satisfaction as a function of work duration. That is, those with high, but not low, levels of extraversion or openness to experience did not suffer from the decrease in job satisfaction even with long work years.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피해자 보호 업무를 담당하는 경찰관들의 업무에 대한 만족을 예측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피해자 보호 업무를 담당하는 경찰관 131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10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경찰관들은 피해자 보호 업무를 수행할 때 힘들기보다는 행복감을 더 강하게 느꼈다. 행복 수준이 높은 경찰이 피해자 보호 업무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높았고, 성격특질 중에서는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성실성이 피해자 보호 업무 담당 경찰관의 전반적 업무 만족을 정적으로 예측했다. 피해자 보호업무 종사 기간이 길어질수록 업무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을 완충해 주는 효과는 외향성과 개방성에서 나타났다. 끝으로 결론을 통해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함의를 기술하였다.

      • KCI등재

        누가 혼자 있을 때 외로운가? 홀로 있음, 권력감과 외로움의 관계

        임낭연,서은국 한국감성과학회 2022 감성과학 Vol.25 No.2

        People who spend more time alone tend to report higher levels of loneliness. However, whether people experience loneliness in solitude can differ The curr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role of a sense of power as a predictor of loneliness among people who lack social interaction. investigated factors predicting loneliness in people with little social time large-scale survey data. As a result of discriminant analysis, a sense of power was verified as a factor that lonely non-lonely groups. a sense of power As a result,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 sense of power and social loneliness was confirmed. When people feel alone, a high sense of power can work as a buffer against loss of belongingness and the experience of social loneliness. This research focused on psychological rather than situational factors to alleviate loneliness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social encounters are limited due to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19 pandemic. 일반적으로 혼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외로움 수준이 높은 경향이 나타난다. 그러나 홀로 있을 때, 즉 사회적 으로 고립되었을 때 외로움을 경험하는지 여부는 사람마다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홀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사람 중, 누가 외로움을 경험하는지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권력감(sense of power)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연구 1은 대규모 설문 조사 연구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적 시간이 적은 사람들의 외로움을 예측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판별분석 결과, 권력 감이 사회적 활동 시간이 적은 사람들을 높은 외로움과 낮은 외로움 집단으로 판별하는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연구 2는 실험을 통해 권력감의 수준을 조작하여 높은 권력감과 낮은 권력감 집단으로 나누었다. 이후 홀로 있음을 점화한 뒤, 외로움과 소속감 상실의 여부가 권력감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권력감이 높으면 사회적 외 로움을 적게 경험하고 소속감 상실이 완충되는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현대 사회는 일인 가정이 많아지고 코로나로 인해 사회적 만남이 제한됨으로써 외로움에 취약한 환경에 처한 개인이 전례 없이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 상황에 서 외로움 완화의 요인으로써 상황의 변화보다는 개인의 내적 심리적 측면에 주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코로나19가 대학생의 심리에 미친 영향 : 자기결정이론의 관점에서

        임낭연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2

        Due to the COVID-19 infection, a worldwide pandemic, people have been subjected to various psychological effects. In the field of education, a transition to online classes was made to prevent COVID-19 infection. These changes in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can have far-reaching psychological effects on student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changes in education and learning caused by COVID-19 on learner psych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self-determination theory. I analyzed how the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that is essential for human well-being and prosperity—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can be fulfilled or frustrated by the change to online remote classes. 세계적인 팬데믹이 된 코로나19 감염증으로 인해 사람들은 다양한심리적 영향을 받게 되었다. 교육과 학습 측면에서도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한 비대면 원격수업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학습 및 교육 방법의 변화는 학습자의 심리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수 있다. 본 논문은 코로나19로 인한 교육과 학습에서의 변화가 학습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결정이론의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인간의 행복과 번영을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세가지 기본적인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욕구가 비대면원격수업으로의 변화에 의해 어떻게 충족 또는 좌절될 수 있는지의 측면에서 분석해 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브런즈윅의 렌즈 모델의 교양교육 연구 적용 가능성과 의의에 대한 고찰

        임낭연(Lim, Nangyeo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18

        본 연구는 교양교육 연구의 다양한 측면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사고의 틀로써 브런즈윅의 렌즈 모델을 제시하고, 그 다양한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고전적 브런즈윅 렌즈 모델은 유기체의 환경 지각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는 모델이다. 그런데 인간의 대상 판단 과정과 환경 지각 과정 간의 유사성으로 인해, 렌즈 모델은 수십 년 간 다양한 분야에서 확률적 판단 연구에 적용되어 왔다. 교양교육 현장에서도 다양한 주체의 다양한 판단 활동이 이루어지므로, 인간의 판단을 설명하는 틀인 렌즈 모델의 적용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까지 교양교육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적용되지 않았던 프레임웍인 브런즈윅의 렌즈 모델을 소개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교양교육 연구에서 렌즈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추후 연구 방향성과 그 의의에 대하여 논한다. The current study suggests Brunswick"s lens model as a conceptual framework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aspects of liberal arts education research and discusses its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The original Brunswick"s lens model explains how an organism perceives its environment. Due to the similarity between the processes of human object judgment and environmental perception, the lens model has been extensively applied to probabilistic judgment research in many fields for decades.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different subjects make various judgments, so there are numerous possibilities of research applying the lens model.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Brunswick"s lens model, a framework that has not been actively applied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until now. Furthermore,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application of the lens model in the study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its significance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즐거움”은 지지적 정서 표현을 유발한다

