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부성형술에 따른 연조직 측모변화에 관한 연구

        이형돈,김상철 원광대학교 치의학연구소 2002 圓光齒醫學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mount of the changes of the soft tissue profile and the proportion of the hard and soft tissue changes after genioplasty. Thirty six patients who had received genioplasty with other maxillofacial surgery and orthodontic therapy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ree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just before surgery, after surgey, and 8 months later after surgery for each patient. Superimposition was done to the reference of the buccal and lingual cortical bone contour superior to B point. Various measurements were measured and compar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g'(soft tissue pogonion) and Me'(soft tissue menton) moved horizontally in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on Pogonion and Menton. 2. Pg' moved anteriorly and Me' moved upward as the Pogonion and Menton moved upward. 3. Pg' moved horizontally in the proportion of 90.84%, and Me' moved horizontally in the proportion of 59.34%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Pogonion. 4. Me' and Pg' moved horizontally in the proportion of 58.44% and 32.55%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Menton, respectively.

      • KCI등재

        저급석탄과 폐식용유를 활용한 난방장치의 환경성 평가 - 몽골 울란바타르시 대기질 개선 측면 -

        이형돈,윤혁진,조성환 한국청정기술학회 2023 청정기술 Vol.29 No.1

        Mongolia is experiencing some of the world’s most serious air pollution problems. The air pollution is especially severe during the winter when raw coal and low-grade fuels are used to heat homes in Ger villages. The impact of this pollution has created significant health and socioeconomic challenges for the country. In order to mitigate this air pollution, this study analyzed the fuel quality of the low-grade fuels and Mongolian waste cooking oils used in Ulaanbaatar, Mongolia. The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tove combustion and a prototype combustion heating devi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the effect of replacing the heating devices was evaluated by analyzing their risks to humans. Analysis of the fue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briquettes had relatively low environmental properties as a result of their high ash, N and S content. Also, after analyzing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air quality improvement effect was higher when waste cooking oil was burned compared to the three types of coal that were analyzed. Finally,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replacing the Mongolia traditional stove with a prototype stove that uses waste cooking oi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to mitigate the air quality problems currently observed in Ulaanbaatar, Mongolia. 몽골은 전 세계에서 대기오염문제가 매우 심각한 나라 중 하나이다. 그 원인으로는 몽골 울란바타르시 내 게르촌에서 사용되는 저급연료의 난방연소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몽골 울란바타르시 게르촌에서 사용되고 있는 저급연료 및 몽골 폐식용유의 연료품질을 분석하였으며, 전통난로와 시작품 연소난방장치의 연소테스트를 통해 환경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인체위험도 분석을 통해 난방장치의 대체효과를 평가하였다. 연료특성분석 결과, 몽골석탄 중 조개탄은 회분, N, S 함량이 높은 이유로 환경성이 상대적으로 안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3종의 석탄에 비해 폐식용유를 연소하였을 때, 대기질 개선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몽골 전통난로를 시작품난로(폐식용유 사용)로 교체할 경우, 몽골 울란바타르시의 대기환경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디스크건조기를 이용한 수열탄화 생성물의 건조특성

        이형돈,신명섭,전미진,조용수,허우인,전용우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1

        수열탄화 기술은 고온에서 반응이 발생하는 열분해 탄화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정 온도조건(150~200oC)와 고압(10~20 kg/cm²)의 증기를 이용해 슬러지 내 미생물의 세포벽을 파괴함으로서 탈수성을 향상시키고 고액분리를 통해 액체생성물의 가용화 효율을 높이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와 음식물폐기물을 혼합하여 수열탄화반응을 통해 생성된 고체생성물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건조실험을 진행하였다. 건조기는 0.9m²의 Lab 테스트용 디스크건조기를 사용하였고, 건조단계에서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는 특성에 맞는 최적의 건조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실험에 투입된 수열탄화물(함수율 57%)은 먼저 전처리(파쇄) 유무에 따라 각각 나누었으며, 건조열원은 스팀압력(1.2~3.7 kg/cm²G)로 초기온도에 따라 설정하였고 수열탄화물 투입량은 3.8~4.7 kg/batch, 디스크 회전속도는 약 15~19 rpm, 체류시간은 함수율 10wt%가 되었을 때까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수열탄화물의 건조특성 곡선을 통해 건조효율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최적의 설계인자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미세먼지 제거용 웨어러블 공기청정기의 시험검사방법 개발

