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창윤,최규옥,김기황,허갑범,유경자,이혜리,손희영 대한핵의학회 1979 핵의학 분자영상 Vol.13 No.1
1976년 1월부터 1979년 3월까지 연세대학교 부속 세브란스병원에 내원하여 뇌하수체 기능부전이 의심되어 성장홀몬의 분비능을 관찰하기 위해 L-Dopa 자극시험을 실행했던 35명과 L-Dopa 자극시험과 포도당 부가반응을 관찰하였던 4예의 달단비대증 환자를 연구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종 질환에서 성장홀몬의 기저치는 Sheehan씨 증후군에서는 평균치는 대조군보다 낮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당뇨병 환자에서도 평균치는 높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말단비대증 환자 4예 모두 대조군보다 현저한 증가를 보여주었다. 2) 당뇨병 환자 13명종 9명은 당뇨병성 망막증이 합병되었던 환자였고 이중 6명에서 L-Dopa 자극에 성장홀몬의 분비항진을 보여주었다. 망막증이 없었던 4명 중 1명에서만 분비 항진을 보여주었다. 3) Sheehan씨 증후군 10예중 L-Dopa에 분비항진을 보여준 경우는 2예였다. 4) 뇌하수체 혐염기성선종 8예중 L-Dopa 자극반응에 분비항진을 관찰한 수 있었던 것은 1예였다. 5) 4명의 말단비대증 환자중 3명은 호산성 선공이였고 1명은 혐염기성 선종이였다. 이중 3명에서 L-Dopa 자극시험을 행하였는데 1명은 그 측정치가 80 ng/ml 이상이어 반응 판정이 불가능했고 2명은 L-Dopa에 paradoxical response를 보여주었다. 포도당 부가검사를 시행한 2명 모두에서 포도당 투여후 억제반응을 보여주었다. 6) 두개인두종 2예중 1예에서 L-Dopa 자극반응을 보여주었 저신장(short statas)는 2예중 1예에서 L-Dopa 자극후 분비 항진을 보여주었다. This is an analysis of 39 patients studied at the Yonsei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76 to March 1979. Of these 35 patient were suspected of having hypothalamic insufficiency and subjected to the L-Dopa stimulation test to observe growth hormone sceretory function while four acromegaly patient received the glucose loading test and L-Dopa stimulation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basal level of GH in the various disease was as follows: a) The basal level was lower than the control level but was not statisfically significant b) In diabetes the mean value tended to higher than the control level bu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c) In all four acromegaly patients the GH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level 2) Of 13 patients with diabetes, nine had diabetic retinopathy, and of those nine, six showed increased L-Dopa response. However, of the four non retinopathic DM patients, onl one showed increased response to L-Dopa. 3) Two patients out of ten with Sheehan's syndrome responded to L-Dopa stimulation. 4) One Patient of eight prith pituitary chromophobe adenoma responded to L-Dopa stimulation. 5) Four acromegaly patients revealed 3 acidophilic adenoma and one chromophobe adenoma histologically. Of patients receiving the L-Dopa stimulation test. Two showed a paradoxical response. Two patients who received the glucose loading test showed supressed response. 6) Of two craniopharyngioma patients, one showed increased GH response after L-Dopa stimulation. Increased response of GH after L-Dopa stimulation was seen in one two craniopharyngioma patients and also in one of two patients with short statas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