        임낭연 ( Nang Yeon Lim ),신지은 ( Ji Eun Shin ),홍성우 ( Seong Woo Hong ),서은국 ( Eun Kook Suh ) 한국감성과학회 2013 감성과학 Vol.16 No.2

        행복은 대인관계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산출한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행복한 사람들의 어떤 대인행동이 관계적으로 긍정적 결과를 도출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많지 않다. 상호작용 시 상대방에게 지지적인 정서를 표현해주는 것은 관계의 형성과 만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연구를 통하여 고각성의 긍정적 정서인 ``즐거움``이 상호작용 시 상대방에 대한 지지적인 정서 표현을 유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1에서는 긍정적 정서가 성격과 인지적 요인을 통제한 뒤에도 여전히 유의하게 지지적 정서 표현을 예측하였다. 긍정적 정서의 이러한 효과는 고각성 정서로 인한 것이었다. 연구 2에서는 ‘즐거움’이 유발된 참가자들이 ‘자랑스러움’, ‘경이로움’, ‘편안함’이 유발된 참가자들에 비해 타인의 이야기에 적극적으로 정서를 표현하고 상대를 지지하였다. 본 연구는 긍정적 정서가 대인 관계에 어떻게 이득을 주는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함과 동시에, 그 중에서도 특히 ‘즐거움’이 사회적 관계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진화되었을 가능성을 제안한다. Positive affect has beneficial consequences in various life domains including social relational aspect. This study proposes that ``joy``, a highly arousing positive social emotion, promotes emotionally supportive reactions during a social interaction. In Study 1, after controlling for confounding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g., extraversion, agreeableness, adult attachment) and cognitive variables (e.g., empathy, self-esteem), positive affect predicted the amount of emotional support and enthusiasm one showed to a person who was describing a positive experience. The arousal dimension of positive emotion appeared to be the key in creating this outcome. Study 2 found that people were most likely to react in supportive ways (e.g., more laughing, emotion sharing, and active-constructive responses) to other`s conversation after viewing a joy-inducing (rather than pride, awe, calm) film clip. These results partly explain why happy people are socially popular and suggest that one of the central functions of “joy” is to promote social bonding with others.

      • KCI등재후보

        MBTI 성격 유형론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성격 5요인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

        권가영,임낭연 행복한부자학회 2023 행복한부자연구 Vol.12 No.2

        최근 한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MBTI 성격 유형론은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MBTI를 대하는 태도나 MBTI가 가진 효용에 대해 살펴본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MBTI에 대한 태도의 개인차를 탐색하고, MBTI를 신뢰하는 사람들이 어떤 목적으로 MBTI 정보를 사용하는지 확인하며, MBTI 정보를 신뢰하거나 사용하는 양상이 행복에 미치는 효과가 개인의 특성인 성격 5요인과 자기개념 명확성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MBTI를 신뢰하는 사람들은 자기 이해나 재미 추구의 목적보다 대인관계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MBTI 정보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성격 특질 및 자기개념 명확성의 수준에 따라 MBTI를 사용하는 양상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가 각기 달랐다. 특히 외향성의 측면에서, MBTI를 빈번하게 사용하는 행동은 외향적인 사람들의 높은 행복과 관련이 있는 반면, 내향적인 사람들의 경우에는 그들의 낮은 행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주관적 안녕감에 갖는 MBTI의 효용이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대중들이 MBTI 성격 유형론을 보다 분별력 있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The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is employed in various contexts, yet there are limited studies focusing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attitud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MBTI. The present study specifically investigates disparities in lay beliefs and the application of the MBTI based on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self-concept clarity. Additionally,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frequency of MBTI usage. The results reveal that individuals primarily use MBTI information to enhance social interaction with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ferred to as the 'social purpose'), rather than solely seeking self-understanding (termed the 'informational purpose'). Moreover, the extent to which the use of MBTI impacts subjective well-being is influenced by individual differences in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self-concept clarity. Notably, extraverts who frequently utilize the MBTI report higher levels of happiness, whereas introverts show lower levels of happiness with increased MBTI usage.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distinct impact of the MBTI on subjective well-being and emphasize the need for cautious application of the MBT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