        이형돈,박찬규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최근 환경 이슈 중 가장 큰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문제는 미세먼지 문제로 잦은 미세먼지 발생에 따라 초미세먼지 주의보의 발령횟수가 2017년 기준 85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필터를 통해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안면부 장착이 가능한 웨어러블 공기청정기제품에 대한 시험평가항목을 개발하여, 다양한 환경융합제품에 대한 인증기준안 마련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 수도권매립지 매립가스 현장모니터링을 통한

        이형돈,하철윤,전은정,김문정,류돈식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1

        수도권매립지에서 매립폐기물의 혐기성 분해과정에서 발생되는 분해산물에는 대표적으로 매립가스와 침출수로 정리할 수 있다. 특히 매립가스는 매립지의 환경관리와 온실가스로서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원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매립가스를 활용한 합리적인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정확한 매립가스의 발생량을 파악하고 예측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사항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매립지 현장에서 발생되는 매립가스를 계절별 모니터링을 통해 매립가스 발생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매립가스 주요 배출경로에 대한 양적・질적 발생특성을 분석하여 관련사업 추진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2014년 매립가스 주요 배출경로별 현장 모니터링은 제1,2매립장의 강제포집량(수직가스 포집정 699개), 제2매립장의 간이소각기(상부 및 사면 106~133기), 제1,2매립장의 표면발산량(상부 및 사면 171개 지점)을 대상으로 발생량을 평가하였으며, 매립가스 발생량은 강제포집량, 가스배제공, 표면발산량을 모두 합산하여 계산하였다. 현장 모니터링 시기는 봄철(5월), 여름철(8월), 가을철(11월), 겨울철(1월) 4차례 수행하였으며, 표면발산량 산출을 위한 샘플링시기에 맞춰 강제포집량 및 가스배제공 배출량 자료를 수집하여 적용하였다. 매립가스 발생량을 분석한 결과, 제1매립장의 경우, 매립가스 포집효율이 약 68%로 발생량과 강제포집량은 지속적으로 감소추세로 평가되었으며, 표면발산량은 전년대비 약 18%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2매립장의 경우, 매립가스 발생량은 연도별로 다소 불규칙적이나,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강제포집량은 전년대비 소폭 증가(포집효율은 95%)한 것으로 나타났고, 표면발산량은 약 4.0%, 가스배제공은 약 0.9% 수준으로 최종복토 관리수준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 화학양론식과 배출계수를 적용한 국내 폐식용유의 대기오염물질 농도 예측 및 열적 분해 특성

        이형돈,박승민,윤혁진,윤인석,윤성환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으로 대기오염 등 문제를 야기시키는 기존 화석연료 등을 대체하기 위해 폐식용유를 이용한 가정용 및 농업용 연소장치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앞서 환경적인 영향을 예측하고자 국내 폐식용유의 화학적 성분분석을 수행하였고 화학양론식과 배출계수법을 적용하여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을 예측하였다. 또한 폐식용유의 온도에 따른 열적 분해특성을 확인하고자 TGA 분석을 통해 온도별 연소특성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 폐식용유 연소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 발생량 특성 연구

        이형돈,박승민,전용우,윤혁진,윤인석,윤성완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식물성 기름은 재배 등을 통해 지속적인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업용으로 활용이 가능한 연료로 사용하기에는 점성과 인화점이 높아, 기존 연소방식으로는 상용화하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화점과 점도가 높아 직접 연소가 어려운 폐식용유를 바로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 열재순환구조를 활용한 연소기술을 이용해 연소실 내부에서 복사열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연소효율을 높이기 위한 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장치를 이용해 폐식용유 연소특성을 파악하고자, 다양한 조건의 연소실험을 통해 최적의 연소조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